• 제목/요약/키워드: Congestion Pric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혼잡통행료 산정모형의 개발 및 계층간 형평성 연구 (A Multiple User Class Congestion Pricing Model and Equity)

  • 임용택;김병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83-193
    • /
    • 2007
  • 전통적으로 혼잡통행료는 교통시설의 한계사회비용과 한계개인비용의 차이를 혼잡통행료로 부과함으로써 사용자 균형(user equilibrium)상태의 도로망을 체계최적(system optimum)으로 유도하는 한계비용가격(marginal cost pricing) 또는 최적혼잡통행료(first-optimal pricing)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가변수요를 갖는 다계층 도로이용자를 대상으로 링크 최적혼잡통행료의 이론적 특성을 살펴보고 혼잡통행료 징수에 따른 계층간 그리고 지역간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여기서, 도로이용자가 경험하는 경로통행비용은 시간요소(통행시간)와 화폐요소(혼잡통행료)의 2가지 판단기준으로 구성되고 시간가치에 의해 하나의 단위로 전환(trade off)이 가능하다. 경로 통행비용이 시간단위로 환산될 경우, 최적혼잡통행료는 시간단위 체계최적 조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경로통행비용이 화폐단위로 환산될 경우, 최적혼잡통행료는 화폐단위 체계최적 조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체계최적 조건으로부터 도출된 최적혼잡통행료를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계층간 형평성을 살펴본다.

게임이론을 이용한 전력시장 발전입찰에서의 거래가격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action Pricing of Generation Bidding in Electricity Market by Using Game Theory)

  • 이광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2권6호
    • /
    • pp.333-339
    • /
    • 2003
  • Competition among electric generation companies is a major goal of restructuring in the electricity industry. In electricity market, a huge volume of commodities will be traded through competitive bidding. The choice between uniform and pay-as-bid pricing for electricity auction has been one of most important issues in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 This paper proposes a constrained Bertrand model for analyzing the electricity auction market of price competition model. The issue of the two pricing rules of uniform and pay-as-bid is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s benefit. This paper also shows that transmission congestion depends on the pricing mechanism. Pay-as-bid pricing gives less possibility of transmission congestion by price competition, and less burden to consumers in the simulation results.

안정동력학 모형에서 최선 통행료 및 차선 통행료 (First- and Second-best Pricing in Stable Dynamic Models)

  • 박구현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23-138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first- and second-best pricing by stable dynamics in congested transportation networks. Stable dynamics, suggested by Nesterov and de Palma (2003), is a new model which describes and provides a stable state of congestion in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The first-best pricing in user equilibrium models introduces user-equilibrium in the system-equilibrium by tol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rginal social cost and the marginal private cost on each link. Nevertheless, the second-best pricing, which levies the toll on some, but not all, links, is relevant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In comparison with the user equilibrium model, the stable dynamic model provides a solution equivalent to system-equilibrium if it is focused on link flows. Therefore the toll interval on each link, which keeps up the system-equilibrium, is more meaningful than the first-best pricing. In addition, the second-best pricing in stable dynamic models is the same as the first-best pricing since the toll interval is separately given by each link. As an effect of congestion pricing in stable dynamic models, we can remove the inefficiency of the network with inefficient Braess links by levying a toll on the Braess link. We present a numerical example applied to the network with 6 nodes and 9 links, including 2 Braess links.

차등서비스를 위한 혼잡요금부과의 타당성 검토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확률 예측 (An Idea, Strategy of Congestion Pricing for Differentiated Services and Forecasting Probability of Acces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 지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15
    • /
    • 2005
  • 관련 기업 및 ISP 업체에게는 투자의 매력을 부여하며 인터넷의 사용시간대 및 사용량에 따라 빈약한 사용자, 건강한 사용자, 과다한 사용자 등으로 구분하여 차등요금을 부여하는 합리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차등요금부과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혼잡에 따른 차등요금, 지연시간, 접속만족도 등에 따라 실제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들이 인터넷 접속을 얼마나 유지하는 지를 측정할 수 있는 관련 예측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또는 비접속 확률을 예측하는 분석률은 $69.5\%$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동적 혼잡통행료 적용을 위한 시공간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patiotemporal Scope for Dynamic Congestion Pricing)

  • 김민정;김회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0-109
    • /
    • 2022
  • 한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인구와 차량의 대규모 도시 집중에 따라 심각한 도시교통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혼잡통행료의 징수는 교통수요를 관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대부분 혼잡이 발생하는 지점이나 교통축을 중심으로 적용되어 그 효과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동적 혼잡통행료 징수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206개 교통 분석 존의 평균 통행속도를 이용하여 시공간 큐브 분석(Space-Time Cube Analysis)과 시공간 패턴 마이닝(Emerging Hot Spot Analysis) 기법으로 면적인 개념의 동적 혼잡구역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비 첨두시간인 0시~7시에는 핫스팟이 형성되지 않고, 7시~24시에는 동적 핫스팟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 시간대(18시~20시)와 특정 지역(서면, 광복동)에 교통 혼잡이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적 혼잡통행료의 징수를 위한 시공간의 분석을 통해 도심에서의 교통수요 관리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역혼잡통행료와 진입통행료의 비교 (Comparison of Area Pricing and Cordon Pricing in General Equilibrium Models)

