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sensibility factor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1초

레인코트용 자카드 직물의 소비자 요구도 및 패턴 이미지 감성 평가 (Consumer Needs and Pattern Sensibility of Jacquard fabrics for Raincoat)

  • 김정화;이정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5-652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s consumer needs and a pattern sensory evaluation of jacquard fabrics for raincoats using quick-drying-absorbing polyester. We investigate th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raincoat improvements. Twelve kinds of jacquard fabrics were developed for use in this study. Developed jacquard fabrics were assessed subjectively by 152 university students using a 7-point scale of 26 consumer needs and 31 pattern image sensory descripto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The major results were: There was a need for consumers to improve the front fastener type, cuff fastener, mesh patch position, and raincoat pocket position.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choose raincoat fabric was waterproof and the other parameters were vapor-porous/water repellent, design, color, fashionability, air-permeability and easy-put on/off. The pattern image sensibility of jacquard fabrics was explained by seven factors: gorgeous, simple, cute, futuristic, ethnic, feminine, and cool. A higher pattern preference was found in the jacquard fabrics of unique, sporty, natural, luxurious, and trendy images. The pattern preference was predicted at 45.3% with gorgeous, simple, pure, cute, futuristic facto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attern image sensibility factor 1 (gorgeous) and pattern preference was 0.674 and with factor 3 (cute) was 0.416, and with factor 6 (cool) was 0.209. The 4 factors (gorgeous, simple, cute, futuristic) were selected as a significant pattern image sensibility that influenced preference.

레스토랑 실내의 색채와 배경 음악의 조화가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taurant in-store color and music congruency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s)

  • 조미나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27-38
    • /
    • 2011
  • 본 연구는 레스토랑의 실내 색채와 배경 음악 및 레스토랑 분위기의 일치성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인 지역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색채와 음악의 앙상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D studio MAX를 활용하여 high-stimulus(exciting) 자극물과 low-stimulus(calm) 자극물을 제작하여 3D 가상현실 레스토랑 시뮬레이션 자극물로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8.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감정적 반응은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의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와 충성도는 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색채와 음악이 레스토랑 분위기와 어울리는 정도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배경음악의 어울림이 실내 색채의 어울림보다 긍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실내 색채의 어울림이 배경음악의 어울림보다 부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레스토랑 분위기와 색채, 음악의 조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색채 감성에 대한 심혈관 변수 관계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ardiovascular Parameters)

  • 조아영;우진철;이현우;조영호;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127-134
    • /
    • 2017
  • 시각 정보 중 색채는 인간의 감성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감성을 유발하거나 예측하기 위해서 색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색채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색채 자극에 따른 심혈관 반응을 측정하였다. 색채 자극은 Red, Green, Blue, Cyan, Mangenta, Yellow의 6가지 색상으로 구성된 이미지들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대학생 26명(남자 13명)은 Electrocardiogram (ECG) 센서를 착용하고 모니터에 제시된 각 자극을 본 후 주관감성을 평가하였다. 색채 자극에 따른 심혈관 반응 데이터는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검정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herence ratio가 Green과 Magenta (p=.004), Red (p=.006), Yellow (p=.004) 색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색상에 따른 유효한 심혈관 반응 변수와 감성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쾌-불쾌의 감성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녹색이 쾌의 감성을 유발하고 적색이 불쾌의 감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인 실증적인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성별에 따른 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감성공학적 분석 (Analysis of Cafe Interior Design factors using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for Different Sex)

  • 서형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75-182
    • /
    • 2006
  • The difference of sex has been an object of interest and argument in med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ognitive science field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does the difference of sex have effect on successful interior design. In strive of resolving this, an experimentation of preference in terms of cafe interior design was performed with methods of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s the result, the difference of sex in preference regarding calf interior design could be observed. Males have main interest in the intensity of luminance, i.e. the brightness, whereas females attach importance to both qualify of light and color.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for males to see cafe as a public place while females recognize cafe as a place for entertainment. Ta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nto consideration can lead to successful gender specific cafe interior design.

