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작업치료 이미지 조사 (A Study on the Image of Occupation Therapy in the Dep.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혜선;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78
    • /
    • 2011
  • 목적 : 본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전문직의 발전을 위한 작업치료이미지 개선을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소재 4년제 대학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40부의 자료를 수집한 결과 누락된 문항이 포함되거나 손상된 설문지를 제외시키고 316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 : 1)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작업치료 이미지 인식(M=3.676)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도구요인 분석은 전문적 이미지, 직업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헌신적 이미지 4가지로 구조화하였고 그 결과 전문적 이미지(M=3.925)가 가장 높고, 헌신적 이미지(M=3.84), 직업적 이미지 (M=3.774), 사회성 이미지(M=3.160)의 순이었다. 3) 학년별 작업치료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연하장애 인식과 중재 필요성 (A Survey About Awareness and Necessity of Community Based Dysphagia Therapy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39-5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재활 인식도, 교육 및 치료 경험과 현황을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 중재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지역사회 연하장애 인식, 교육, 치료에 관한 직접 설문을 진행한 후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9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치료 경험은 높지 않았으나, 중요성 및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교육 주제로는 구강 건강 및 관리, 씹기 및 삼킴, 구강운동법으로 다양하였으며, 추후 보건소에 연하재활 프로그램이 생기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연하재활 교육 및 치료 참여가 어려운 이유는 정보 및 기회 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연하장애 증상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하재활은 일생에 걸친 주요 일상 활동인 먹기 및 삼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재활의 주요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하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연하재활에 관련된 정확한 인식 제공과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 증상 조기 발견과 중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여가활동 간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y of Elderly People)

  • 이진욱;임강현;김하린;방유경;이지영;조미림;김덕주;양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5-7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y in elderly people above 65 years of age, and to improve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baseline data for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118 elderly people above 65 years of age who lived in local community and two senior welfare center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we used MMSE-K, KDS, Questionnaire for leisure activity.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ognition(p<.01) and leisure activity(p<.001), whereas 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leisure activity(p<.01).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y of elderly peopl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leisure activity program should be designed through additional research and effectively provided in nursing home and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 to prevent depression increase and cognitive decline.

복지국가와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한 방문재활서비스 도입방안 - (Welfare State and Development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 Inclusion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

  • 윤태형;김태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5-59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개념과 사회복지영역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정책의 발전을 비교 분석해 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통하여 복지국가의 개념과 사회복지의 영역을 기술하였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과 장애인정책을 각 정부별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노무현 정부의 장애인정책을 분석하였다. 결과 : 경제성장과 더불어 복지정책과 장애인복지정책은 '선택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사회복지정책의 영역에 있어서도 과거 이승만 정부시절의 '최소한의 보장'에서 노무현 정부의 '참여복지'에 이르기까지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장애인 복지정책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결론 :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는 오늘날 '보편적 사회복지'의 큰 틀에서 등록 장애인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드러나지 않는 장애를 지닌 일반인과 노인을 위한 방문재활서비스와 같은 미 충족 작업치료서비스를 발견하고 제공해야 할 것이다.

  • PDF

지역 요양시설 치매환자에서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의 인지와 손기능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a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on and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community)

  • 강은영;정복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98-4804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게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우울, 수부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일개광역지역 소재 요양원에 입소한 환자를 중심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9명의 전체 21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신체활동을 포함한 현실인식 훈련, 점진적 단어소실기법, 수공예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심의 인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서 인지기능, 우울정도, 수부근력과 수부조화운동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5). 그 결과 본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은 치매환자에서 우울감소와 수부근력 및 수부조화운동,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유용한 중재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치매는 주로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조기중재를 통해서 환자의 잔존기능 유지와 사회복귀를 위한 다양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 최정실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1-79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들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임상에서 치료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MEDLINE/PubMed와 AOTAPress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에서 1993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 효과를 살펴 본 10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감각조절장애와 자폐스펙트럼의 진단군이었으며, 중재 효과를 증명하기 위에 선택한 다른 중재유형은 여전히 과거의 체계적 고찰연구와 유사하였다. 중재기간은 대체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를 10주 이상, 20회기 이상, 적어도 주당 2~3회 정도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가 대체로 효과적인 편으로 특히 운동수행영역과 행동개선 영역, 학습과 관련한 교육영역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감각처리 영역이나 작업수행영역에 감각통합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GAS를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노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에게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디자인의 최소 틀을 알고 연구계획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될 것이다.

  • PDF

주간보호시설 치매환자의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효과-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Dementia Patient in Day-care center)

  • 이성아;정원미;황윤정;박정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55-2063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에게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치매진단을 받은 9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총 4주간 감각적, 신체적,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전 후 시지각 기능,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실시 후에 대한 분석 결과 시지각 기능과 작업수행에서는 기초선과 프로그램 종결 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p<0.01, p<0.05)가 있었지만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전 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조사 (A Study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 김민호;박성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9-228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is therapy at these centers. Methods : Data on 1,527 adult day care centers in South Korea were retrieved from a long-term care insurance site for the elderly an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 Of these centers, 1,331 (87.2 %) were cognitive activity-oriented, 37 (2.4 %) were exclusively for dementia treatment, and 159 were nonspecialized centers (10.4 %). A second finding was that 294 (19.3 %) of the centers operat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Third, only 40 occupational therapists (2.6 %) were working at one of these 1,527 care centers nationwide. Fourth,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mprised 4.91 ± 3.93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per center, 2.58 ± 2.26 training assistance programs per center, and other programs 2.56 ± 2.58 per center. Fifth, a regional comparison of the op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at these cent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ograms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 Conclusion : Although most adult day care centers currently deliver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they show a low employment rate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nvolving workers at adult day care centers is required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the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 홍소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19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및 제도 내에서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전국의 152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1일부터 2019년 6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제도 인식도, 역할과 수행 인식도를 분석하였고, 근무연수, 근무지역, 업무 분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한 인식은 2.93±1.04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커뮤니티케어제도의 중요도는 3.94±0.799점, 제도 내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는 4.34±0.76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는 낙상 예방(4.63±0.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행도는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훈련 (3.94±0.8), 신체 기능 증진훈련(3.94±0.8)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 인식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호스피스 작업치료에 관한 범위 고찰 (Scoping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김지윤;김환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3-45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작업치료 연구방향과 한국 호스피스 작업치료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임상에서 호스피스 작업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범위 고찰을 통하여 1980년에서 2013년 12월까지 발행된 논문을 CHINAHL, MEDLINE, Scopus에서 검색하여 연구에 적합한 45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 연도, 연구 출처, 저자특성,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호스피스 작업치료 논문은 1980년대부터 꾸준히 게재되다 2000년도부터 그 수가 약 3배 증가하였다. 연구 출처는 총 21개 학술지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였다. 둘째, 호스피스 작업치료 논문의 저자 특성은 직업은 작업치료사가, 지역은 미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약 4배 정도 많이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공예활동, 일상생활활동훈련, 이완요법, 보호자 교육, 영성의 적용 등이 있었다. 호스피스 작업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으로는 하기-되기-되어가기 이론의 틀과 인간 작업 모델이 소개되었다. 교과과정과 임상교육을 통해 호스피스 작업치료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며 죽음에 대한 이해와 대처 기술에 대한 꾸준한 교육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결론 :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과 논문 수의 증가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발전과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임상과 연구영역에서 균형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하기-되기-되어가기 이론의 틀과 인간 작업 모델은 임상에 적용 가능한 이론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에서는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임상에서는 여러 교육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호스피스 작업치료가 시작되는 거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