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Teaching: Moder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1.11.03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Until now, most of the attention related information and knowledge transmission is on the verbal message provided by educators. But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emphasizing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in the evaluation of communicator include educators. When nonverbal messages reinforce verbal messages, meaning is conveyed quickly and easily and with increased compreh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fessor nonverbal communic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nonverbal communication was divided into the three dimensions of kinesis, proxemics, para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It was studied to examin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attitude toward the professor and academic achievement.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the professo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college students using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inesis, proxemics, and physical appearance, except paralanguag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the profess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has also been founded.

지금까지 교육자의 정보 및 지식 전달과 관련된 관심은 대부분 교육자가 제공하는 언어적 특성 즉 언어적 논리성, 전문성 등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교육자를 비롯한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평가 지표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일한 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하여도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이해력과 설득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 현장에서 교수들이 사용하는 비언어적 행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비언어적 행위를 신체언어, 공간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리하고, 이들 네 가지 유형의 비언어적 행위가 교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교수에 대한 태도를 완전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많은 교육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14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언어적 행위의 네 가지 유형 중 유사언어를 제외한 세 가지 유형이 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언어와 신체적 외형 등 비음성적 커뮤니케이션의 상대적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