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Health survey

검색결과 2,396건 처리시간 0.038초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한 주민만족요인분석 -부여군 포괄보조금제도하에 지역개발사업을 중심으로- (A Factor Analysi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cusing on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Block Grants System in Buyeo)

  • 윤준상;박은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773-798
    • /
    • 2012
  • 이 연구는 포괄보조금제도하에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역개발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자로서 지역주민만족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여지역을 사례지역으로 부여읍과 13개의 면에 거주하는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WI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여군에서 지역개발사업의 만족도는 전체평균은 3.16 으로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2개의 변수들은 3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1은 '교통편의', '교육환경', '사회복지',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통신', '보건 및 의료서비스'의 변수 즉, 편리한 삶, 안정된 삶, 즐기는 삶과 건강한 삶을 나타내는 변수가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2는 '범죄 및 사고', '환경관리', '이웃관계 및 사회참여'의 변수 즉, 안전한 삶, 쾌적한 삶과 즐기는 삶을 나타내는 변수를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3은 '소득 및 소비활동'과 '일자리창출'을 나타내는 경제적인 삶과 '주거환경'이 공통된 범주로 묶였다.

Reasons and Motivations for Cigarette Smoking and Barriers against Quitting Among a Sample of Young People in Jeddah, Saudi Arabia

  • Baig, Mukhtiar;Bakarman, Marwan A;Gazzaz, Zohair J;Khabaz, Mohamad N;Ahmed, Tahir J;Qureshi, Imtiaz A;Hussain, Muhammad B;Alzahrani, Ali H;Al-Shehri, Ali A;Basendwah, Mohammad A;Altherwi, Fahd B;Al-Shehri, Fahd 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483-3487
    • /
    • 2016
  • Background: Cigarette smoking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e world. Tobacco consumption has gr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health so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asons and motivations towards cigarette smoking and barriers against quitting smoking among the young genera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policies to control this widespread problem.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Faculty of Medicine, Rabigh, King Abdulaziz University, Jeddah, Saudi Arabia. A total of 438 young smokers participated from the University and the general popul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onymou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 the Arabic language that contained questions about the reasons and motivations towards cigarette smoking and barriers against quitting smoking. The questionnaire also contained several questions regard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towards cigarette smoking. The data was analyzed on SPSS-16. Results: The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22.9{\pm}3.48$, out of 438 subjects 87 (19.9%) were married, and 351 (80.1%) were unmarried, and 331 (75.6%) belonged to urban areas while 107 (24.5%) were from the rural areas. Responding to a question about a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31% answered 11-20, 29% answered 21-30, and 25% answered 1-10. Questioned about smokers in the family, 34.5% responded more than one, with 19% for brother and 13% for father. About the reasons for not quitting smoking, 26% described lack of willpower, 25% had no reason, 22% said that people around me smoke, and 15.3% responded stress at home/work. The major motivation for smokers was smoker friends (42%), for 33.8% others, for 12% father/brother and 7.8% media. Conclusions: There are several avoidable and preventable reasons and barriers against quitting smoking. Howeve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were good, and the majority of the smokers were well aware of the associated hazar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arch out ways and means to help them to quit this addiction.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키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Iarge Korean sample)

  • 이신재;문성철;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치열궁 척도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96명(남자 179명, 여자 117명)의 정상교합자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 정상교합자 표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구강 검진 사업에 대상이 되었던 15,836명의 성인 중에서 선발되었다. 0.01mm정밀성을 보이는 슬라이딩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치열궁 폭경, 치열궁 기저부 폭경 및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으며, 구치부 폭경 비율과 Bolton의 지수를 도출하였다. 계측의 신뢰성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면밀히 고려하였으며, 측정시의 실험자내 및 실험자간의 신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신뢰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에서는 명백한 성차가 다시금 확인되었다. 20년전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종의 선형 계측치의 경우 명백한 성차 및 인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각종 비율 척도의 경우 성별 및 인종에 상관없이 같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임상적으로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당뇨병 환자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iabetic Eye disease and Kidney disease Screening in Diabetic Patients)

