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 패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on the Toddler's Sleep Pattern : Single Subject Research)

  • 정혜림;노금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32
    • /
    • 2012
  • 목적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패턴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의 지속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 연구로서 2주간 14회기의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를 실시하고, 아동이 잠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수면시간, 취침시각, 잠들기까지 하는 행동의 정도를 통해 수면 패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관찰기록은 사전에 연구자로 부터 교육을 받은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실시하였다. 결과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의 적용 후 아동은 잠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수면시간, 취침시각, 잠들기까지의 행동의 정도에 변화를 보였으며, 추적조사에서 잠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은 일정기간 유지되었다. 결론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 패턴의 안정과 관계가 있으며, 감각식이 활동의 효과는 수면 패턴의 유지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앞으로 일반화를 위해 많은 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인지 손상 선별 도구로서 CDT의 신뢰도 및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lock Drawing Test as a Screening Tool for Cognitive Impairment in Clients after Cerebrovascular Accident)

  • 이상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12-4618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클라이언트에서 생산과제의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하고 Freedman 등의 양적 채점 방법을 사용하여 인지 손상 선별 검사로서 CDT(Clock Drawing Test)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2010년 11월 부터 2011년 8월 까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클라이언트 51명을 대상으로 CDT와 K-MMSE(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검사하였다.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 분석으로 CD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동시타당도를 분석하였고, 맨 휘트니 유 검정을 사용하여 구성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구성타당도, 동시타당도 분석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본 연구의 결과에서 생산과제 방법을 이용하고 Freedman 등의 양적 채점 방법을 사용한 CDT는 인지손상을 선별하는 검사로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클라이언트에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활용한 입원 환자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비교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Patients' and Nurses' perspectives on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 김경진;이은정;방규원;이윤주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patients' and nurses' perspectives on the priority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research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21 patients and 144 nurse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an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IPA conducted using SPSS/WIN 21.0 version.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and nurses' mean scores o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t=-0.83, p=.409) and performance (t=-0.32, p=.751)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The IPA matrix showed a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nurses in terms of their perceived priority of nursing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atients, "helping a patient to continue to practice bedside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per care agency and community resources", and "providing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fell in the "concetrate here" area (2nd quadra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ies of patients and nurses did not match in terms of some of the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Thus,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based on the patients' needs. Allocation of resources for the service items that fell in the "concentrate here" area of the IPA need be reconsidered for the quality in nursing care.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 분석 (Analyzing Driving Risk Self-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23-231
    • /
    • 2020
  • 노인 운전자는 기능저하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지만 스스로 변화를 점검하는 자가-조절 능력 또한 발달한다. 이에 실제 노인 운전자가 운전 능력과 위험성 변화에 대응하는 특성에 대한 정보는 노인의 운전 능력 평가 현장과 연구에 의미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을 운전 중 행동과 운전관련 기능변화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노인 운전자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운전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평가를 실시하고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징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노인 운전자가 시각 및 청각이 저하되거나 운전 여건 변화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때 운전 위험성을 자각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약물 복용이나 간질, 발작, 의식손실 등 의학적 건강 상태 변화에는 둔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한국의 노인 운전자 안전 관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발달장애인의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27-434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수동휠체어 사후관리 직무수행도를 조사하고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보조기기사후관리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9명을 대상으로 상황평가와 직업능력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7개 직무로 구성된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평균 80.87%였으며 발받침 세척, 팔걸이 세척, 앞바퀴 분해 및 조립 직무의 수행도가 비교적 높았다.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시각폐쇄, 운동감각 통합, 기초개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관련성은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및 직무배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조공학과 직업재활 분야의 융합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보조기기사후관리 직무의 지역사회 확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보건 융합에 활용 가능한 노인 운전자용 자가-보고식평가(SAFE-DR)의 타당도 연구 (Validity of the Self-report Assessment Forecasting Elderly Driving Risk (SAFE-DR) Applicable to Community Health Convergence)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5-182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용 자가 보고식 평가 SAFE-DR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운전위험성 선별을 위한 기준점수를 확인하고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river 65 Plus평가를 통해 노인운전자 132명을 58명의 위험성 운전자와 74명의 안전성 운전자로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SAFE-DR 평가의 위험성 예측 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SAFE-DR 평가의 구성 타당도, 내용 타당도,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SAFE-DR 평가의 운전위험성 예측을 위한 기준점수는 74.5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기준의 양성 예측도는 88.6%, 음성 예측도는 86.3%로 판별력은 훌륭한(excellent)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중타당성, 법칙타당성, 내용타당성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AFE-DR은 위험한 노인운전자를 선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임을 확인하였다.

