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ormity Assessment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9초

굴착토를 활용한 유동화 채움재의 현장 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Assessment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for Sewer Pipe using Excavated Soil)

  • 김영욱;이봉춘;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49-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굴착토를 활용한 유동화 채움재의 실용화 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유동화 채움재의 배합요인별 유동성, 재료분리 저항성, 조기강도 및 재굴착강도 등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동식 B/P를 활용한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동식 B/P를 활용한 현장평가 결과 요구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유동화 채움재의 타설 후 후속공정 개시기 확보를 위한 검토에서는 타설 5시간 후 노반재 투입 등 후속공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동화 채움재의 재굴착성 검토를 위해서는 타설 28일 코어 채취 및 강도측정, 기계 및 인력 재굴착 시연으로 재굴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설 단면 굴착 후 관 주변부 충진성 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품질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타설 후 침하량을 측정하였으며, 우수한 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굴착토를 활용한 유동화 채움재의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SM을 이용한 기업프로젝트 성공요인의 의식구조분석 (A Consciousness Structure Analysis for the Success Factors of Company Projects Using FSM)

  • 이영주;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20-72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FSM을 이용하여 기업프로젝트의 성공요인에 대한 의식구조를 분석한다. FSM은 ISM에 퍼지이론을 도입한 것으로서 다원적 가치가 복합되어 있는 시스템의 구조 인식에 보다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parameter p와 $\lambda$에 의해 변화되는 구조모형을 현실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구조모형으로서의 객관적인 적합성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된 구조모형이 현실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하더라도 보완적인 차원에서 구조 모형의 적합성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SM을 이용하여 구한 기업프로젝트 달성을 위한 성공요인에 대한 구조모형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한 적합성을 평가하여 보다 객관성 있는 구조모형을 제시하고 그 구조모형에 따라 의식구조를 분석한다.

굴착토를 활용한 속경성 유동성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평가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ssessment of Rapid Set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for Sewer Pipe Using Excavated Soil)

  • 김영욱;이봉춘;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50-45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굴착토를 활용한 속경성 유동성 채움재의 배합요인별 유동성, 재료분리 저항성, 재령별 압축강도 등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속경성을 발현하는 배합비 및 결합재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 모사 실험을 실시하여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후속공정 개시기 검토 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Kelly ball 낙하시험과 산중식 토양 경도계의 평가결과 유동성 채움재의 후속공정 개시기 확보 가능한 시간은 동일하게 약 3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일축압축강도 시험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Kelly ball 낙하 시험 및 산중식 토양경도계의 현장 적용성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레어그래피 기반 웹 서비스 조합의 구현 적합성 평가 및 테스트 방법 (Conformity Assessment and Test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s Compositions based on Choreography)

  • 국승학;서용진;김현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3-98
    • /
    • 2012
  • 최근 웹 서비스 기반 서비스 지향 구조가 분산된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통합을 위한 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서비스 지향 구조에서의 코레어그래피는 기업 간 비즈니스 프로세스 환경에서 메시지 교환에 초점을 맞춘 협업 방식으로 참여하는 서비스들 사이의 작업 진행 순서와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정의함으로써 거시적인 측면에서 전체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레어그래피는 웹 서비스 조합을 실행시키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구현 모델로 변환 후 사용된다. 따라서 코레어그래피 모델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현 모델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코레어그래피 모델을 정확하게 구현하였는지 반드시 평가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레어그래피 모델과 구현 모델의 서비스 조합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수행을 통한 동작의 일치성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을 제시한다.

단파장 자외선(254 nm)에 노출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카르보닐 지수(CI)와 기계적 물성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Carbonyl Index Induced through Short-wavelength Ultraviolet Radiation (254 nm) for High Density Polyethylene)

  • 김창환;신진용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38-143
    • /
    • 2013
  • 화학적 열화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단파장의 자외선(254 nm)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표면에 조사하여, 생성된 carbonyl band의 변화로부터 기계적 물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오랜 시간이 요구되는 자연 태양광에 의한 옥외폭로시험이나, 제논-아크 광원에 의한 광 열화 대신에 광양자 에너지가 높은 UVC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유도되는 광열화의 화학적 특성이 동일한 기계적 물성 변화를 유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인장시험과 크리프-파괴시험으로 진행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기계적 강도는 CI 변화에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항복강도와 신장률은 자외선 노출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빠른 표면 열화를 유발하는 UVC 램프를 활용한 카르보닐 지수와 기계적 물성 변화의 관계를 통하여 장시간이 요구되는 옥외에서의 기계적 물성변화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레일패드 정적 수직강성 시험방법의 적합성 평가 (Conformity Assessment of Vertical Static Stiffness Test Method for Rail Pad)

