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for Life Care - Korean Version

라이프케어를 위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 콘텐츠 개발

  • Lee, Chun-Yeop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Park, Young-Ju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gang University)
  • 이춘엽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영주 (동강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09.21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of content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 Korean version that reflexes the domestic situation and can be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For contents development,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3 experts. In the first Delphi survey, 133 item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a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 extracted items are asked to group of experts, and the derived items are answered for actual domestic clinical application. In the second survey, 118 items were added by excluding items with a low content validity ratio (CVR) including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and adding items that can be derived from other opinions. In the 3rd survey, while presenting the 2nd Delphi survey items as they ar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opinions by presenting their 2nd response and the 2nd average score of other expert panels, and adding appropriateness and importance together. The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Finally, a total of 69 items were selected and 49 items were excluded so that 105 items for CVR 0.54 or higher, 111 items for convergence degree 0.50 or lower, and 70 items for continuity degree 0.75 or higher. Sexual activity, care of others, care of pets, and child rearing are difficult to apply socially and culturally, driving and community mobility cannot be performed within the clinical room, and hom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may have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gender, and religious spiritual activities and expression are so personal. For these reasons, these items were found to have low importance or suitability.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as an indicator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 Korean version in clinic or community setting.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고 임상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콘텐츠 개발을 위해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일상생활활동훈련 133개 항목을 도출한 후 전문가 집단에 의뢰해, 도출해 낸 항목이 실제 국내 임상적용에 적합한가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용타당도 지수가 낮은 항목은 제외하였고, 기타 의견 중 콘텐츠로 도출할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여 118개로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2차 델파이 조사 항목을 그대로 제시하면서, 자신의 2차 응답과 다른 전문가 패널의 2차 평균 점수를 동시에 제시하여 자신의 의견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추가로 적합도와 중요도를 함께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평균과 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내용타당도 지수, 수렴도, 합의도를 구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차 델파이에서 CVR 0.54 이상이 105개 항목, 수렴도 0.50 이하가 111개 항목, 합의도 0.75 이상이 70개 항목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총 69개의 항목이 선정되고, 49개의 항목이 삭제되었다. 성적 활동, 타인 돌보기, 반려동물 돌보기, 아이양육은 사회문화적으로 적용하기 힘들고, 운전 및 지역사회 이동은 치료실 내에서 수행할 수 없으며, 집안관리 및 유지는 성별에 따라 역할이 다를 수 있고, 종교적·영적 활동과 표현은 개인적인 것이므로 등과 같은 이유로 중요도 혹은 적합도가 낮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훈련의 콘텐츠는 앞으로 임상이나 지역사회에서 일상생활활 동훈련의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S1-S48.
  2. Schell, B., & Gillen, G.(2018).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3th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3. 박인혜(2019).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321-329.
  4. 문종훈, 전민재(2019). 가상현실 기반의 일상 생활활동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일상 생활활동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재활치료과학, 8(4): 41-51.
  5. 강승수, 구봉오(2013). 환경에 따른 과제 지향적 일상생활동작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8(2): 175-182. https://doi.org/10.13066/kspm.2013.8.2.175
  6. 이춘엽, 장문영(2014).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 생활동작훈련치료 실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2): 35-46.
  7. 김유진(2015). 한국인 신체기능상태평가(ADL, IADL) 예측모형 개발과 미래 예측 적용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수지, 박병선(2017).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도 및 측정불변성 검증. 보건사회연구, 37(4): 98-124. https://doi.org/10.15709/HSWR.2017.37.4.98
  9. 강기태, 김예성, 장문영(2019). 부산, 울산, 경남지역 작업치료사의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조사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7(4): 93-106.
  10. Estes, J., & Pierce, D. E.(2012). Pediatric therapists' perspectives on occupation-based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1): 17-25. https://doi.org/10.3109/11038128.2010.547598
  11. Cole, M. B., & Tufano, R.(2019). Applied theories in occupational therapy: A practical approach (2nd edition). NJ: SLACK Incorporated.
  12. 구형모, 김지혜, 권의정, 김성환, 이형석, 고혜정, 안상미, 김도관(2004).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3(2): 189-199.
  13. 김경미, 장문영, 박미희(2005). 노인의 가정내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 및 중요한 활동에 관한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1-14.
  14. 박경영(2002). 뇌졸중 환자용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 개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지혁, 김 협, 박민수, 우희순, 이종훈(2017). 작업치료 실행체계: 구성범주와 과정 3판. 정담미디어.
  16. 백영림(2019).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 비교.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9(2): 1-12. https://doi.org/10.18598/kcbot.2019.9.2.01
  17. 송영진, 우희순, 이향숙, 이미영, 권이영, 차유진(2016). 의료기관 중심의 작업치료 표준용어집. 대한작업치료사협회.
  18. 송영진, 우희순(2018).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에서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일상생활훈련 개선방안. 신경재활치료과학, 7(3): 35-45. https://doi.org/10.22683/TSNR.2018.7.3.035
  19. 안시내(2016). 뇌졸중 환자의 특성 및 참여 수준에 따른 작업적 목표에 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4(3): 121-131.
  20. 양노열, 정민예, 유은영, 박지혁, 이재신, 장기연(2014).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3): 1-10.
  21. 오윤택, 구애련, 정보인, 이충휘(2000). 원주지역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형태에 대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8(1): 1-14.
  22.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3. 안진성(2011). 델파이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형찬(2016). Delphi 기법을 적용한 병원인적 자원관리 필요요소의 중요도 검증. 부산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World Health Organization(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Author.
  26. 통계청(202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4/index.board?bmode=read&bSeq=&aSeq=38416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2020.09.05.
  27. Tylor, E. B.(2010).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Londres: Murray.
  28.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2017).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8th edition). Missouri: Mosby.
  29. 송요한, 정채원, 이현민(2017). 뇌졸중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일상생활 가이드라인 어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245-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