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ite electrolyte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3초

전해질 연료전지용 복합분리판의 특성에 미치는 TiB2 첨가효과 (Characterization of Titanium Diboride Composite Bipolar Plat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박종문;손지하;박용일;이동구;오명훈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69-174
    • /
    • 2014
  • The effect of varying amounts of graphite and $TiB_2$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omposite bipolar plates was systematically studied. In this study, Titanium diboride ($TiB_2$) which has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was selected as a filler and a additive material instead of conventional graphite. For proper distribution of the filler and matrix materials, ball milling using alumina balls was conducted for 1h, and then the hot press method was applied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samples. The results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omposite bipolar plates at the critical filler content. However, $TiB_2$ and graphite composite bipolar plates showed similar increases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ven though $TiB_2$ has a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graphite.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a small addition of $TiB_2$ to graphite filler could be very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composite bipolar plate.

설폰화된 폴리설폰/PPSQ 유-무기 복합 전해질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 특성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of Sulfonated Polysulfone/PPSQ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권정돈;이창진;강영구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3
    • /
    • 2004
  • 설폰화된 폴리설폰 (sulfonated polysulfone, SPSF)과 Poly(phenylmethyl silsequioxane) (PPSQ)의 유무기 복합 전해 질막을 제조하여 이온전도도와 메탄을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클로로트리메틸실란과 클로로설폰산의 반응 몰비와 반응시간를 변화시켜 설폰화도가 $37\~75\%$인 SPSF를 합성하였다. SPSF/PPSQ복합 전해막은 SPSF와 PPSQ를 DMF에 용해하여 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복합 전해질막의 수소 이온 전도도는 상온에서 $2.8\times10^{-3}\~4.9\times10^{-2}S/cm$이었으며 설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제조된 설폰화된 폴리설폰 복합 전해질막의 메탄을 투과도는 이온전도도와 설폰화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PPSQ의 함량이 커질수록 메탄을 투과도가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 $5wt\%$ PPSO론 포함한 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 및 메탄을 투과도는 SPSF에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지만 함수율을 크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탄소 나노 재료 기반의 전기-화학적 구동기 (Nano Carbon Material Based Electrochemical Actuators)

  • 차주영;강인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51-1258
    • /
    • 2011
  • With the help of nanoscale materials like carbon nanotube (CNT), there is the potential to develop new actuators that will provide higher work per cycle than previous actuator technologies, and generate much higher mechanical strength.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actuation characteristics of nano carbon materials were experimentally studied to develop electrochemical actuators. The electrochemical actuators were composed of aqueous NaCl electrolyte and their actuating electrodes were made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polystyrene composite and graphene respectably. Actuation is proportional to charging transfer rate, and the electrolysis with an AC voltage input has very complex characteristics. To quantify the actuation property, the strain responses and output model were studied based on electrochemical effects between the nano carbon films and the electrolyte.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고성능 과불소화계 전해질 막 개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Developments of High-performance Perfluorinated Sulfonic Acid-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 최찬희;황선수;김기현
    • 멤브레인
    • /
    • 제32권5호
    • /
    • pp.292-303
    • /
    • 2022
  •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수송용, 발전용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변환장치이다. PEMFC의 주요 구성품 중 하나인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은 구동시간 동안의 높은 수소 이온 전도도와 물리화학적 안정성 갖춘 과불소화계 고분자(perfluorinated sulfonic acid, PFSA) 기반 PEM (PFSA-PEM)이 상용화 되어있다. 하지만 PFSA-PEM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낮은 유리전이온도와 높은 기체 투과도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PFSA-PEM의 성능 향상 및 단점 보완을 위해 1) PFSA의 측쇄부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온교환용량의 증가와 고분자의 결정성을 증가시켜 PFSA-PEM의 능력을 향상시킨 연구와 2) 유/무기 첨가제를 도입하여 수소 이온 전도도 및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복합 막 연구 및 3) 다공성 지지체를 도입하여 PEM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막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내구성을 큰 폭으로 개선한 다공-충진막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Supercapacitor용 $V_2O_5$-AC Composite의 충방전 특성 (Charge/discharge Properties of $V_2O_5$-AC Composite for Supercapacitor)