  • 강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26-235
    • /
    • 2020
  • 연구목적은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전국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의사에게 당뇨병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25,829명이다. 당뇨병 환자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당뇨병 환자 중 당뇨성 안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율은 35.6%, 당뇨성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률은 39.8%이었다. 걷기실천을 할수록(OR=1.03, OR=1.02), 당화혈색소(OR=2.33, OR=2.33) 및 혈당수치(OR=1.61, OR=1.71)를 인지하는 사람과 현재 당뇨병 치료(OR=2.67, OR=3.05) 및 당뇨병 관리교육(OR=1.45, OR=1.47)을 받는 사람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를 받을 가능성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당뇨성 합병증 검사 수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성 합병증 검사의 종류와 검사 시기가 포함된 당뇨병 관리 교육체계와 당화혈색소 및 혈당수치를 인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방법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당뇨병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하고, 국가차원에서 국가검진제도에 당뇨성 합병증 검사 선별검사항목을 포함하는 등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경북지역 일부 성인남녀의 영양소 섭취량과 영양섭취의 균형도 평가 (Assessment of Nutrients Intake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Adequacy of Adults Living in Kyungpook Area)

  • 윤진숙;유경희;류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01-711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식생활에 적절한 영양 평 가 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19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개인별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한 후 영양상태를 질적, 양 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북지역 성인 남녀의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칼슘과 비타민 A에서 영양 권장량보다 적은 83%, 77%를 섭취했으며,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남자의 평균 섭취량이 여자의 평균 섭취량보다 많았다. INQ로 살펴본 영양소 섭취의 질적 평가는 비타민 C가 2.39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비타민 A가 0.84, 칼슘이 0.89의 점수를 보여 Ca과 비타민 A는 양과 질 측면에서 우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영양소 적정도는 남자가 0.88, 여자가 0.86으로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량과 각 용니과의 상관관계에서 남자의 경우에는 영양소 섭취량과 유의 한 관계를 나타내는 요인으로서 지방과 연령 사이에만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난 반면 여 자의 경우에는 나이, 식사 섭취 횟수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 남자는 가계 총수입이 높을수록 식사 중의 비타민 B2 영양밀도가 높았으며 여자의 경 우에는 INQ 중에서 인(p<0.050)과 철분(p<0.05)이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MAR은 여자의 경우에 한하여 연령(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학력(p<0.01)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루식사횟수(p<0.001)와도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상을 종합해 볼 때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영양섭취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며 여자 20대의 경우에 영양섭취가 가장 저조하였고 특히 칼슘과 비타민 A의 섭취가 부족하였다. 이연령층은 임신, 출산과 연결되는 영양취약집단이 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식사의 중요성과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홍보하는 영양교육 이 보건소를 통해 강화되어야 하리라고 보여진다.

  • PDF

중등학교 조리실습에 대한 현황과 효율화방안 (The Present Situtation and Efficient Way of Cooking Practi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 김정미;주정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2
    • /
    • 1989
  • Cooking practice is keenly related to not only the betterment of family health but to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Cooking is a kind of practical skill and one is skill in it by repeated practice. The aim of cooking practice in school is to fix cooking method practically and scientifically, to acquire cooking skill. To achieve this aim there are many unrecognized or unsolved problems in the first-line schools. The problems and efficient ways of cooking practi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re as follows; 1. The aim of cooking practice: It should be first of all remembered that the practice is so practical that the knowledge and skill of cooking should be related to the future domestic life. Second, the practice should be able to serve the communal and national life by scientifying and improving life. 2. The content of the practice: First, it should be so arranged step by step that the content of each year should not be repeated. Second, the ratio of Korean cooking practice should be increased and the material of the practice should be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seasons and economical problems so that it may be applied to the very day life. Third, to improve dietary life, the practice should be a way of the simplification of dietary life, of the nutritional efficiency. Forth, for the betterment of physical condition of the family the practice should involve balanced dietary plans and dietary therapy. 3. Teaching method: First, the practice should be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cooking skills but also knowledge of nutrition. Second, micro-class system should be adopted, and practice labor should be allotted each student to develop cooperative attitude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ird, in addition to the practice conducted in a body, comparative cooking, applicable cooking and experimental ability and the content of the text. Fourth, teachers should let the students examine and find problems by bringing them to a focus on the basis of theory. 4. Administration method: First, the practice schedule should be planned that a class has practices at least more than twice a semester. Second, two hours of class should be continued without cessation after beforehand survey and theory study. Third, facilities and utensils for practice should be enlarged. That is, cooking practice rooms, tools, utensils should be prepared. Fourth, enough cost of practice should be secured. The above mentioned points show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with which cooking practice teaching is confronted. In order to normalize cooking practice teaching, the first-line schools should gi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ir careful consideration and improve the present situation so that efficient, creative, practical cooking practice will be possible.

