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Student Achievemen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4초

전문대학교 방사선과 3학년 학생들의 보건법규학업성취도에 관한 방사선사면허 합격예측평가(D 보건 전문대학 중심으로) (Assessment of Pass Prediction of Radiologist's licens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Health law Courses of 3rd Year Students in Radiology Department of College(Focus on D Health College))

  • 정홍문;이준일;박형후;원도연;정재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33-539
    • /
    • 2018
  • 국가직무능력표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은 고등직업교육기관인 전문대학을 기반으로 하여 시행되어 지고 있다. 전문대학은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근무현장에서 최대한의 역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태도라는 3가지의 영역을 편성하여 집중적인 교육을 하고 있다. 전문대학 중에서 보건계열은 의료기사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특별하게도 의료기사 및 의료 분야들은 반드시 면허를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의료분야에서 근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의 합격은 취업의 전제조건이다. 이번연구에서는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을 앞둔 D 전문대학 방사선과 3학년 학생들(229명)의 보건법규 점수를 주차별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주차별 점수획득은 학생들의 개개인별 학습 성취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 개인별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 합격의 가 부를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 및 적용의 일 예 (An Example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Package)

  • 제미순;최원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1-36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blem-Based Learning (PBL) package, test its application and evaluat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BL in nursing colleges. Method: Thirteen steps were used in the process developing the PBL package. After its application, the first questionnaire for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with PBL class was given to 94 nursing students in December, 2005. To further evaluate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BL, a second questionnaire was given to 83 nursing students out of the 96 in May, 2007 after clinical practi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 Results: The results of students' self-evaluation showed high achievement in learning outcome and process using the PBL method. Also,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management, the lecturer and their peers after the PBL class.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PBL class had positive effectiveness in clinical practice and wanted more PBL classes and the inclusion of complex cases from well designed packages. Conclusion: PBL class could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to fortify student nurses' abilities to adjust to the real clinical situation.

  • PD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DISC Behavior Pattern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Yoon, Sun-Joo;Moon, Kyung-Hui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41-246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how DISC behavior patterns affect the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have increased major satisfaction and maximize their strength by understanding their DISC behavior patter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8 to November 14, 2018, 218 dental hygien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BM SPSS ver. 21.0.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ANOVA & pearson correlation were performed. Results: The most frequent DISC behavior patterns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steadiness types (49.0%) followed by influence types (34.5%), conscientiousness types (9.0%), and dominance types (7.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ism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 patterns in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e students. Conclusion: In conclusion, in order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professionalism through increased majo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such as providing consultation and education that corresponds to each student's DISC behavior patterns. These efforts will provide the students career vision and encourage them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find employment that fits their vocational aptitude.

비대면 수업에 대한 치기공과 학습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recogni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 최주영;정효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2-408
    • /
    • 2020
  • Purpose: To understand the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signing online classes based on the dental technology cours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of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ver. 25.0 program. To ensure a reliable verification, the α=0.05 significance level was used. Th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s shown in the rate of recognition for video-based classes for both the theory and experiments. Students displayed high positivity with the video-based learning as it is repeated learning that is not affected by the limitations of time. In addition, video-based learning is highly beneficial in terms of convenie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for learn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video-based learning is a highly positive learning type for students. It was also recommended that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hould offer a post-COVID-19 online class to include the blended methods of a face-to-face class and video-based learning.

Association between the Learning Styles with Personalities of Medical Students and Their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Achievements

  • Bae, Soo Jin;Hong, Sun Y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219-228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s with personalities of medical students which may affect the efficiency of teaching-learning system of clinical education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e learning styles and personality traits of 147 students of medical college were investigate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model in the different genders; of the personality trai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transcendence in the different genders,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istence for past failure experiences; and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6 sub-learning models(Independent vs. Dependent, Collaborative vs. Competitive, and Participant vs. Avoidant learning styles) and the personality traits(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and Self-transcendence). In addition, the participant type of students had higher scholastic achievements in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students who scored high in self-transcendence and persistence also had higher clinical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student's learning style and personalities affected the clinical scholastic performance. We believe that considering this current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education of medical teaching as well as helping medical students to choose career paths that are suitable for their personalities.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의 틀과 방안 (A Comprehensive Framework and Approaches for Enhancing Mental Health in Medical Students)

  • 김민경;김혜원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180-192
    • /
    • 2022
  •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frequently experienc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stress, burnout, and depression, which may, in turn, affect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Since mental health problems profoundly impact academic achievement and professionalism, it is vital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mental health and identify strategies to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Some relevant influencing factors range from the personal level, including gender, personality traits, perfectionism, and social support, to the environmental level, including the grading system, educational phases, exposure to patients' death, mistreatment, and culture of medicine. In this regard, a comprehensive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that encompasses environmental interventions, as well as personal-level support, is needed. Simultaneously, proactive approaches that address the improvement of self-care and alleviation of systemic burdens are essential, together with the predominant reactive approaches focusing on problems and deficits. Altogether, we proposed a framework for enhancing mental health constructed by four categories (personal-reactive, environmental-reactive, personal-proactive, environmental-proactive) based on the intervention level and goal of support. All four categori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nd one cannot replace the other, but expanding environmental-proactive support will allow more students to learn how to pursue health independently. We expect that this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nhancing mental health could expand support systems for medical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중학생들의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from Geocentricism to Heliocentricism Using Science History Materials)

  • 최진희;김희수;정정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89-50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에게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인지 갈등 수업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우주관’에 대한 개념 변화의 인지적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지수준이 각각 상, 중, 하인 중학교 2학년 학생 남녀 4명을 표집 하였다. 매 차시별 수업 후 형성된 학생의 ‘우주관’ 개념에 대해 면담과 탐구 활동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cdot$사후 개념 검사로 개념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4명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천문학적 선개념은 차이가 있었고 천체의 운동과 관련된 오개념도 다양하였다. 형식적 조작기와 전이단계 있는 학생은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을 통하여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개념 변화가 이루어졌다. 그에 비하여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학생의 선개념은 전반적으로 비과학적이거나 무개념 상태였으며, 인지 갈등을 일으킬 만한 현상을 제시하여도 개념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는 등 과정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 단계의 학생에게는 새로운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게 하는 인지 갈등 과정을 통하여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를 일으켰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검사지의 성취도가 $10\%$ 이상 높아졌다. 이는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학습 지도가 과학적 개념 변화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적용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 최지혜;박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39-349
    • /
    • 2013
  • 본 연구는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 139명을 연구대상으로, 2012년 9월 1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양적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는 면담 녹취록을 Strauss & Corbin(1990)의 개방코딩과 범주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6점이었고, 전공 선택이유(F=6.23, p=.003), 학업 부담감(F=4.47, p=.013) 및 지각된 학업성취도(F=6.8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 경험으로는 '학업 부담감 극복', '취업 부담감 극복', '다양한 지지자원 확보', '다양한 교과 외 활동 참여' 및 '질 높은 실습교육'의 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하여 학업과 취업 부담감 경감, 지지자원과의 연계,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의 계획 및 질 높은 실습교육의 제공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겠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07-3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정도를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평점 3.36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는 학업진로가 가장 높았고, 개인심리, 사회체험, 대인관계, 진로준비 순이었다.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는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인 학업활동은 학교성적, 진로준비는 자기효능감, 개인심리와 사회체험은 감성지능, 대인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 권점례;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99-217
    • /
    • 2023
  •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요인과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은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자신의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을 꼽았다. 그 외에 상 수준의 학생은 '수학 사교육'과 '대학 입시와 직업', 중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사교육', 하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아질수록 학생들의 수학 수업 참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그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에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