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 Focused on the Use Degree of SNS

사회불안감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 Oh, Ji-Hee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 오지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Social anxiety continues due to the emergence and spread of covid-19 infections. In this situation, fal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vid-19 infection is distributed through SNS in the form of fake news, which is a stumbling block to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the regulation and eradication of fake news circulated through SNS by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by focusing on the use degree of SNS. For this study, a survey of 380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and 336 data collected among them were analyzed as SPSS 25.0 and AMOS 23.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ocial anxie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and the use degree of SNS, also the use degree of S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In addition, social anxiety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through the use degree of SNS. These results empirically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fake news acceptance attitude, and the use degree of SNS.

코로나19 감염증의 출현과 확산으로 사회적 불안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증과 관련된 허위사실이 SNS를 통해 가짜뉴스의 형태로 유통되며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불안감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SNS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SNS를 통해 유통되는 가짜뉴스의 규제 및 근절을 위한 정책수립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336명의 데이터를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불안감은 가짜뉴스 수용태도와 SNS 이용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정도도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사회불안감은 SNS 이용정도를 통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불안감과 가짜뉴스 수용태도, 그리고 SNS 이용정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영호.송관재.박수애.이혜진.이재창(2006).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29-160.
  2. 이종택.김범준.최인철.박수애(2008). 한국 사회불안 수준의 변화: 개인 표상과 사회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23-41. https://doi.org/10.18205/KPA.2017.22.1.002
  3. Ball-Rokeach, S. J., & Defleur, M. L.(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 485-510. https://doi.org/10.1177/009365085012004003
  4. 김유미(2021). 소셜 미디어의 가짜뉴스에 대한 제3자 효과: 감염병 관련 허위정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1): 5-32.
  5. 김민경(2020). 코로나19 가짜 뉴스(fake news)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팩트 체크 저널리즘의 효과: 팩트 체크 뉴스 유형과 댓글 유형을 중심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19(2): 1-60. https://doi.org/10.24172/HCR.2020.19.2.1
  6. 양지혜.백혜진(2018). 위험 루머에 대한 10년간의 언론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학보, 62(3): 345-382.
  7. 신지민.이성식(2020). 가짜뉴스의 수용 그 설명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21, 11(3): 335-1347.
  8. 최지향(2017). 가짜 뉴스 유통 현황과 이용자 인식 조사-뉴스의 옷을 입은 루머: 가짜 뉴스의 유통 매커니즘과 사회문화적 이해.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 발표문.
  9. 오지희.최현철(2017).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8(2): 37-78. https://doi.org/10.22876/BNC.2017.18.2.002
  1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ict.korean.go.kr
  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권준수 역(201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서울:학지사.
  12. 권석만(1995).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모형. 생활연구,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0: 38-68.
  13. 최수진(2014). 사회불안 성향자의 자존감 불안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https://doi.org/10.1111/1529-1006.01431
  15. Harman, J. P., Hansen, C. E., Cochran, M. E., & Lindsey, C. R.(2005). Liar, liar: Internet faking but not frequency of use affects social skills,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aggress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8(1): 1-6. https://doi.org/10.1089/cpb.2005.8.1
  16. 김남재(2000). 대인불안과 사회적 자기불일치.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473-483.
  17. 최정훈.이정윤(1994). 사회적 불안에서의 비합리적 신념과 상황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6(1): 21-47.
  18. Gamefski, N., & Kraaij, V.(2006).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development of a short 18-item version(CER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Differences, 41(6): 1045-1053. https://doi.org/10.1016/j.paid.2006.04.010
  19. Achenbac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 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0. Essau, C. A., Conradt, J., & Petermant, F.(1999). Frequency and colorability of social phobia and social fears in adolesc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7(9): 831-843. https://doi.org/10.1016/S0005-7967(98)00179-X
  21. 정은주(2011). 가족중심실천에 관한 중요성 인식과 현재 실천의 차이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2): 67-93.
  22. 정상훈.김회용(2014). 대학운동선수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513-524.
  23. 이미현(2014). 청소년의 성에 따른 완벽주의 및 부모.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75: 87-112.
  24. 김의철.박영신(2004).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103-129.
  25. 박수애.송관재(2005).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1-29.
  26. 한덕웅.최훈석.강혜자.이경성.박군석(1995). 한국 사회 문제의 지각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9: 99-111.
  27. 한덕웅.강혜자(2000).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제의 지속과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15-37.
  28. 한덕웅(2003). 한국 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35-55.