작업기반 회상훈련이 지역사회 비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Reminiscence training on Cogn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박주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4-260
    • /
    • 2021
  • 본 연구는 작업 기반 회상훈련이 비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비치매노인 19명이었다. 평가는 한국형 몬트리올 인지평가, 단축형 한국판 노인우울척도검사, 노인 삶의 질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작업 기반 회상훈련은 주 1회 한시간씩 총 8주간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Wilcoxon signed test를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훈련 결과 작업 기반 회상훈련의 적용 이후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의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작업 기반 회상훈련이 비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 증진과 치매예방에 긍정적인 훈련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보시스템을 통한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안전약자 요구사항 분석모델 연구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Requirements Analysis Model for the Preventive Safety and Disaster Service Inform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 이용직;지석연;김상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대국민 정보시스템 개발에 있어 장애인을 포함한 안전약자들이 서비스가 달성하고자 하는 효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내재된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하여 개인화한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안전약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재난 주제에 대한 대국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하여, 나이, 장애, 환경, 직업 등 다양한 특성에 대응되는 가상 인물을 선정하고 분석하는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의사소통기능 문제와 관련된 대상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으며, 이는 ICF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한 뒤, 최종적으로 이 요소들을 특징으로 하는 중재 및 촉진방법을 제공하였다. 결과 :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통해 가상인물들이 스마트 폰 등 의사소통장치를 활용하여 재난정보를 수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ICF의 의사소통문제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ICF코드를 기준으로 정리하여 ICF코드의 의사소통문제와 관련된 d300번 대 코드 중 d310 (음성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15 (비언어적 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20 (공식적인 수화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25 (문자메시지로 의사소통하기-수용), d360 (의사소통장치 및 기술 사용하기) 등 총 5개의 코드에서 19가지의 어려움 혹은 장벽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에 대한 각각의 중재 및 촉진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생활안전예방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구축함에 있어 사용자의 의사소통능력의 개인차를 극복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목적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ICF 분류체계와 페르소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접근성을 확보한 시스템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F의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나 질병을 포함한 건강상태와 신체 기능, 구조 및 활동과 참여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개별 사용자들의 의사소통의 수준 및 요구에 따라 적절한 중재방법과 촉진방법을 도출하여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for Life Care - Korean Version)

  • 이춘엽;박영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29-53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고 임상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콘텐츠 개발을 위해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일상생활활동훈련 133개 항목을 도출한 후 전문가 집단에 의뢰해, 도출해 낸 항목이 실제 국내 임상적용에 적합한가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용타당도 지수가 낮은 항목은 제외하였고, 기타 의견 중 콘텐츠로 도출할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여 118개로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2차 델파이 조사 항목을 그대로 제시하면서, 자신의 2차 응답과 다른 전문가 패널의 2차 평균 점수를 동시에 제시하여 자신의 의견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추가로 적합도와 중요도를 함께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평균과 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내용타당도 지수, 수렴도, 합의도를 구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차 델파이에서 CVR 0.54 이상이 105개 항목, 수렴도 0.50 이하가 111개 항목, 합의도 0.75 이상이 70개 항목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총 69개의 항목이 선정되고, 49개의 항목이 삭제되었다. 성적 활동, 타인 돌보기, 반려동물 돌보기, 아이양육은 사회문화적으로 적용하기 힘들고, 운전 및 지역사회 이동은 치료실 내에서 수행할 수 없으며, 집안관리 및 유지는 성별에 따라 역할이 다를 수 있고, 종교적·영적 활동과 표현은 개인적인 것이므로 등과 같은 이유로 중요도 혹은 적합도가 낮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의 콘텐츠는 앞으로 임상이나 지역사회에서 일상생활활 동훈련의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고혈압 노인의 도농 간 신체활동참여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of Elderly with Hypertens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백현희;이석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2호
    • /
    • pp.62-71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에 있어서 만성질환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율의 차이와 신체활동 관련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도시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근력 운동을, 여자보다 남자에서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배우자가 있는 경우 유연성 운동과 근력 운동을 각각 많이 하였다. 또한, 아파트 거주자가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유연성 운동을,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각각 많이 하였다. 농촌의 경우도 아파트 거주자가 유연성 운동을,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각각 많이 하였다. 신체활동 관련 요인은 도시의 경우 교육수준,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이었고, 농촌의 경우는 활동제한, 일상생활활동이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도시와 농촌 고혈압 노인 모두 낮은 신체활동 실천율을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실천율에 차이를 보였고, 신체활동 관련 요인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도시와 농촌 모두 기초체력을 증진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관련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