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totrichum orbicular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4초

Rhizobacterial Exopolysaccharides Elicit Induced Resistance on Cucumber

  • Park, Kyung-Seok;Kloepper, Joseph W.;Ryu, Cho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095-1100
    • /
    • 2008
  • The role of exopolysaccharides (EPSs) from a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Burkholderia gladioli IN26, on elicitation of induced systemic resistance was investigated. A purified EPS induced expression of PR-1a::GUS on tobacco and elicited induced resistance against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cucumber. The maximum level of disease protection was noted when seeds were soaked in 200 ppm of the EPS. Our results indicate that EPS from specific rhizobacteria can elicit induced resistance and suggest that bacterial EPS might be a useful elicitor of resistance under field conditions.

Root Colonization and ISR-mediated Anthracnose Disease Control in Cucumber by Strain Enterobacter asburiae B1

  • Bharathkumar, S.;Park, Jin-Woo;Han, Ji-Hee;Park, Kyung-S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33-343
    • /
    • 2009
  • Here, we show that an endophytic bacterial strain, Enterobacter asburiae B1 exhibits the ability to elicit ISR in cucumber, tobacco and Arabidopsis thaliana. This indicates that strain B1 has a widespread ability to elicit ISR on various host plants. In this study, E. asburiae strain B1 did not show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ested major fungal pathogens, Colletotrichum orbiculare, Botrytis cinerea,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Moreover, the siderophore production by E. asburiae strain B1 was observed under in vitro condition. In greenhouse experiments, the root treatment of strain B1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of cucumber anthracnose caused by fungal pathogen C. orbiculare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plants. By root treatment of strain B1 more than 50% disease control against anthracnose on cucumber was observed in all greenhouse experiments. Simultaneously,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the soil drench of strain B1 and a chemical inducer benzothiadiazole (BTH) to tobacco plants induced GUS activity which is linked with activation of PR promoter gene. Furthermore, in Arabidopsis thaliana plants the soil drench of strain B1 induced the defense gene expression of PR1 and PDF1.2 related to salicylic acid and jasmonic acid/ethylene signaling pathways, respectively. In this study, for the main focus on root colonization by strain B1 associated with defense responses, bacterial cells of strain B1 was tagged with the gfp gene encoding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order to determine the colonization pattern of strain B1 in cucumber. The gfp-tagged B1 cells were found on root surface and internal colonization in root, stem, and leaf. In addition to thi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showed that E. asburiae strain B1 was able to colonized cucumber root surface.

수박 탄저병 Race 3 저항성 중생종 수박 '한결' 육성 (Breeding of a Mid Maturing Watermelon Cultivar, 'Hangyeol'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Race 3)

  • 허윤찬;홍규현;고호철;박경섭;박동금;이중섭;조명철;이석영;고관달;이우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5-698
    • /
    • 2010
  • 우리나라 수박 주산단지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수박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계통 육성을 위하여 국내 외에서 수집한 수박 유전자원의 병 저항성 검정으로 탄저병 저항성이 강한 'AU-Producer'를 선발하여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인공교배를 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8년까지 BC4F1세대를 진전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최종 선발된 'WCR16-1C-5C'를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한결'으로 명명하였다. '한결'은 수박 탄저병 race1과 3에 저항성이며 식물체 생장형은 덩굴성이며 주지길이는 중간정도이다. 평균과중은 5.3~10.1 kg 범위로 중대과종이며, 평균 과피 두께는 1.2~1.6 cm로 시판품종 등과 유사하였다. 과피는 녹색이며 과피의 줄무늬는 중간정도이다. 과육색은 적색이며 당도는 9.8~$11.8^{\circ}Bx$. 범위이고 중생종으로 과실의 품질을 비롯한 원예적 특성은 대비 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박 탄저병 저항성 계통 '한결'은 탄저병 race 1과 3에 강한 저항성이고, race 2에는 중간저항성으로 품종육성 재료로 이용하거나 노지 및 시설재배 품종으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배시 탄저병 방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박 탄저병 Race 3 저항성 중만생종 수박 '한빛' 육성 (Breeding of a Mid-Late Maturing Watermelon Cultivar, 'Hanbit' with Resistant to Anthracnose Race 3)