  • 배영훈;김만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2
    • /
    • 2015
  • 궤도 안전을 위한 핵심 용품인 레일체결장치의 구성품 중 레일패드 또는 베이스플레이트 패드의 정적 수직강성은 궤도 전체의 강성 결정 시 중요 인자이며, 패드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품질관리 기준이 된다. 패드의 정적 수직강성 확인은 시험을 통해 가능하며, 시험방법으로는 철도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EN 13146-9 및 이를 부합화한 KRS TR 0014 규격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규격의 정적 수직강성 시험방법 중 예비하중 단계, 하중 제거 수준 및 하중 유지시간 관련 문제점 개선을 위해, 패드 관련 국내외 시험규격을 분석한 후 시험방법 안을 제시하였고, 철도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패드 4종을 이용하여 시험방법 안을 적용한 정적 수직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험방법 안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험결과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Decision Making Method based on Function and Performance Matrix Assessment Considering Design Change

  • Oh, Youngsuk;Chun, Jaeyoul;Cho, Jaeh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83-91
    • /
    • 2015
  •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unctions and performances enables a selection of appropriate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design and can prevent defective design. A performance-based design quality management can ensure successful project comple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model for design quality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defective design and to minimize design change. The new quality management model defines the requirement about function and performance based on technical characteristic, and assesses suitability for design alternative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quality matrix assessment method that can compare the alternative design and requirements defined with the new quality management model. This method can judge conformity and suitability of design quality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configured.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사후환경평가 항목 제언 (Suggestion of the Post-Environmental Evaluation of Road-side Cut Slope after Revegetation Works)

  • 김태국;김남춘;김은범;구민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5-86
    • /
    • 2018
  • This research was thereby made to study and analysis ecological, landscape, and stability qualities of roadside cut Slopes in expressways and national highways that went through revegetation works. Also, evaluation items and framework for integrated assessment of plant structure and restored state for the maintenance were suggested.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firstly, for stabilization of introduced native plant species on roadside cut slops, assessment on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through long-term monitoring and maintenance works must be made. It signifies a form of authentic recovery and restoration by the native plants. second, current evaluation framework on the test beds is well managed with clear evaluation standards and table while its method of assessing the post management with only test bed results lacks conformity with this study site. Newly developed evaluation framework on the post construction sites is estimated to be used as assessment standards on any roadside construction sites. Third, after site investigation distinction was observed among different revegetating construction types in the long-term perspective. Due to the different duration time of vegetation state between seed-spray measures(degraded in time) and layer-spray measure(maintained), the use of coarse straw-mat mulching work or Coir net was suggested in long term maintenance of cut slopes. forth, segmentation of post environmental assessment is organized into three large categories of "ecological", "stabile", and "landscape" qualities regarding post restoration quality and stability of slope through native plants with which categories marks 50, 30, 20 points of rates. fifth, components of the post environmental assessment were segmented in twelve categories driving results from former experimental construction and newly focused items on sit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opose a customized assessment method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location of construction work if th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post-environment assessment methods for road construction surface recording is conducted systematically.

위험도 매트릭스를 활용한 철도시설물 구간 위험도평가의 사례연구 (Case Study on Risk Assessment of Railway Infrastructure Sections Using Acceptable Risk Matrix)

  • 신덕호;박찬우;채은경;이준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50-557
    • /
    • 2017
  • 철도적용 신뢰성 및 안전성관리에 대한 국제표준 제정과 해당 국제표준에 대한 제3자 적합성평가의 정착으로 철도안전과 밀접한 신호시스템을 중심으로 정량적 위험도평가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량적 지표를 활용한 위험도관리는 사고정의, 허용수준의 정량적 RAMS 목표수립으로부터 시작되어 운영기간 중 위험도가 허용수준으로 유지됨을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철도시설물의 5.5년간(2010년 1월~2015년 6월)의 관리장애 정보를 사용하여 국제표준에 따라 위험도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철도시설물 구간에 대한 위험도평가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과학적 위험도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Epichlorohydrin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관리 (Hazards Assessment and Workplace Management of Epichlorohydrin)

  • 김현영;황양인;국원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73
    • /
    • 2012
  • Objectives: Epichlorohydrin is a material that has been predicted to have high volatility and strong toxicity and is used normally in working area. Therefore, the hazardous and dangerous level and the foreign management system about epichlorohydrin should be invested at home and abroad and through hazard assessment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and exposure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domestic working area. Methods: To assess risk and to suggest Development and Adoption to prevent health damage of workers owing to the epichlorohydrin exposure, the hazardousness and dangerousness of epichlorohydrin and its practical examples and regulation level for domestic and abroad health impairment are researched on the base of various references. Results: The epichlorohydrin caused skin and mucus membrane irritation, respiratory paralysis, kidney and live damage under the influence of acute toxicity and in animal study, it was confirmed as a doubtful carcinogenic substance to trigger reducement of sperm number and reproduction ability, abnormal spermatogenesis, mutagen, increase of forestomach epithelium and occurrence of papilloma and so on, as well as it induced stimulus asthma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for exposure workers. Conclusions: Epichlorohydrin was found to occu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rcinogenesis doubt and reproduction toxicity and was verified as a material which would be established reinforcement of management level to care health of handlers, such as denotement dangerousness of skin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