  • PDF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편견 연구 (Social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231-261
    • /
    • 1998
  •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적 태도 및 생각이 어느정도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크게 3개 차원에서의 비교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하나는 인구사회학적 및 지역별 차이에 따른 일반인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비교이며, 다른 하나는 지체장애인아 대한 편견과의 비교이며, 마지막 하나는 정신장애인, 그 가족, 그리고 전문가들의 편견과의 비교분석이다. 연구대상은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일반인 300명, 정신장애인, 그 가족, 전문가 각 100명씩 총 600명이다. 표본은 우선 지역을 선점한 후 지역내 조사답변자를 선점하였다. 지역으로는 서울, 경산, 홍성이 선정되었고, 일반인은 무작위표집하였으며, 나머지는 각 지역의 병 의원을 통해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에는 정신장애인 편견척도, 장애인 편견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일반인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은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인간으로서 이들을 수용하는 정도는 높았으나, 이들에게 '사회적응하여 사는 사람'으로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하는데 있어서는 아직까지 낮은 수용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병원에 입원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컷으며, 사회봉사의 경험이 편견의 정도를 낮추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의 비교에서는 격리치료에서는 정신장애인에게, 불임수술에서는 장애인에게 높은 편견적 태도를 보였다. 대도시에서의 편견은 낮은 반면, 중소도시와 군/읍단위에서의 편견은 항목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나이, 교육적도, 월수입에 따른 차이도 크게 보였다. 정신장애인들의 자기편견의 경우도 항목별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이해되는 부분에 대한 편견이 높았다. 가족과 전문가에게서도 대체로 낮은 편견을 보이는 가운데 항목별 차이를 나타냈다. 이같은 결과는 특정편견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전분가의 개입이 필요함을 드러내 준 것이다. 정신보건정책의 수립에 있어서도 입원치료중심의 정책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사회전체가 정신장애인들의 인권을 인정해주는 사회통합의 정책을 마련하여야 함도 시사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 PDF

울릉도 현포항 개발 거버넌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Governance of Hyunpo Port)

  • 황윤원;송용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5-42
    • /
    • 2016
  • 본 연구는 울릉도 현포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환경 재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지역주민, 중앙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에 기초한 어항개발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울릉도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현재 울릉도 주거환경의 가장 큰 문제로 접근성 불량, 병원 보건소, 상가 부족 등 생활환경 취약이 높게 지적되었고, 둘째,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울릉도 관련 개발 사업이 실제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울릉도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많았고, 셋째, 울릉도 관련 개발사업 추진의 애로사항으로 울릉도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자원에 대한 중요성이나 활용에 대한 인식 부족,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부족을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넷째, 현재 현포항의 관리수준을 미흡하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주체의 지속성, 현포항 개발의 비전제시, 주인의식 전환을 위한 노력, 지역현실을 고려한 단계적 추진, 거대한 테마보다 소규모로 알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발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o the Caregiving Satisfaction of Moth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 김연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371-398
    • /
    • 2006
  • 본 연구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돌봄만족감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및 낮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이며, 총 231명이다.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정신장애 관련 요인으로 정신장애인의 유병기간, 입원횟수 및 사회기능이,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으로 연령, 결혼상태, 가족수입, 신체적 건강이, 그리고 관계적 요인으로 정신장애인과 어머니관계의 질과 어머니가 가족, 친구 및 의미 있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받는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0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최종 회귀분석모델에서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결혼상태, 가족수입, 정신장애인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사회적 지지였으며,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 등 정신장애 관련 요인은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으로 실재하는 돌봄만족감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과 더불어 이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개입 방안이 연구의 함의로 제시되었다.

  • PDF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 Outcomes and Influential Factors)

  • 이익섭;김경미;김동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117-1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10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부터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201명에게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되었고, 둘째, 심리적 자기의존도가 증가하고,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지역사회참여 및 취업이 증가하고,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1회 평균이용시간이 길수록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의 경우, 연령이 낮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장애지속기간이 길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취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도화할 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