  • 허윤찬;홍규현;고호철;박경섭;박동금;이중섭;조명철;이석영;고관달;이우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9-702
    • /
    • 2010
  • 탄저병 저항성 수박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계통인 'AU-Producer'를 선발하여 탄저병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교배하여 $F_1$세대를 작성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BC_3F_1$세대를 진전하였고 중만생종인 '920532'를 반복친으로 추가하여 1997년$BC_4F_1$세대를 작성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최종 선발한 'WCR8-2C-3K'를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한빛'으로 명명하였다. '한빛'은 수박 탄저병 race 1과 3에 저항성인 중만생종으로 식물체 생장형은 덩굴성이며 덩굴길이는 중간정도이다. 평균과중은 5.4~9.1 kg 범위로 중대과종이며, 평균과피 두께는 1.2~1.5 cm로 시판품종 등과 유사하였다. 과피는 녹색이며 과피의 줄무늬는 중간정도이다. 과육색은 적색이며 당도는 10.4~$11.2^{\circ}Bx$ 범위로 과실의 품질을 비롯한 원예적 특성은 대비 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박 탄저병 저항성 계통 '한빛'은 탄저병 저항성 및 품질개량을 위한 품종재료로 이용하거나, 노지 및 시설재배 품종으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배시 탄저병 방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eribacillus butanolivorans KJ40, Bacillus zanthoxyli HS1, B. siamensis H30-3와 Pseudomonas sp. BC42에 의한 오이 탄저병, 박과류 과실썩음병과 오이 덩굴쪼김병의 생물방제 효과검정 (Biocontrol Activities of Peribacillus butanolivorans KJ40, Bacillus zanthoxyli HS1, B. siamensis H30-3 and Pseudomonas sp. BC42 on Anthracnose, Bacterial Fruit Blotch and Fusarium Wilt of Cucumber Plants)

  • 김지원;상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88-192
    • /
    • 2023
  • 식물병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세균 4종(HS1, H30-3, KJ40 와 BC42)이 Colletotrichum orbiculare 에 의한 오이 탄저병, Acidovorax citrulli에 의한 과실썩음병,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병 억제 효과가 있는지 검정하였다. HS1, H30-3, KJ40 와 BC42를 토양에 관주처리 할 경우 유도저항성에 의해 오이 탄저병이 감소하였고, KJ40와 BC42는 A. citrulli의 발병을, BC42는 오이 덩굴쪼김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KJ40은건조피해저감뿐만아니라유도저항성에의 한 오이 탄저병 억제 및 A. citrulli에 의한 병발생 감소효과를 가지며, BC42는 오이 탄저병, A. citrulli와 F. oxysporum에 병을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넓은 범위의 적용 범위를 갖는 생물적 방제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 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f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Chlorella fusca)

  • 이윤주;김수정;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42-48
    • /
    • 2017
  • Chlorella는 광합성을 통해 자가영양하는 미생물이다. 이전 연구를 통해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 탄저병균의 부착기 형성률이 억제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SEM 및 TEM을 통해 C. fusca를 전처리한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를 관찰하였다. SEM 이미지에서는 대부분의 병원균 포자와 균사 주위에 많은 수의 C. fusca 세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포자는 발아되었으나 식물조직에 침입하는 데 필요한 부착기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병원균 주위에 있는 C. fusca 세포가 병원균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TEM 이미지를 통한 병원균 균사 내부의 초미세 구조에서는 C. fusca를 전처리한 잎과 무처리한 잎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전처리한 식물에서 병원균은 무처리한 잎과 유사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C. fusca에 의한 식물 표면에서의 병원균 부착기 형성 억제가 오이탄저병 감소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탄저병균에 길항력이 우수한 식물내생세균 Burkholderia cepacia EB215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EB215, an Endophytic Bacterium Showing a Pot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Species)

