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self-efficacy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 Kim, Do-Young;Jang, Kyeung-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0-227
    • /
    • 2019
  • Background: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data were collected-from 190 dental hygienists workong in dental clinic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hygienis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 level of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was calculat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4C core competency level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as follows: communication ability 3.34, critical thinking ability 3.41, creative problem-solving 3.40,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3.27. Meanwhile the mean score for work ability level was 3.65.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work ability wer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p<0.001), and th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sound conferences (p<0.01), intellectual fairness (p<0.05), intellectual enthusiasm (p<0.05), and self-confidence (p<0.001). Finally, th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planning and execution (p<0.01) and performance evaluation (p<0.05).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rather than the existing theoret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nhance 4C core competencies that affect work ability.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Teaching: Moder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 이경탁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69-87
    • /
    • 2011
  • 지금까지 교육자의 정보 및 지식 전달과 관련된 관심은 대부분 교육자가 제공하는 언어적 특성 즉 언어적 논리성, 전문성 등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교육자를 비롯한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평가 지표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일한 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하여도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이해력과 설득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 현장에서 교수들이 사용하는 비언어적 행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비언어적 행위를 신체언어, 공간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리하고, 이들 네 가지 유형의 비언어적 행위가 교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교수에 대한 태도를 완전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많은 교육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14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언어적 행위의 네 가지 유형 중 유사언어를 제외한 세 가지 유형이 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언어와 신체적 외형 등 비음성적 커뮤니케이션의 상대적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녀 중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 and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최유리;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9-80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을 지도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은 중간값(3.0)보다 높았고, 가족건강성 중 가족존중 및 애정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은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존중 및 애정이었으며, 이 변인은 남학생의 자아효능감을 29% 설명해 주었다. 또한 여학생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가족존중 및 애정과 재정적 안정이었으며, 이 변인들은 여학생의 자아효능감을 32% 설명해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에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애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며,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을 위한 문화간호역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s)

  • 김선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0-59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transcultural self-efficac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ate anxie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22) and a control group (n=27). Outcome variables were measured by transcultural self-efficac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ate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ducational course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1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cours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 MANCOVA, and ANC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ore (F=19.76, p<.001, partial ${\eta}^2=.34$, observed power .99) and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F=17.56, p<.001, partial ${\eta}^2=.32$, observed power .98)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tate anxiety score (F=5.30, p=.027, partial ${\eta}^2=.12$, observed power .6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 on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program be used for other nursing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its effects after a longer period.

인지장애 노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approach based on an elderly-with-cognition-disorder scenario)

  • 김지영;허나래;전혜진;정덕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4-6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based on caring for elderly cognition disorder patients. The education consisted of a caring program for patients that included a process of assessment of a patient's mental status, diagnosis of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and intervention to address the problems by us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69 subjects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and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32) and the control group (n=37). Data-gather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s about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3 to December 2013,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With respect to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experiment group (t=2.41, p=.022) compared with in the control group (t=.69, p=.494).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Conclusion: Simulation-based education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further for better elderly-patient care. Integrated education in particular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nursing competence in this area.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Effect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문원희;김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41-550
    • /
    • 2022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의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광역시 소재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자료 수집하여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수업 전·후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t=-3.199, p=.004)과 학습만족도(t=-3.342, p=.003)는 유의하게 상승 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t=-1.875, p=.072)과 학습자기효능감(t=-1.432, p=.164)은 전·후 결과값에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만족도 증진을 위해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라이브커머스에서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과 서비스애착 관계에 미치는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Service Attachment in Live-commerce)

  • 성정연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83-97
    • /
    • 2023
  • 라이브커머스 시장의 성장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간단하게 라이브커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 서비스 이용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며, 심리적 애착을 느끼면서 이용하게 되고, 더 나아가 심리적 애착과 소비자 자신과의 자아일치, 자아정체성까지 연결된다. 본 연구는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동기와 지각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즉, 소비자의 개인적, 심리적 특성으로 조절초점성향과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의 조절효과를 통해 서비스애착과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다시 말해, 소비자의 동기와 목표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성향이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주어진 상황이나 과업에서 원하는 결과를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개인적인 자신감 및 확신과 신념인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본다. 분석결과, 예방초점을 높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결과를 회피하고, 안전과 의무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개인적인 자신감과 신념인 자아효능감이 상쇄시켜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에 대한 애착을 더 강하게 형성시켰다. 라이브커머스 서비스 이용 시, 정보획득에 대해 유익하다고 지각할수록, 자신의 신념인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므로 안전추구성향과 부정적 결과를 회피하려는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들에게 인지적 경험뿐 아니라 감정적 경험인 서비스애착이 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라이브커머스에 진입하려는 기업 및 소상공인들에게 운영전략 및 관리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뇌졸중환자의 낮 병동 재활간호프로그램의 적용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integrated with Day Care Program of Stroke Survivors)

  • 서문자;강현숙;이명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8-107
    • /
    • 2000
  •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RNP) implemented to the 25 stroke survivors at the Day Care Program Center of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in Seoul was done at 199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sychological effects as outcome-variables such as depression, powerlessness and self efficacy of the stroke survivors who were discharged from acute care hospitals. The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RNP) integrated with the Day Care Program for rehabilitation was implemented and the psychological outcome variables were measured by 3 psychologic instruments of Zung Depression Scale, Millers's powerlessness and the Bandura's self efficacy scale. These instrument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contents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were tested. The subjects were 17 males and 8 females and 52% were aged over 51 years old and 24% were from 31 to 50 years old. Most of them (72%) had been educated more than high school level. The contents of RNP were 8 sessions composing of self-introduction, individualized assessment, health contract and feedback, management of depression, shaving experiences, effective communication, self efficacy teaching, health information, and daily care 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powerlessness were within average level and had not been changed the level of self efficacy after RNP were somewhat higher than before, but i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Only the level of self efficacy was a little improved after having the RNP. Based on theses results, the RNP should be focussed on the psychological nursing care and the psychological outcome variables were retested strictly with the enough sample size.

  • PDF

개인특성에 따른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효능감, 자아해석을 중심으로 (#Looksperfect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Constru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Instagram)

  • 안가영;한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17-329
    • /
    • 2019
  • 요즘 들어, 사진이나 이미지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은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25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그 하위 요소를 찾아내고, 또한 이들과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변수와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380명의 참가자를 예측된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모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다섯 가지 하위 요소인 타인의식적 자기제시, 주관적 자기제시, 환경적응적 자기제시, 자아 확장적 자기제시, 사회적 자기제시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섯 가지 요소를 지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인스타그램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Supervisor and Peer Support, Satisfaction, and Transfer Intentions in Corporate Mobile-Learning)

  • 정애경;홍유나;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89-196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A사에서 실시한 모바일러닝 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고, 상사 및 동료의 지원과 전이동기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전이동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조직 내 상사 및 동료의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한 조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모바일 정보수용기술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하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