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Scholastic Abilit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교차지원에 따른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수학 운영 사례 중심으로 - (On the Necessity and Effect of Additional Points System in Cross-Applic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s)

  • 김태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25-536
    • /
    • 2011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자연계열의 수험생들이 선택하게 되는 수리 가형과 과학탐구가 아닌 다른 교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한 수험생이 이 공계열의 학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학입시과정에서, 교차지원제도는 그 도입 취지와는 다르게 대학 교육현장에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개선 방법의 하나로, 우수한 신입생 유치와 함께 자연계열 성향의 수험생 확보라는 두 개의 큰 목표를 동시에 이루기 위하여 각 대학은 가산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수학 교과목 학업성취도 사례 중심으로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 문항의 질 제고를 위한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 분석 (Item Analysis of Japanese NCTUA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Chemistry Items of CSAT)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18-828
    • /
    • 2010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된 이후 17년이 지나고 여러 번의 모의평가 출제로 인해 문항의 패턴화, 지식 중심의 출제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한국과 마찬가지로 국가 중심 교육과정이며 국가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선다형 시험 유형을 가진 일본의 대학입시센터시험(센터시험) 문항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 1월에 시행한 센터시험의 이과시험에서 화학 문항을 수능과 관련하여 내용 요소 및 행동 영역에 따라 분석하고, 문항 유형과 특이 사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 수험생의 관점에서 예상 정답률을 추정하여 수능의 화학 문항 출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산정시스템의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ing System)

  • 박영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9-22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ore data relea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coring system provided by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Methods: We calcul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us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of the standard scor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by expressing the distribution as a graph. Also, we developed an index to evaluate whether each stanine level was stably assigned and calculated the indexes for each area/subject by using the data on the number of examinees for each level. Results: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conversion from raw scores to integerized standard scor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w scores, and identified the problem that the raw score information is not fairly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percentile and level as the two raw scores are converted to one standard sco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calculating the standard score to a decimal point. Conclusion: In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cores of the current CSAT, the standard score and percentile decimal notation, the specific regulations of the standard score and stanine level calculation method, and the expansion of the open range of the scores were suggested.

Analysis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College Entrance Criteria

  • Bae, Hyun-W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973-983
    • /
    • 2007
  • Korea Military Academy has been using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High School Grades(HSG) with other measures such as an Essay-type Test(ET), Physical Test(PT) and Personal Interview(PI) as criteria for entrance.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ness of the criteria in admission decis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GPA and criteria, and the prediction of academic performance. The study showed that CSAT and HSG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llege GPA, and these two criteria are better predictors for academic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also provided an important message that HSG is a better predictor than CSAT.

  • PDF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 선복근;김병삼;정준오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6-134
    • /
    • 2009
  • 공학계열 신입생의 기초학력 저하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대학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서대학교 공과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습향상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피어 튜터링 제도의 사례를 제시하고 피어 튜터링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피어 튜터링 제도는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제도 참여자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 역할 분담과, 업무 검증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어튜터링 제도는 튜터와 튜티 모두에 교과에 대한 흥미 증대, 학업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선후배간의 유대감, 리더십, 책임감 증대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Analysis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김시화;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2
    • /
    • 2017
  •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고등학교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식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은 모두 '사실적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은 '이해하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수능 평가 문항에서는 '분석하다'와 '분석하다'가 '이해하다'와 복합된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율차 검증을 통한 한국지리 수능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분석대상 학년도 모두 내용타당도가 '조금 낮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내용 영역별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지형 환경과 생태계', '생산과 소비의 공간' 영역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의 주요 유형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다른 영역에 비해 내용타당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출제 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충실히 반영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의 자료 분석 능력 평가에 치중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 분석을 위한 3차원 분석틀 개발과 화학 I 문항 분석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Analy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Chemistry I Questions on the CSAT and Analysis of Chemistry I Questions)

  • 박지훈;박선향;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40-53
    • /
    • 2024
  • 이 연구는 화학 핵심 개념, 화학 행동 영역, 수학 행동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2019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4개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을 분석하여 영역별 출제 문항 수와 비율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 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은 핵심 개별 별로 비교적 고르게 출제되었으나, 고난도 문항은 양적 관계에 편중되었다. 화학 행동 차원의 경우,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 설계 및 수행 영역의 문항 출제 비율이 매우 낮았고, 고난도 문항의 경우 결론 도출 및 평가에 편중되었다. 수학 행동 영역의 경우, 발견적 추론 영역과 연역적 추론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 수가 매우 적었고, 고난도 문항은 내적 문제해결력 영역에 편중되었다. 또한, 특정 화학 핵심 개념과 화학의 행동 영역은 특정 수학 행동 영역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고차원적 수학 행동 영역을 포함하는 문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이과 문항 분석 (Analysis of Science Items of the Japanes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 김현경;김동영;최혁준;구자옥;동효관;신일용;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2-471
    • /
    • 2010
  • 수능이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된 이후 17년 동안 시행되어 오면서 기출을 피하면서 사고력을 측정하는 참신한 문항을 출제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학능력 측정을 위한 양호한 문항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능 문항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능과 같은 국가 수준의 선다형 대입 관련 시험 분석의 일환으로 일본 센터시험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센터시험의 체제와 이과 출제 과목 및 응시과목의 수나 응시자 현황을 파악하고, 2009년 1월에 시행한 '이과' 시험의 검사지 구성, 문항 유형, 특이 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센터시험 문항을 수능과 관련하여 내용 요소 및 행동영역에 따라 분석하였고, 아울러 우리나라 수험생의 관점에서 예상 정답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센터시험 문항은 고급 사고력보다는 지식 측정 또는 낮은 사고력을 주로 측정하고 있다. 또한 문항 당 배당되는 시간이 수능보다 길며 문항 수가 고정되지 않았고, 배점과 답지 수도 다양하다. 그리고 실생활 소재를 많이 사용하면서 문장 표현을 엄격하게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센터시험에서 원점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선택 과목 간 유 불리 문제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과나 이과의 계열 구분 없이 대부분의 학과에서 선택 과목으로 과학과목 성적을 요구하고 있다.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기초 수학분야 학업성취도 및 효율적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On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mathematics and the efficient methods of education)

  • 김병학;김재웅;김지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15
    • /
    • 2017
  • 대학 입학 제도는 고등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입학 후 전공에의 적응 및 수학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이공계열 신입생들의 주요 과목으로 공동관리 되고 있는 미분적분학1을 2006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선형대수학을 2011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그리고 미분적분학2와 미분방정식과목에 대한 2011학년도부터 2015학년도까지의 학업성취도 및 입학전형을 비교, 분석하고 이공계열 신입생들의 전공에의 적응과 학업능력신장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한다.

자기-지각의 발달적 변화 (Developmental Change of the Self-Perception)

  • 이영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1-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s about self-perception from childhood to adult period. The subjects were 365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2nd grader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ophomore in college, and adult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Harter's Self-Perception Profile for the children, adolescence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the score of scholastic, athletic,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global self-worth were decreased. At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ly anxious for self-perception. 2. Physical appearance were the best predictor of the global self-worth for all developmental stages. 3.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predicted more about the global self-worth than any other factor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cceptance and friendship also predicted about the global self-worth. Scholastic competenc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global self-worth for the seni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a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4. For college students, males had higer scores than females on ability-oriented but also relationship-oriented subscales. But the ad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nurturance, household management, job competence depending on se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