  • 박지현;최경자;이선우;장경수;임희경;정영륜;조광연;김진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23
    • /
    • 2005
  • 식물내생미생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물에 발병하는 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건전한 식물체 조직으로부터 총 260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은 액체배지에 배양한 후 오이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하여 in vivo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28개의 균주가 $90\%$ 이상의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이들 28개의 균주의 배양액을 1/3로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18개 균주가 $70\%$ 이상의 방제활성을 보였다. 이들 18개의 균주에 대하여 고추 탄저병균(C. coccodes)에 대한 in vivo항균활성과 고추 탄저병균(C. acutatum)에 대한 in vitro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EB215균주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 균은 생리$\cdot$생화학적 특성과 Biolog실험 및 16S rDNA 유전자 서열에 의해 Burkholderia cepacial 동정되었다. B. cepacia EB215균주의 배양액은 고추 탄저병 외에 벼 도열병(Magnaporthe grisea), 벼 잎집무의마름병(Corticium sasaki),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및 토마토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등에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현재 이 균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 동정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Systemic Resistance and Expression of the Pathogenesis-Related Genes Mediated by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EXTN-1 Against Anthracnose Disease in Cucumber

  • Park, Kyung-Seok;Ahn, Il-Pyung;Kim, Choong-Hoe
    • Mycobiology
    • /
    • 제29권1호
    • /
    • pp.48-53
    • /
    • 2001
  • Plants have the ability to acquire an enhanced level of resistance to pathogen attack after being exposed to specific biotic stimuli. To obtain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inducing resistance against cucumber anthracnose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more than 800 strains of rhizobacteria were screened in the greenhouse. Among these strains, Bacillus amyloliquefaciens solate EXTN-1 showed significant disease control efficacy on the plants. Induction of pathogenesis-related(PR-la) gene expression by EXTN-1 was assessed using tobacco plants transformed with PR-1a::$\beta$-glucuronidase(GUS) construct. GUS activities of tobacco treated with EXTN-1 and salicylic acid-treated transgenic tobacc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obacco plants with other treatments. Gene exp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EXTN-1 induces the accumulation of defense-related genes of tobacco. The results showed that some defense genes are expressed by the treatment with EXTN-1 suggesting the similar resistance mechanism by salicylic acid.

  • PDF

Isolation and Antifungal and Antioomycete Activity of Streptomyces scabiei Strain PK-A41, the Causal Agent of Common Scab Disease

  • Han, Won-Choon;Lee, Jung-Yeop;Park, Duck-Hwan;Lim, Chun-Keun;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15-126
    • /
    • 2004
  • The actinomycete strain PK-A41 was isolated from a soil sample from pepper fields in Ko-yang, Korea. The strain PK-A41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some plant pathogenic fungi and oomycete, Alternaria mali, Colletotrichum orbiculare, Fusarium oxysporum f.sp. lycopersici, Magnaporthe grisea, Rhizoctonia solani, and Phytophthora capsici. The presence of LL-diaminopi-melic acid in the cell wall extract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DNA region of the strain PK-A41 was assigned to Streptomyces scabiei. Further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athological analyses also confirmed the strain PK-A41 to be S. scabiei, which is pathogenic to potato tubers. The maximum antibiotic production of the strain PK-A41 was achieved when grown on the glycerol peptone broth (GPB) medium for 9 days.

Isolation of Rhizobacteria in Jeju Island Showing Anti-Fungal Effect against Fungal Plant Pathogens

  • Lee, Chung-Sun;Kim, Ki-Deok;Hyun, Jae-Wook;Jeun, Yong-Chull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51-254
    • /
    • 2003
  • To select active bacterial strains to control plant diseases, 57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the plants growing in various areas such as coast, middle and top of Halla Mountain in Jeju Island. Anti-fungal effect of isolated bactrial strains was tested in vitro by incubating in potato dextrose agar with isolates of four fungal plant pathogens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orbiculare, respectively. Thirty-four bacterial strains inhibited the hyphal growth of the plant pathogens, from which 17 strains inhibited one of the tested fungi, 10 strains two fungi, six strains three and a strain TRL2-3 inhibited all of the tested fungi. Some bacterial strains could inhibit weakly the hyphal growth of the plant pathogens, whereas some did very strongly with apparent inhibition zone between the plant pathogens and bacterial strains indicating the unfavorable condition for hyphal growth. Although there was no apparent inhibition zone, some bacterial strains showed a strong suppression of hyphal growth of plant pathogens. Especially, the inhibition by TRL2-3 was remarkably strong in all cases of the tested plant pathogens in this study that could be a possible candidate for biological control of various plant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