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교 정보 교과서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진영학;허민;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34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는 체제와 내용의 두 가지 준거를 고려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체제는 전체 구성, 영역별 비중, 내용 전개 구조, 평가 유형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교과서 내용은 각 교과서가 다루는 개념,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에서 차이를 보였다. 교과서 비교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여섯 가지의 정보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향후 정보 교과서 개발 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용수학 교과서의 계산기 관련 단원 내용 비교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e Contents including Calculator Use in Applied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고유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35-60
    • /
    • 2006
  • In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the use of technological tools including calculator and computer are generally recommended through the seventh subjects related to mathematics emphasized, and especially in 'Applied Mathematics' subject, their use are more strongly emphasized and reflected. The total four kinds of textbooks of Applied Mathematics includes contents on their use.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are contents on calculator use, how they are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Applied Mathematics Textbook. Furtherm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ose factors of four kinds of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ultimately hope to suggest how effectively calculator use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textbook both in Applied Mathematics and the other mathematics subjects.

  • PDF

스마트 교육기반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잉킹 효과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gital Inking in the Collaboration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

  • 손원성;윤민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 6학년 24명을 대상으로 협력학습에서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였을 경우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 콘텐츠와 디지털 잉킹기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디지털 교과서의 디지털 잉킹 기능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교육 및 e-교과서 연구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잉킹의 효과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gital Inking in the Collaboration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

  • 윤민식;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3-1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학습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와 더불어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여 학습하였을 때 문제해결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험 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였고, 통제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적용한 결과 디지털교과서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기본적인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로만 문제를 해결한 학생들에 비해 문제해결력에 향상을 보였고,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PDF

통일대비 남북한 정보통신교육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박정호;김영기;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7-165
    • /
    • 2007
  • 본 연구는 통일대비 정보통신교육 통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남북한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소학교에서는 정보통신교육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중학교에서 주당 2시간씩 필수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재학교, 제1중학교, 일반중학교 등 학교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에 차이가 있었고, 특히 일부 수재학교에 집중적인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한의 컴퓨터 교과서는 영역별로 골고루 내용이 선정되어 있었는데 북한의 경우 컴퓨터의 기초지식 및 문서작성에 대부분이 할애되어 있었으며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최신의 내용이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BASIC 프로그래밍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활용 중심인 남한의 교육과 대조를 보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Software Educati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Ji-Yu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5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comparison of software education unit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mparative analysi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ystem, unit structure, learning objectives, the way of placing contents, activities, supporting materials, providing resources,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have secured a lot of quantity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learning objectives is shown to be lacking. All the textbooks were uniformly arranged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operative activities are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previous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evaluations have a large variation among textbooks and some have fewer types.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의 내용 및 용어에 관한 남북한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Content and Terminology of Middle School Computer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 박정호;안성훈;이원규;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17
    • /
    • 2007
  • 본 연구는 통일대비 교육통합을 위한 연구로서 남북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한 교과서는 영역별로 균등하게 선정된 것에 비해 북한은 컴퓨터의 기초지식, 문서작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최신의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해결력 시장을 위해 BASIC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 관련 내용이 삽입되어 있어 향후 IT 인재육성을 대비하고 있었다. 또한 용어부문에선 남북한 언어정책의 차이, 기술유입경로의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언어의 이질화가 발견되었다. 통일 후 정보교육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과서의 내용 선정 및 용어의 표준화를 위한 남북한 IT 관련자 및 학계의 공동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계산적 사고 교육을 위한 중학교의 학습요소 추출과 정보 교과서 분석 (Extraction of Learning Contexts and Analysi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Order to Teach The Computational Thinking in Middle School)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5-54
    • /
    • 2013
  • 계산적 사고는 최근 정보 교과의 교육과정과 컴퓨터 교육학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국외의 연구와 비교하여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기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산적 사고에 대한 정의, 학습 단계, 학습 요소를 국외 연구를 참조하여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된 학습요소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계산적 사고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계산적 사고 학습을 위해 필요한 3단계와 13가지의 학습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고, 현재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 수집을 비롯한 5개의 학습 요소가 제외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7종의 인정 정보 교과서는 10개의 학습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주거개념에 대한 중요도 인지 및 주거학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시를 중심으로 - (Scondary home economics teachers' opinions reganiding importance of teaching verious housing concepts and use of teaching method and media)

  • 최영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3-128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level. The main tasks of Investigation were to: (1) identify appropriate housing concepts to be taught at secondary school, (2) determine the Kinds of media and methods used for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1) the teacher`s background, (2) the teacher`s opin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ing. (3) what type of media and methods were used by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In Pusan during November 1959. The Sample, 150Home Economics teacher was randomly selected from secondary school list in Pusan. Responses from 122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process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and N.P.E.R.C using for frequency counts and percentages to analyze the data from all three sections of questionnai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Newman-kuels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used to reject or accept the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pin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 and teachers actural practice of teaching housing concepts and topics, (2) teachers taught housing concepts which were important to teach by their opinion, even though those concepts were neglected in textbook, (3) teachers did not use a various of media and methods for their teaching housing class, (4) the important reasons given why the teachers for not using the various media and methods were because of undesirable educational situations, and (5)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ackground and teachers` opinion regarding importance of teaching topics in housing class at secondary school, using media and methods.

  • PDF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ctive Activities Using GeoGebra on the Proof Abilities and Attitude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권윤신;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23-14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들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수학영재 20명(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이고, 실험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 중심의 증명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증명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시 후 증명능력 검사와 증명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명 이전의 선행활동으로서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능력에 있어서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증명 이전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적 활동을 통해 증명 학습을 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에 대한 신념 및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GeoGebra의 측정 및 끌기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도형을 변화시켜 불변의 성질을 탐구하며 가정 및 결론을 분리하여 직접 명제를 만드는 것이 증명 학습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