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education

검색결과 1,897건 처리시간 0.026초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과대 여학생 역량분석을 반영한 교수법 모델 (A Pedagogical Model Reflecting on Competency Analysis of of the Female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apacity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earning ability of femal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e used various tools to derive core competencies. The competency element of human resources implementation, the el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area i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achievement elements of the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were analyzed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was searched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competenc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we developed a model that can apply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n the curriculum to the liberal arts, majors, and comparative courses, and presented the internship in field experience area, the improvement of on the spo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nd guidance to enhance the female students' competence. Also, as a case study of the proposed teaching method, new curriculum of 'Understanding of Big Data' which is the ba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positive, and we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education model to enhance the learning ability and capacity of female students.

간호사의 근거중심실무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 김연숙;김지미;박미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3-153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EBP) among clinical nurses and to explo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TD) and organizational culture (OC) as possible predictors for competency in EBP.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aseline data for purpose of developing evidence-based OC to ensure safety of patients and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n clinical setting. Methods: With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a competency in EBP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convenience sample of nurses (N=393) from a singl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overall mean score for competency in EBP was $3.03{\pm}0.53$.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BP were education (${\beta}=0.23$, p<.001), attendance at lectures on EBP (${\beta}=0.18$, p<.001), intellectual eagerness & healthy skepticism (${\beta}=0.27$, p<.001) among CTD, and hierarchy-oriented OC (${\beta}=0.14$, p=.005), which explained about 35%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and competency in EBP should be part of nursing education especially for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strengthening clinical practice by activation of EB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hierarchy-oriented OC, i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ompetency in EBP is difficult to accept. Its seemed to require further exploration.

역량모델에 기초한 직업훈련기관장의 훈련요구분석 (Training Needs Assessment Based on the CEO Competency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 임경화;김정일;이문수;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58-165
    • /
    • 201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 분야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직훈기관의 최고관리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육요구분석 차원에서 직훈기관장의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공공직훈기관, 민간직훈기관, 학원 및 기타 평생교육기관의 최고관리자로서, 주요조사 내용은 교육요구조사와 역량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직훈기관장의 직무분석, 잠정적으로 정리한 역량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중요도, 숙달수준, 학습 희망도를 통해 역량의 우선순위의 파악과 이에 기초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FGI, 현장조사 등의 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교육역량모델에 기반한 교육훈련요구 분석결과 그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은 '인재확보능력', '시장변화 및 교육생의 요구파악', '문제해결능력', '리더십 스킬', '창의적 사고', '조직역량분석 및 진단', '정보수집 분석능력' 등이다.

  • PDF

역량 온톨로지 기반 교육 콘텐츠 검색 시스템 (The educational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competency ontology)

  • 이윤수;장병철;강현상;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87-494
    • /
    • 2010
  • 최근 교육에서 대두 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가진 역량에 따라 학습자의 목표를 이루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된 역량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다. 우리는 임의의 학습자에 대한 역량 정보와 목표를 LIP 또는 ePortfolio 형식을 통해 제공하는 학습자 정보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본 논문은 많은 교육 콘텐츠들이 존재할 때 위 역량 평가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학습자의 역량 및 목표와 역량 맵을 확장한 역량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각 학습자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역량 온톨로지와 도메인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역량 맵과 역량 정의가 지속적으로 변하더라도 유연하게 이에 대처할 수 있다.

수학과 평가 문항의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 분석 (Feature analysis for competency and representation type of mathematics assessment)

  • 박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209-2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을 출제할 때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을 규명하고, 수학과 평가 문항에서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 분석 및 2차에 걸친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의 특성으로 수학 역량 범주는 12가지, 표현 형식 범주는 8가지를 추출하고, 이 특성들로 구성된 문항 특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 특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교의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에 대한 출제 경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공학교육에서의 성별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Gender in Engineering Education)

  • 허세진;전광일;한경숙;신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30
    • /
    • 2017
  •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ree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s explored societal supports contributing to retention and persistence in engineering, especially among women.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flow of research and practice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fema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tention and persistence of women in engineering is closely relevant to issues of diversity management,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감각통합 중재를 사용하는 초임치료사의 교육요구도 및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Educational Needs and Self-Assessment for Competency of Newly Employed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이지현;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22
  • 목적 : 감각통합중재를 하는 초임 치료사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년 이하의 감각통합 중재 경험이 있는 치료사 17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교육요구도와 순위를 규명하기 위해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초임 치료사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수행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역량군은 '전문성'이었으며, 응답한 교육요구도와 Borich 분석에서도 '전문성'역량군의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역량 모두에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Borich 분석에서 '전문성' 역량군 내의 하위영역 중 '평가기술'(5.56), '분석기술'(5.50), '작업치료 일반지식'(5.47)로 교육요구도의 순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초임치료사는 전문성 역량군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면서도 자신의 수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였고, 해당 교육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치료사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방향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 이성심;권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5-26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a smart phone affected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in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group,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a smart phone was given to nursing students.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5 March 2015 to 10 April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21.0. Results: In self-efficacy and skill competenc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ractice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 is effective in practice satisfaction.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s an effective educational device.

경영자로서 한의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of the managerial competencies for Korean Medicine doctors)

  • 김일영;임병묵;김동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7-66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of managerial competencies for Korean Medicine doctors. Method :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sent via on-line survey system to 4,107 Korean Medicine (KM) doctors who were registered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and whose business places were in Seoul. The cognition of necessities, present levels, and future importance of managerial competencies were measured. To measure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s on health management, t-test and Borich method were used. Results : The response rate was 1.9%(79 persons) and 68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ost-effectiveness studying ability and the public relations 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Analyzing the competency groups by t-test and Borich method, the marketing group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group. Many KM doctors (53 persons; 68.9%) who answered this questionnaire expressed needs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course. Conclusion : KM doctors conceded the necessity of business competency to manage their hospitals or clinics. Academic institutions needs to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courses for KM students in accordance with needs of the managerial competencies.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 응용기계설계과용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Competency Curriculum of Computer Aided Mechanical Department based on the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 류형룡;편영식;구자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7-23
    • /
    • 2005
  • 지식, 기술, 정보가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산업 발전의 변화추세에 따라 세계 각국은 일-교육$\cdot$훈련-자격의 긴밀한 연계체제인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통해 국가 인적자원 개발 시스템을 개선해 나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노$\cdot$$\cdot$정 합의에 의해 2002년부터 전 산업분야에 적용될 국가직업능력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국가직업능력표준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능대학/전문대학의 컴퓨터 응용기계설계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재개발방안을 개발하여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