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 calorimeter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4초

철도차량용 고무바닥재의 연기발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moke Generation of Rubber Floor for Railway Vehicle)

  • 박영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5-20
    • /
    • 2018
  •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the Cone Calorimeter test and Smoke density test in accordance with ISO 5660-1 and ASTM E662 respectively to check the smok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rubber flooring materials for railway vehicle. Early in the ASTM E662 test, more smoke was produced in the flame mode test than non-flame mode test, but later more smoke was produced in non-flame mode test. The correlation($R^2$) between TSR(Total Smoke Release) by ISO 5660-1 and Ds(Specific Optical Density) by ASTM E662 Flame mode was 0.782. The $R^2$ between TSR by ISO 5660-1 and Ds by ASTM E662 Non-flame was 0.930.

철도차량 시트재료의 개별 및 조립체 시험에 대한 연기특성 비교 (Smoke density comparison for composite and single materials of train seat)

  • 이은경;이덕희;조희기;이철규;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6-201
    • /
    • 2006
  • Due to the damage which is caused by with the smoke, in the analysis statistics of a fire accident smoke is becoming the important evaluation index of fire quality. We must follow the procedures to use interior material for railway car as stated the Safety regulation for the urban railway ca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moke Density of the train seat by test between Cone-Calorimeter and Smoke Density-Chamb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moke density by test between Cone-Calorimeter and Smoke Density-Chamber is visible a similar tendency.

  • PDF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내장판용 복합재료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Composites for Interior Panels Using Cone calorimeter)

  • 이철규;정우성;이덕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5-59
    • /
    • 2004
  • Composite materials were used widely due to merit of light weight, low maintenance cost and easy installation. But it is the cause of enormous casualties to men and properties because of weak about the fire. Particularly, it is more serious in case of subway train installed composite materials. For this reason, experimental comparison has been done fur measuring heat release rate(H.R.R) and smoke production rate(S.P.R) of interior panels of electric motor car using cone calorimeter. A high radiative heat flux of 50kW/㎡ was used to bum out all materials and to simulate the condition of fully developed fire case in the tests. It was observed that Heat Release Rate and Smoke Production Rate curves were dependent on the kinds of the interior materials. From the heat release rate curves, the sustained ignition time, peak heat release rate and total heat release rate were deduced, These data are useful in classifying the materials by calculating two parameters describing the possibility to flashover.

콘 칼로리미터와 TGA를 이용한 할로겐 계통의 난연제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성 및 열 안정성에 관한 연구 (Fire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Study of Fire-Retarded Polypropylene Systems by Using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y)

  • 곽성복;정찬화;남재도;김준형;최미애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77-78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범용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virgin polypropylene, VPP)과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 decabromodiphenyl oxide (DBDPO)와 chlorinated paraffin wax (CPW)를 혼합하여 이것들의 난연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난연성 평가 측정으로 콘 칼로리미터 (cone calorimeter, ASTM E1354, ISO 5660), 한계산소지수 측정 (LOI, ASTM D2863, ISO 4589) 등을 사용하였고,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DBDPO와 CPW의 난연효율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콘 칼로리미터의 결과로 난연제의 난연효율을 측정한 결과, DBDPO가 CPW보다는 약 2배의 난연효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한계산소지수 측정 결과와 유사한 난연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열중량 분석 (TGA) 측정결과 난연제 DBDPO를 첨가하였을 때 약 30~5$0^{\circ}C$의 열분해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옥외 광고물 소재의 연소특성 평가 (Evaluation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Outdoor Advertisement Materials)

  • 엄상용;김경진;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9-84
    • /
    • 2012
  • 상층 및 인접건물로의 연소확대 위험성이 있는 옥외 광고물 소재의 연소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L 94와 ASTM D 2863에 따라 난연성과 한계산소지수를 평가하였다. 난연성 평가결과, 포멕스가 V-0의 높은 난연성을 보이는 반면 다른 시료들에서는 등급외의 난연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평가 결과에서도 포멕스의 한계산소지수가 가장 높았다. ISO 5660-1에 따라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연소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콘칼로리미터 시험결과 옥외 광고물 소재들은 화재확대 예방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렉스의 착화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특히 아크릴판은 최대 열방출율 뿐만 아니라 총 방출열량 또한 다른 소재들에 비해 높았다.