Analysis of Preferable Café Interior Design Using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For Different Age Groups

  • Seo, Hyung So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06
  • Maximizing profit is the most significant object of commercial places. Especially for some places where its atmosphere is main concern of customers like $Caf{\acute{e}}s$, interior design is crucial. Thus it needs to evaluate human emotion and preference.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which is recently signified in various fields is an attempt to quantitatively analyze factors of human sensibility and apply it to design ope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fuse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into $Caf{\acute{e}}$ interior design and analyzed preferable $Caf{\acute{e}}$ interior design factors. Because most $Caf{\acute{e}}s$ have their own target customers, so we assumed four different target customer groups divided by their age and gender groups in each age group.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each group could be examined. Middle-aged group and males have main interest in the intensity of luminance, i.e. the brightness, whereas youths and females attach importance to both quality of light and color.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for middle-aged group and males to see $Caf{\acute{e}}$ as a public place while young people and females recognize $Caf{\acute{e}}$ as a place for entertainment. Ta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nto consideration can lead to successful $Caf{\acute{e}}$ interior design for specific target customers.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의 색상 사용성 연구 (A Study on the Color Usability of Lumino Haptic Device)

  • 이상진;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12
  • 햅틱 장치는 기존 장치대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며 직관적 조작이 가능한 인간-기계 교류 장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햅틱 장치의 색상을 독립적인 설계 변수로 고려한 설계 인자의 운전자 반응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촉각 피드백을 이용한 햅틱 장치의 인지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차량용햅틱 장치에 색상 피드백을 더한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성 분석을 통하여 운전자가 갖는 햅틱 디바이스에 대한 감성분석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운전자를 만족시키는 설계 방향의 제안이 가능하였다.

감성적 접근방법에 의한 공중전화기 디자인에 대한 연구 (Public Telephone Design by Approach Method of Human Sensibility)

  • 홍현주;정석길;이상도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35-44
    • /
    • 1998
  • 자급제용 공중전화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소비자의 디자인 감성을 파악하는 것은 소비자의 개성추구 경향을 반영한 제품을 만드는 토대가 되며, 이를 통해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자급제용 공중전화기에 대한 소비자 욕구(감성)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1차 도출된 168개의 감성어휘를 SD척도로 실시한 결과 35개의 감성어휘가 추출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SD척도 7단 구성을 이용하여 남녀 대학생 30명에게 기존 10개의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감성어휘의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디자인요소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를 예측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성어휘는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디자인요소인 몸체, 핸드 셋, 다이얼 조립 판, 다이얼 버튼, 제어버튼, 칼라(몸체), 재질에 대해서 소비자가 느끼는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디자이너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공중전화기 디자인의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 PDF

주력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된 작업복 소재의 특성 및 감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Work Environment of the Major Industrial Settings)

  • 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78-788
    • /
    • 2015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developed that took into account the work environment of major industrial settings, for which a selection was made according to spring/autumn use and winter 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isting and test weaving of the work clothes materials were compared after the test weaving of work clothes materials through material design, which altered the yarn count, composition, weave and density of material. To evaluate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subjectively, seven ranks' semantic differential scale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polar adjective pairs. The test weaving of work clothes material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such as tensile strength, dimensional change,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color fastness) compared to the existing materials. The common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umulative variance for the spring/autumn use and winter use was 71.19% and 69.53%, respectively.