  • 김명산;김종욱;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6-36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V2Os-AC(activated carbon) composite electrode for supercapacitor. Supaercapacitor cell of V2Os-AC composite electrode with 25P70FLiCIO$_{4}$/PC$_{10}$/EC$_{10}$ polymer electrolyte bring out good capacitor Performance below 3V. The discharge capacitance of V2Os-AC(30:70) composite with 70wt.% AC in 1st and 200th cycles was 9.6 and 8.2 F/g at current density of 1m7/cm2. The capacitance of V$_2$O$_{5}$-AC composite with 70wt.% AC capacitor was larger than that of others. The coulombic efficiency of supercapacitor at discharge process of 1 and 200 cycles were 96 and 100%, respectively. V$_2$O$_{5}$-AC composite supercapacitor with 70wt.% AC content showed good capacitance and stability with cycling.ing.ing.

  • PDF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s)용 Sulfonated Graphene Oxide (sGO)/Nafion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Sulfonated Graphene Oxide (sGO)/Nafion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 신문식;강문성;박진수
    • 멤브레인
    • /
    • 제27권1호
    • /
    • pp.53-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전해질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sulfonated graphene oxide(sGO)와 Nafion을 이용하여 복합막을 개발하였다. sGO/Nafion 복합막 안의 sGO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각기 다른 용매를 사용한 sGO 분산액과 Nafion 현탁액을 혼합하여 복합막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막들의 물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EM, FT-IR, 이온 전도도, 이온 교환 용량, 함수율, 열안정성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ODB와 DMAc 혼합 용매로 sGO를 분산하여 고분자 용액 내에서의 분산도를 향상시켰으며, 이 결과 11 wt%의 낮은 함수율에도 불구하고, $0.06Scm^{-1}$의 기존 연구와 유사한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Gamma-butyroloctone(GBL)을 첨가한 유기계 전해액의 고전압용 전기화학 커패시터로의 응용 (Organic Electrolyte of the Additive the Gamma-Butyroloctone (GBL) for Additive Material Application to High Voltage Electrochemical Capacitor)

  • 유선경;박수길
    • 전기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전압용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응용을 위한 유기 전해액 개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기준 전해액으로는 1M의 $SBPBF_4$염이 포함된 EC:DMC(1:1) 복합 전해액을 사용하였으며, 고전압 안정성을 위해 기준 전해액에 첨가제 GBL을 5 wt.% 첨가했다. 0-3.5 V 전압 범위에서 초기 250 사이클까지의 효율이 약 2.5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00 사이클 이후에는 약 3배 이상의 커패시턴스 효율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전압에서 GBL이 전해액 보다 먼저 분해를 일으켜 전해액이 분해되는 현상을 억제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해된 GBL이 전극 표면에 흡착하여 안정한 SEI 층을 형성해줌으로서, 전극 표면을 보호하여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세리아계 복합체 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Ceria Based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s by an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 이영인;좌용호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2-228
    • /
    • 2014
  • Much research into fuel cells operating at a temperature below $800^{\circ}C$. is being performed. There are significant efforts to replace the yttria-stabilized zirconia electrolyte with a doped ceria electrolyte that has high ionic conductivity even at a lower temperature. Even if the doped ceria electrolyte has high ionic conductivity, it also shows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in a reducing environment, therefore, when used as a solid electrolyte of a fuel cell, the powergenera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uel cell may be degraded. In this study, gadolinium-doped ceria nanopowder with $Al_2O_3$ and $Mn_2O_3$ as a reinforcing and electron trapping agents were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fter firing, their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ure gadolinium-doped ceria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