철도차량 내장재료용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Resin for Interial Materials of Passenger Train)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4
    • /
    • 2004
  • 철도차량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페놀수지의 laminate Panel과 sandwich panel의 화재특성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착화시간, 열방출율과 일산화탄소방출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차량용 내장재료로 사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화재특성을 비교하였다. 페놀수지의 중량감소 및 열분해능을 DSC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콘칼로미터 실험결과 착화시간, 열방출율 및 일산화탄소 생성량은 50kW 복사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복사열소건 하에서는 sandwich-페놀수지가 laminate-페놀수지보다 더 빨리 착화되었다. 기존 철도차량에 적용되었던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비교시험 결과 페놀수치의 화재성능이 발열량 및 일산화탄소 방출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연소재와 일반소재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연소특성 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luminum Composite Panels for Flame Retardant and General Materials)

  • 민세홍;윤정은;김미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05-1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일반재와 난연재에 대한 화재성능 비교분석에 관해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중소형 실험장치 중 콘칼로리미터 실험과 SBI(Single Burning Ite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콘칼로리미터 실험에서 최대 열방출률이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은 $1,293kW/m^2$($75kW/m^2$), 난연 알루미늄복합패널은 $70kW/m^2$($75kW/m^2$)가 측정되었다. SBI 실험에서 화재확산지수가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은 약 743W/s이고 난연 알루미늄복합패널은 약 97 W/s의 값이 측정되었다. 이는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의 경우 건축물 내장재의 성능기준에서 난연기준에도 훨씬 못 미치고, 플래쉬 오버(Flash over)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알루미늄복합패널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여 외장재로서 사용 시 갖춰야 할 조건에 대한 기준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건축용 난연 목재 개발에 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for Construction)

  • 서현정;김남균;조정민;이민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49-15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fire-retardant performances and combustion/thermal characteristics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fire-retardant untreated wood from the expreimental resutls of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ic(TG) analyzer. Hazardousness of combustion product gases for fire-retardant treated wood and untreasted wood were also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internal finish material incombustibility test according to the Korea standard code of KS F 2271. In this study, we also tried to improv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wood by applying fire-retardant chemical composites, and to secure the fire safety performance in buildings. Red pine (Pinus densiflora) was selected as a test specimen because it is most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in Korea. Fire retardant chemical composites (FRCs) were prepared by mixing boron, phosphorous, and nitrogen species and treated by press-impregnation method. Water-based FRCs were composed of 3% boric acid($H_3BO_3$), 3% borax decahydrate($Na_2B_4O_7$), 8% ammonium carbonate($(NH_4)_2CO_3$), diammonium phosphate ($(NH_4)_2HPO_4$) varied from 10-30% and potassium carbonate($K_2CO_3$) varied from 10-30%. From the test results of cone calorimeter, TG analysis and gas hazard assessments, newly proposed were the optim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s of FRCs which can sufficiently meet fire-retardant level 3 based on Korea law of construction. Thus, the FRC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and widespread of usage in wood as building materials.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Plastic Insulating Materials from Cone Calorimeter Test)

  • 이근원;김관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6-84
    • /
    • 2003
  •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과 같은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은 ISO 5660에 따라 콘칼로리미터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실험재료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업용 플라스틱 단열재를 사용하였고 그들의 조성은 제조자에 의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 결과플라스틱 단열재의 열방출율은 재료의 밀도와 열플럭스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플라스틱 단열재 중 폴리에틸렌 폼이 최대열방출율 및 평균열방출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열플럭스 및 밀도의 증가에 따른 최대열방출율의 증가율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단열재에 의한 화재예방을 위해 제품의 종류 및 열플럭스의 크기에 따른 열방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착화성 및 열방출특성 연구 (A Study on Ignitability and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of Rigid Polyurethane Foam)

  • 공영건;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7-12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Setchkin 착화성시험장치와 산소소비원리를 이용한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난연처리되지 않은 경질우레탄폼의 착화특성 및 열방출특성 및 플래쉬오버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경질폴리우레탄폼의 유도발화온도(FIT)는 $383^{\circ}C$$390^{\circ}C$, 자연발화온도(SIT)는 $493^{\circ}C$$495^{\circ}C$로 나타났으며 자연발화온도가 유도발화온도에 비해 약 $100^{\circ}C$ 높게 나타났다. 콘칼로리미터실험에서는 착화시간은 heat flux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빨라졌으며 동일한 heat flux 크기에서는 밀도가 작을수록 착화시간은 짧게 나타났다. 열방출율은 $50 ㎾\m^2$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열방출율의 경우 heat flux의 크기와 밀도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착화시간과 열방출율의 관점에서 경질폴리우레탄폼의 화재성능은 가해진 heat flux의 크기와 밀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etrella의 제안방법에 의해 플래쉬오버 가능성을 분류한 결과 플래쉬오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