  • 유상균;정창무;이혁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5-155
    • /
    • 2009
  • 본 연구는 구역혼잡통행료(Area pricing)와 진입통행료(Cordon pricing)의 최적 부과경계와 요금수준을 탐색하고 이들 두 방식이 차선정책수단으로서 최선의 정책수단인 이론적 혼잡통행료에 비해 교통혼잡의 완화와 후생상 어떤 차별적 효과가 있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혼잡통행료가 생산 및 소비시장과 토지시장의 균형을 변화시킴에 따라 이들을 고려하기 위해 일반균형조건 아래 단핵도시에서 징수방식들을 비교하고 있다. 연구결과 구역혼잡통행료와 진입통행료의 최적 부과경계는 도시반경이 22km인 경우 도시 중심으로부터 3km 떨어진 구역경계에 동일하게 위치하며 최적 부과경계 아래 최적 요금은 구역혼잡통행료가 진입통행료에 비하여 약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론적 혼잡통행료에 가장 근접한 사회적 효용 개선효과를 발생시키는 징수방식은 구역혼잡통행료이며 진입통행료가 구역혼잡통행료 보다 낮은 개선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교통환경 개선효과 역시 사회적 효용개선효과와 동일하게 통행속도와 일일 평균통행시간에서 구역혼잡통행료가 진입통행료에 비하여 높은 개선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Internet Pricing: Circuit Pricing versus Packet Pricing

  • Kim, Jeong-Yoo;Lee, Nae-Chan;Kim, Dong-Ju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7
    • /
    • 2001
  •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market performances under circuit pricing whereby users are charged based on their length of usage time and under packet pricing whereby users are charged based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received. We show that, if packet pricing is introduced, the market price rises contrary to the government's expectation but that the overall social welfare is unambiguously increased because packet pricing reflects the social cost properly while circuit pricing does not. Also, we show that, if delivery of multi-media files requires a much higher speed, a move to packet pricing lowers the price of multi-media transmission, thereby increasing the usage of multimedia data in the absence of congestion, which may not be the case in the presence of congestion.

  • PDF

송전 혼잡처리방법 변경이 시장 참여자 수익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f the Change in Congestion Management in the Korean Electricity Market)

  • 주성관;김지희;문국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34-140
    • /
    • 2008
  • 국내 전력시장에서 현 혼잡처리방법은 혼잡비용(congestion cost)을 부가비용(uplift)형태로 전력 사용량에 비례하여 시장 전체의 모든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다. 반면 다수의 해외 전력시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역한계가격 (Locational Margnal Pricing)방식은 혼잡으로 인한 비용을 시장 참여자들에게 차등적으로 배분하고 있다. 현재 국내 전력시장에서는 송전 혼잡처리방법의 변경으로 인한 시장참여자 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혼잡처리방법의 변경이 국내 전력시장의 소비자 비용과 발전기 잉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다.

지역별 혼잡처리 방식에서의 공급자 거래전략 연구 (A Study on Strategic Behaviors in Zonal Congestion Management)

  • 이광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72-574
    • /
    • 2003
  • The congestion management is a key task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ransmission pricing mechanism in a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In this paper, the zonal method of congestion management is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equilibrium concept, and compared with the nodal pricing method. It is shown that the generation firm uses different strategies in the two methods, and the overall performance of zonal congestion management depends on the determination of zones.

  • PDF

고속도로 혼잡 완화를 위한 구간별 차등요금 부과전략 (Segment-based Differentiated Pricing Strategy for Reducing Congestion of Expressways)

  • 이은호;김동규;고승영;김효승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75-685
    • /
    • 2014
  • 본 연구는 고속도로의 혼잡 완화를 위해 차선통행료 방식에 근거한 고속도로 구간별 차등요금 부과전략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위단계의 교통혼잡 최소화를 위한 각 구간의 주행요금을 산정하는 문제와 하위단계의 가변수요 통행배정문제로 구성된 바이레벨 형태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상위단계 문제의 최적 해를 찾기 위해 민감도 분석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제안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수정된 Sioux-Falls 네트워크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차등요금 부과전략 적용 시 균일한 요금을 징수한 경우보다 교통혼잡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구간의 혼잡 완화로 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특정 구간의 과도한 혼잡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효용을 절감하기 위한 수요관리 방안으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