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Core State Standard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 Colen, J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47-82
    • /
    • 2019
  • Pennsylvania is one of the states that adopte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CSSM) and crafted its own standards (The PA Core State Standards). Pennsylvania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A Core Standards. It is timely and appropriate to study Pennsylvania teachers' beliefs, as the standard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for several years since the revision of the PA Core Standards (2014). This study examined how eight western Pennsylvania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related to the SMP. To this end, I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ach participating teacher. The in-depth interviews featured the teachers' overarching mathematical instructional goals and their productive beliefs. Furthermore, I linked these beliefs with the CCSSM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SMP).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소개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471-48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for mathematics which is released on June 2, 2010 in the U.S.A.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are aligned with college and work expectations, and include rigorous content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through high-order skills. The most distinguishable differences between the CCSS standards and the NCTM standards are that the CCSS standards considers the mathematical modeling as one of the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such as algebra, geometry, ets, and the standards are designed by working together with school leaders of all states.

A NEW AGE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U.S.: INTERPRETING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 Noh, Jihwa;Huh, Nan;Ko, Ho-Kyo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0권4호
    • /
    • pp.493-505
    • /
    • 2012
  • For the first time ever in its history, the United States has a national version for K-12 mathematics programs,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Since its final version appeared in 2010 in the United States,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have started getting much attention from the Korea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ties. Although attempts have been made t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of the stan-dards, the information such as the paradigm shift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design principles and a comparison with the NCTM Standards would aid understating the standards in the intended way and avoiding unnecessary confusion.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수학과 교육과정 고찰 - 초등학교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Study on California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for Mathematics -Focused on the Geometry Domain of Elementary School-)

  • 강홍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9-257
    • /
    • 2016
  • 미국의 새 수학과 규준인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는 잘 알려진 것처럼 모든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거나 직업에 종사하기위한 준비를 위해 명료하고 일관된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어, 현재 40개의 주가 이 새로운 규준을 채택하고 있다. 이 규준에 관한 최근 우리나라의 선행연구들은 규준을 Cluster Heading 수준에서 소개하고 있고, 규준의 수준에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하고 있다. 그러니 실제로 각 세부 규준의 내용을 상세하게 해석한 내용은 수면 아래의 모습을 보여 준다. 캘리포니아 주의 수학과 규준의 내용을 상세하게 해석한 책이 Mathematics Framework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이다. 이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수학과 규준인 California Common Core State Standards(CA CCSSM)와 이 규준의 해설서라고 부르기에 적당한 Mathematics Framework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도형영역을 상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557-580
    • /
    • 2012
  •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인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은 이전의 규준에 비해 구별되는 특징을 지녔고, 특히 '수학적 실천' 규준 8가지는 '수학적 내용' 규준에 버금가는 주요 요소로서 각 학년의 지도 내용과 함께 매번 제시되면서 강조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 설명이나 내용 규준 전체에 걸쳐 지도되어야 한다는 특징 등으로 볼 때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신설 요소인 '수학적 과정'에 비견될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CCSSM에 대한 우리나라의 선행 연구는 주로 내용 규준의 변화 및 비교에 초점이 있거나 심지어 과정 규준의 존재 자체를 간과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CSSM 및 그 적용의 확장을 위해 마련된 여러 가지 후속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학적 실천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수학적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 보강되어야 할 과정적 측면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수학적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논의를 포함할 것이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유아 수학교육과정 내용 비교 연구: Common Core State Standard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nd New Jersey Preschool Standards)

  • 유선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333-354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과 미국의 CCS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 수학교육내용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누리과정 수학교육의 개정 및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준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표, 내용범주 및 내용, 세부 내용 및 특징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누리과정은 수학적 지식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한 포괄적 목표를 제시한 반면 미국의 수학교육 목표는 유아들이 습득해야 할 수학적 내용 및 개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내용범주 및 내용은 두 나라 모두 수와연산의 기초, 측정, 공간 및 도형 등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누리과정 수학교육은 자연탐구영역에서 1개의 내용범주를 제시하고 있고, 미국 CCSS의 내용범주는 주요 수학적 개념 5개이며 Preschool Standards 내용범주는 4개로 제시 되어있다. 셋째, 두 나라 유아수학교육은 유 초 연계를 포함한 연령 및 학년별 연계성과 기술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누리과정 유아수학교육 내용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CA-CCSSM과 그에 따른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개념에 관한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Fraction in CA-CCSSM and its Textbook)

  • 이대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7-574
    • /
    • 2017
  • 여러 나라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은 그 나라 교육 관점과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이나 교과서 집필 및 학생들의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않지만, 2010년에 여러 주들이 주축이 되어 개발한 CCSSM이 주별로 채택되어졌고, 이에 따른 교과서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SSM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며 주의 관점을 반영한 캘리포니아 주의 CA-CCSSM과 이에 따른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분수 개념과 관련된 주제를 등분할, 분수 개념, 가분수와 대분수, 몫으로서 분수와 비로서 분수, 동치분수, 크기 비교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수 개념 도입 전에 기하 영역에서 등분할을 다루거나, 수직선 위의 수로 분수를 도입하여 분수에 대한 수감각과 양감을 기르게 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대분수, 동치분수, 여러 가지 분수의 정의 방식, 도입 시기, 방법 등에서도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었다.

  • PDF

Teaching Moves for Students' Mathematical Proficiencies in Multiplication Lessons

  • Colen, Jung;Yeo, Sheunghyun;Kwon, Nayoung;Cho, Hoyun;Kim, Jin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279-311
    • /
    • 2021
  • In this paper, we report the types of teaching moves a mathematics teacher educator attempted in his teaching of third-grade students at an urban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over two months. We analyze the lesson videos to find the patterns of teaching moves and speculate the link between the teaching and students' mathematical proficiencies recommended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s. Closely related teaching moves to the students' development of a certain mathematical proficiency would imply the exemplary practices that teachers-both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can implement in their classrooms.

한국 국제학교에서의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ilingual learning of mathematics at Internation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 공미나;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5-13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이중언어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한국의 경인지역에 있는 A 국제학교에서 학생들이 이차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학습하였을 때의 실태와 성향에 어떤 특징이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별히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고1 교육과정을 따른 수학 I 수업을 한국어로 진행하였고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을 따른 Algebra II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 학습이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능력 향상과 수학 학습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학생들의 학습참여도와 동기부여가 잘 되었고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도 유익한 과정이었다. 둘째로는 본 연구 결과로서 얻게 되는 시사점으로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로서의 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필요와 다루게 되는 교재들의 국가 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들을 고려하여 이중언어 수학수업에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structional Alignment Observation Protocol (IAOP) for Implementing the CCSSM: Focus on the Practice Standard, "Model with Mathematics"

  • Hwang, Ji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49-16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observation protocol for mathematical modeling as an alternative way to examine instructional alignment to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The instructional alignment observation protocol (IAOP) for mathematical modeling was established through careful reviews on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FOI) framework and prior studies on mathematical modeling. I shared the initial version of the IAOP including 15 items across the structural and instructional critical components as the FOI framework suggested. Thus, the IAOP covers what teachers should do and know for practice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classrooms and w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expected to do.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AOP should be evaluated in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