시각 디스플레이에서의 감성 모형 개발 -움직임과 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Sensibility Model for Visual Display)

  • 임은영;조경자;한광희
    • 인지과학
    • /
    • 제15권2호
    • /
    • pp.1-15
    • /
    • 2004
  • 본 연구는 동적 시각 디스플레이에서 움직임 속성과 감성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움직임에서의 감성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수집된 감성어휘를 움직임과 관련된 감성을 설명하기에 적절한지 평가하도록 하고 직접 움직임 자극을 제시하면서 자유롭게 움직임에서 감성을 보고하도록 하여 70개의 감성 어휘로 정리하였다. 정리된 어휘들 중 핵심적인 어휘들을 선별하기 위해 다양한 움직임에 대한 감성을 평가한 결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을 대표하는 19개의 기본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19개 어휘를 통해 움직임의 감성을 평정한 값을 다차원 척도법을 통해 분석하고 어휘들이 분포된 형태를 분석한 결과 움직임에 대한 감성 차원은 ‘적극적이다-소극적이다’ 차원과 ‘밝다-어둡다’ 두 차원으로 대부분 설명될 수 있었다. 구축된 감성 공간을 기초로 움직이는 속도와 진행 경로의 여러 속성들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두 가지 감성 차원에 따라 움직임에서의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움직임을 결정하는 물리적 속성 중 속도, 곡선 경로의 주기와 진폭이 감성 차원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색에서의 감성이 움직임 감성 공간에서 두 차원을 기준으로 설명된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임 요인에 색이 추가될 경우 색이나 움직임 중 한 가지 요인이 특정 감성 차원에 보다 주도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색과 움직임 요인이 동시에 제시될 때 색은 ‘밝다 어둡다’ 의 차원에서의 효과를, 움직임은 ‘적극적이다-소극적이다’ 감성차원에서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였다.uency), 다양하게(flexibility), 그리고 독특하게(originality)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해결 개연성이 높은 적절한 아이디어를 찾아나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는 발산적 사고가 작동을 하지 않고서도 어떻게 역사적인 창의적 행위가 가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 Kekule의 벤젠링 발견의 경우 둥을 살펴본다. 창의적 문제 해결에서는 발산적 사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할 문제 영역에 대한 통찰력과 아울러 어떤 아이디어가 주어진 문제 해결에 유용한지에 대한 통찰력이 핵심 요체이며, 이러한 통찰력은 바로 논리적ㆍ비판적 사고 훈련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능력인 것이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교육의 강조는 정보화 사회 혹은 지식기반 사회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현대사회의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치ㆍ사회ㆍ문화의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는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내용과 중요성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적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제 누구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방대한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암기 등을 통한 정보와 지식의 습득과 축적의 그 본래적 가치는 과거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다. 가치를 만들어 내는 중심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있지 않고, 습득한 정보와 지식들을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합리적인 문제

  • PDF

사진 이미지와 관련된 감성 어휘 분석 및 색 유무에 따른 감성 반응 비교 (Analysis of affective words on photographic images and the effects of color on the images)

  • 박수진;정우현;한재현;신수진
    • 감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41-4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사진 이미지에 대해 어떠한 감성들이 나타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구조화할 수 있는 기본 감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런 다음, 이 모형을 바탕으로 주요한 시각 속성 중 하나인 색의 유무가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기법과 소재가 반영된 사진가들의 사진을 제시하고 각 사진에 대해 감성 반응을 받은 다음 이를 분석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주축 기법을 이용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감성 어휘 변량 중 약 42%를 세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세 요인은 각각 긍정적-부정적 인상, 동적-정적 인상, 가벼운-무거운 인상으로 명명되었다. 연구 2에서는 세 요인을 감성 공간의 기본 차원 축으로 삼아 색의 유무가 사진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컬러 사진 90장을 흑백으로 전환하여 컬러와 흑백 각각 90장의 사진 이미지를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사진 이미지들이 세 감성 차원들에 대해 평정되었다. 감성 차원별로 색의 유무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감성 차원에서 색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흑백으로 전환된 이미지가 더 부정적이고 정적이며 무거운 이미지로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진 이미지에서 동일한 소재와 동일한 구도라 할지라도 기본적인 시지각 속성의 변화만으로 감성반응에 중요한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