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Anxiet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2초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선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33-74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60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from June 14 to 28, 2016. After explanation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n informed consent was written by the students.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G^*power$ 3.1 program. The study instruments compri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est, one way ANOVA, $Scheff{\acute{e}}$ test, ste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using SPSS 18.0. Results: Communica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wareness(r=0.427, p<0.001) and other-awareness (r=0.460, p<0.001). The higher level of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was proportional to communication ability.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included private self-awareness(${\beta}=0.227$), public self-awareness(${\beta}=0.170$), social anxiety(${\beta}=0.182$), and external other-awareness(${\beta}=0.282$). Conclusion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skill in the curriculum will enhance the dental hygiene students competency.

사회불안감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 Focused on the Use Degree of SNS)

  • 오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79-191
    • /
    • 2021
  • 코로나19 감염증의 출현과 확산으로 사회적 불안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증과 관련된 허위사실이 SNS를 통해 가짜뉴스의 형태로 유통되며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불안감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SNS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SNS를 통해 유통되는 가짜뉴스의 규제 및 근절을 위한 정책수립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336명의 데이터를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불안감은 가짜뉴스 수용태도와 SNS 이용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정도도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사회불안감은 SNS 이용정도를 통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불안감과 가짜뉴스 수용태도, 그리고 SNS 이용정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간 갈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심리${\cdot}$사회적 적응 (The Impact of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Adjustment)

  • 이영미;민하영;이윤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53-6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287 college students(107 boys and 180 girls) in Daegu and Kyou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and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program, including median,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lleg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 as lower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positive were less depressive and less anxious and were good at school than those who perceived them as higher and negative. (2) The college students of the family with nega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high parents' marital conflict were more negative in psycho-social adjustment than those of the family with posi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r low parents' marital conflict. (3)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osi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more influential on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an the parents'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청소년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내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 상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th Counselor's Communication Style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Counseling Satisfaction of Clients)

  • 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46-558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내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상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19세 미만 청소년 180명을 대상으로 2020년 05월-0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 1 '청소년 내담자가 인식하는 상담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내담자 정서적 안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 상담사의 통제형과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청소년 내담자의 긴장과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담사의 통제형,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청소년 내담자의 근심과 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상담사의 협력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내담자의 만족과 평온함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청소년 내담자의 낙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 2 '청소년 내담자가 인식하는 상담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내담자의 상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협력형, 통제형, 전문형 스타일 등 모든 하위 요인이 내담자의 상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mobile app (Little Lovely Dentist) and the tell-show-do technique in the management of dental anxiety and fea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licherla, Sainath Reddy;Bandi, Sujatha;Nuvvula, Sivakumar;Challa, Rama subbareddy;Saikiran, Kanamarlapudi Venkata;Priyanka, Vaka Jeev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6호
    • /
    • pp.369-378
    • /
    • 2019
  • Background: Behavior guidance is a technique used to subdue inappropriate behavior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a child.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 mobile app (Little Lovely Dentist) compared to the tell-show-do (TSD) technique in managing anxious children during their first dental visit. Methods: Fifty children (30 boys and 20 girls) without any past dental experience, aged from 7 to 11 yea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either the dental app group or the TSD group. The pre- and post-operative anxiety of children who underwent prophylactic cleaning was assessed both physiologically and subjectively using a heart rate measurement and the RMS pictorial scale, respectively. Results: The intragroup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RMS scores for children allocated to the dental app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 ≤ 0.001).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only occurred in the RMS scores, but not the heart rate measurements, in the TSD group. Conversely, there was an increase in heart rates in the TSD group. Conclusion: Educating the child prior to a dental procedure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such as Little Lovely Dentist can significantly alleviate the anticipatory anxiety and engage children in dental treatment during their first visit.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 관련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15-2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측두하악 건강관리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접근성이 용이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대전·전북지역의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통계분석은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 악습관과 특성불안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성불안은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 악습관, 건강습관, 특성불안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등학생들의 시기에 맞는 적절한 불안 대처 및 구강 악습관 관리에 적극적인 소통과 개입이 요구되며, 더불어 사전예방할 수 있는 사회심리적 대응을 접목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적용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용서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분노,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roup Forgiveness Program on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for Female Elders)

  • 장우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09-126
    • /
    • 2010
  • 본 연구는 대인관계에서 개인적으로 깊고, 부당한 상처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용서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D광역시의 S종합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 20명을 선정하였고, 이를 무작위로 각각 10명씩 통제집단 및 실험집단으로 배치한 후 통제집단은 대기상태로, 실험집단은 매주 120분씩 총 8회기의 집단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12.0K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양적으로 미비한 부분은 회기별 관찰일지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상처경험을 가진 여성노인들에게 용서정도의 증가 및 분노, 불안, 우울의 감소를 보였고 통제집단은 용서정도의 감소와 분노, 불안, 우울의 정도가 지속 또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용서프로그램은 향후 상처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정신건강과 결혼행복에 대한 연구 -부부갈등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of Intermarried Korean Men -Mediating Effects on Marit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 김민경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2호
    • /
    • pp.41-57
    • /
    • 2012
  • This study uncov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health, couple relationships and marital happiness. The sample included 180 inter-married Korean 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Mental healt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conflict, bu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fficient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Furthermore, marital conflic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Second, mental healt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conflic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arital happiness. Depression and social mal-adaptat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Marital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Third, depression and social mal-adaptation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In conclusion, to reduce marital conflict,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inter-married Korean men's marital happiness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 PDF

스마트시티의 재난안전을 위한 사회기술기반의 주민 자조(自助) 방안 고찰 - 일본 가마이시시(釜石市) 교훈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habitants self-help scheme via sociotechnology for disaster safety of the smart city - Mainly on lessons of Kamaisi-city in Japan)

  • 장혜정;김도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88-403
    • /
    • 2016
  • 2016년 7월 5일 울산 앞바다 규모5.0 지진은 대한민국이 지진에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주었고 2016년 7월 20일 부산 가스냄새는 지역주민들에게 지진에 대한 괴담 확산으로 번졌다. 이와 같이 스마트 시티에서는 재난안전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중요하며 피해주민과 커뮤니티에 대한 빠른 대응이 재난회복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의 피해주민을 대상으로 사회기술을 응용하여 재난에 대한 불안환기모델의 중요성을 밝히고, 동일본대지진 당시 가마이시시(釜石市) 주민들의 자조(自助)내용을 심도 있게 고찰하여 적용 방안을 찾아내고, 재난대응 및 회복을 위한 보완수단으로 주민들이 실천할 수 있는 자조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소집단 토론을 통한 과학 개념 학습에서 조 활동 기술을 고려한 집단 구성의 효과 (Effect of Groupong Considering Students' Teamwork Skills in Science Concept Learing via Small Group Discussion)

  • 노태희;임희연;강숙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6-8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조 활동 기술을 교려한 집단 구성 방법(동질/이질)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불안, 소집단 토론에 대한 인식 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업 처치는 상태변화, 밀도, 용해 개념에 대해 9차시 동안 진행되?駭?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검사 접수에서는 집단 구성 방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중 '학생간의 협상' 범주에서 조 활동 기술 상위 학생들은 이질 집단에서, 하위 학생들은 동질 집단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의사소통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소집단 토론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불균등한 토론 참여를 단점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동질 집단보다 이질 집단에 더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