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최정실 (주성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11.12.03
  • Accepted : 2011.12.2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ed to identify, evaluate, synthesize the research literature and suggested to the research dire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Methods : We analyzed 10 studies that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fering in MEDLINE/PubMed and http://ajot.aotapress.net between 1993 and 2011. Results : The subjects were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nd autism spectrum. The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imilar to a previous studies. Intervention dosage was over 20 sessions, 2~3days per week more than 10weeks.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may result in positive outcome in motor performance, behavioral outcomes, academic and psychoeducational outcomes and tried to currently ident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 outcomes in sensory process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using the GAS. Conclusion : Clinicians have a minimal idea planing a research design and a evidence running a study.

목적 :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들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임상에서 치료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MEDLINE/PubMed와 AOTAPress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에서 1993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 효과를 살펴 본 10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감각조절장애와 자폐스펙트럼의 진단군이었으며, 중재 효과를 증명하기 위에 선택한 다른 중재유형은 여전히 과거의 체계적 고찰연구와 유사하였다. 중재기간은 대체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를 10주 이상, 20회기 이상, 적어도 주당 2~3회 정도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가 대체로 효과적인 편으로 특히 운동수행영역과 행동개선 영역, 학습과 관련한 교육영역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감각처리 영역이나 작업수행영역에 감각통합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GAS를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노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에게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디자인의 최소 틀을 알고 연구계획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