  29. Beck, U.(1992). Risk Society:Toward a new modernity, London: Sage Publication, 1992.
  30. Fischhoff, B., Slovic, P., Lichtenstein, S., Read, S., & Comb, B.(1978).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 technological risk and benefits. Policy Science, 9: 127-152. https://doi.org/10.1007/BF00143739
  31. Vail, J., Wheeloc, J., & Hill, M.(1999). Insecure times: Loving with insecurity in contemporary society. London: Toutledge.
  32. 오지희(2015).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배영(2017). 페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 제1회 KISO 포럼: 페이크 뉴스와 인터넷 토론회 자료집.
  34. Allport, G. W., & Postman, L.(1946). An analysis of rumor. Public Opinion Quarterly, 10: 501-517. https://doi.org/10.1093/poq/10.4.501
  35. Rosnow, R. L.(1991). Inside rumor: A personal journey. American Psychologist, 46: 484-496. https://doi.org/10.1037/0003-066X.46.5.484
  36. 송동근.민귀홍.진범섭(2016).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20(2): 61-90.
  37. Hirshburg, P. L., Dillman, D. A., & Ball-Rokeach, S. J.(1986). 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 Responses to the eruption of Mt. St. Helens. In S. J. Ball-Rokeach and M. G. Cantor, eds., Media, audience and social structure,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117-126.
  38. Loges, W. E.(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https://doi.org/10.1177/009365094021001002
  39. 김성곤(2001). 21세기 문화와 세계화의 과제. 사상, 48: 26-44.
  40. Bianchi, A., & Phillips, J. G.(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 Psychology & Behavior, 8(1): 39-51. https://doi.org/10.1089/cpb.2005.8.39
  41. 대한민국 통계청(2020). 소셜미디어 현황 및 전망. 서울: 통계청.
  42. Bodroza, B., & Jovanovic, T.(2016). Validation of the new scale for measuring behaviors of Facebook users: Psycho-Social Aspects of Facebook Use. I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4: 425-435. https://doi.org/10.1016/j.chb.2015.07.032
  43. Atroszko, P. A., & Balcerowska, J. M.(2018). Facebook addiction among Polish undergraduate students: Validity of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and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5: 329-338. https://doi.org/10.1016/j.chb.2018.04.001
  44. 황희은(2015).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33-253.
  45. 박영순(2020).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몰입의 이중 매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1(11): 1973-1989.
  46. 김유향(2016). 미 대선시기 가짜뉴스(fake news) 관련 논란과 의미.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47. Lewin, K.(1947). Frontiers in group dynamics. II. Channels of group life; social planning and action research. Human Relations, 1(2): 143-153. https://doi.org/10.1177/001872674700100201
  48. Allcott, H., & Gentzkow, M.(2017). Social media and fake news in the 2016 elec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1(2): 211-36. https://doi.org/10.1257/jep.31.2.211
  49. 진호림(2021). SNS에서의 가짜뉴스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승환(2021). 디지털생물학 관점에서 본 가짜 뉴스의 유형. 한국디자인리서치, 6(1): 121-131.
  51. 민영.최지향.노성종(2017).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가짜 뉴스효과'의 견인 및 견제 요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4(4): 99-149.
  52. Pew Research Center.(2016). Many Americans Believe Fake News Is Sowing Confusion. http://ww.journalism.org/2016/05/26/news-use-across-social-media-platforms-2016.
  53. Budak, C., Agrawal, D., & Abbadi, A. E.(2011). Limiting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in soci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WWW 2011, Hyderabad, India, March 28- April 1, 2011.
  54. 손승혜.이귀옥.홍주현.최지향.정은정(2018). 트위터는 어떻게 가짜뉴스를 유통시키는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4): 203-251.
  55. 민영(2016). 선택적 뉴스 이용. 한국언론학보, 60(2): 7-34.
  56. 수신.육건엽.정용국(2015). SNS 뉴스 신뢰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22(3): 7-30.
  57. 강민혁.윤은서(2020). 청소년에게 물어보니 가짜뉴스는 사회혼란 주범이다. http://sjbnews.com/news/print.php?code=li_news_2020&number=92240/ 2020.02.05.
  58. Lin, L., Sidani, J. E., Shensa, A., Radovic, A., Miller, E., Colditz, J. B., & Primack, B. A.(2016). Association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depression among U.S. young adults. Depression and Anxiety, 33(4): 323-331. https://doi.org/10.1002/da.22466
  59. 최정화(2021). 대학생들의 SNS 이용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디지털융합복합연구, 19(5): 433-442.
  60. 김은정.유홍식(2020). 이념성향.강도, 적대적 매체 지각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노출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1(1): 93-126. https://doi.org/10.22876/BNC.2020.21.1.003
  61. 김계수(201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62. 우종필(2017).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63. 염정윤.정세훈(2019).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한국언론학보, 63(1): 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