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and Emotional Structur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Cognitive and Emotional Structure of a Robotic Game Player in Turn-based Interaction

  • Yang, Jeong-Ye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154-162
    • /
    • 2015
  • This paper focuses on how cognitive and emotional structures affect humans during long-term interaction. We design an interaction with a turn-based game, the Chopstick Game, in which two agents play with numbers using their fingers. While a human and a robot agent alternate turn, the human user applies herself to play the game and to learn new winning skills from the robot agent. Conventional valence and arousal space is applied to design emotional interaction. For the robotic system, we implement finger gesture recognition and emotional behaviors that are designed for three-dimensional virtual robot. In the experimental tests, the properness of the proposed schemes is verified and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raction is discussed.

1인 미디어 콘텐츠 및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이용자들의 신뢰, 시청몰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Media and Influencer Attributes on User's Trust, Viewing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 이준섭;김지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ttributes of personal media content and influencers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of platform users. In addi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viewing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92 consumers who have recently experienced using personal media conten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SEM) were hired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data. Findings -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informativeness and experti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However, entertain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2) inter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trust, but not on cognitive trust; 3)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ewing commitment of the content; 4)content users' viewing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recommended product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rough the above empirical research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인지 과정의 체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Spac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ying Digital Media -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a Cognitive Process -)

  • 정은하;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5-123
    • /
    • 2009
  • The change of digital technology caused not only the whole human life but also the change of a thinking form and an expression method of human beings. Also,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ucture became to form in space structure, and space users also get changed to an active system. The interaction between a human being and space, which uses digital media as a medium, makes a human being experience sensitivity through a cognitive process of a human being.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emotional space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space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to realize new emotional space. The research method was to define on digital media and experience by cognition of a human being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nd a precedent research and to consider on approach to emotional space through experience of a cognition process like this. Based on the theory like this, the present research progressed by focusing on dramatize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in the digital media space and emotional space expression by induce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like this, the space applied with digital media could appear as a field of communication that can experience by forming mutual relation through perception of a human being. Additionally, the space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a human being through various productions of media and responds to movement, and thus, this suggested infinite possibility as emotional space that can try new experience by stimulating a sense as effect of a cognitive process of a human being.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 구조 분석 (Variables Related to Gender Differences in Structural Analysis of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 우수경;최기영
    • 아동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5-32
    • /
    • 2002
  • Child's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social competence, mother's affective child rearing and positive expression, father's positive expression, and teacher's positive expression were the variable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C). Subjects were 20 teachers and 23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Data were analyzed by LISREL (Linear Structural Relations),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boys'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affective rearing behavior 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boys; boys temperament and cognitive ability, and positive expressions of their teachers in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boys. Girls' temperament and social competence 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girls; their cognitive ability, mother's affective child rearing behavior, and positive expressions of mothers and fathers in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girls.

  • PDF

색채 감성의 위계 구조에 대한 탐구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lor Sensibility)

  • 박창호
    • 인지과학
    • /
    • 제19권1호
    • /
    • pp.41-56
    • /
    • 2008
  • 감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감성 요인들을 추출하는 데에 치중하여 왔으며, 감성의 내적 구조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감성에 감각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이 있으며, 이들이 대상의 속성을 묘사하는 객관형용사와 경험자의 심리를 묘사는 주관형용사에 각각 상응한다고 보았다. 국어학적 분류와 경험적 평정을 통해 최종 선별된 43 개의 객관형용사 군과 21 개의 주관형용사 군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여, 감각적 측면(객관형용사)의 다섯 요인과 정서적 측면(주관형용사)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다. 두 측면의 요인점수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감각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 간의 위계 구조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감성의 정서적 측면은 여러 감각적 요인의 결합으로 파악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 PDF

초임부의 모성 정체성에 관한 모형구축 (Model Construction of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 김혜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10-518
    • /
    • 1998
  • It was assumed that the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is one of the most attribute of the motherhood, that is not biological but cognitive phenomena, appears active process as intelligent human be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identification the cognitive structur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Theoretical framework in this study,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was constructed as a cognitive output, has the cognitive structure of cognitive-perceptual factor, cognitive-behavioral factor, and cognitive-emotional factor. Influencing factors of maternal identity was constructed as a cognitive input, which were pregnancy related perceptions (pregnancy intention, minor discomfort, value of motherh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ionship with mother, relationship with husband, relationship with social network), preparation to motherhood(maternal knowledge, antenatal self care), and biological factor (gestation period).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done from the 3rd January to the 15th March 1996,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conviniently 226 the primi-gravida during the gestation period, data collection method was self reported questionnaire cross-sectionally. Descriptive data analysis was done by SAS PC$^{+}$,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done by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using LISREL 8.03 program.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the value of motherhood(y=.650, T=4.26) the maternal knowledge (y=.137, T=2.030), the gestation period( y=.113, T=2.621), showed significant causal effect on the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In conclusion, the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had interrelated cognitive structure consist of perceptual, behavioral, and emotional factors. Significant causal factors influencing the maternal identity were value identified. It seems to contribute toward th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nal identity as a cognitive domains that has been regarded highly abstract concept, so has not been validated empirically.y.

  • PDF

감성 요소 분석을 통한 소비자 니즈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ization of Consumer Needs by Analysing Emotional Factors)

  • 엄정식;김창수;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97-106
    • /
    • 1999
  • 생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날로 다양해지고 복잡해져 가는 소비자의 니즈를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마케팅적 관점에 그 기초를 두고 구조화되고 있는 현재의 소비자 니즈 체계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응용하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범주적인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과학/인지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제품 컨셉 수립 단계에서 실제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 니즈를 구조화하는 방법론을 수립하고, 니즈 구조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발견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분류 기준과 같이 소비자 니즈의 범주뿐 아니라 실제적인 니즈의 속성까지를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에 대한 제품의 실제적 의미에 해당하는 감성 개념을 구조 내에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개념 하에 수립된 니즈 구조를 감성 니즈 구조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둘째, 개념의 범주화는 상징적 개념을 중심으로 한 본질적 개념과 외연적 개념의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하면, 감성 니즈 구조는 가치 컨셉(본질적 개념), 소비자 니즈(외연적 개념)가 감성(상징적 개념)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모험적 여가활동의 인지 차원 척도 개발과 모형검증 (A Cognitiv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Model Verification of the Pursuit of Adventure Leisure Activities)

  • 곽재현;홍경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13-52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체험으로서의 모험적 활동을 탐색하고 인지적 체험과 정서적 체험, 그리고 만족과 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연구를 통해 도출된 척도를 토대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고독감, 자기향상감, 자연신비감, 도전감, 대인신뢰감을 포함하는 5가지 인지적 체험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세부적인 문항은 총 20개이다. 실증분석 결과, 모험적 여가 참가자들은 체험의 인지적 요소들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자신들의 감정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으며, 감정체험은 다시 전반적인 체험만족과 지속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각성과 즐거움이 고독감, 자연신비감, 도전감, 대인신뢰감 등의 모험적 여가활동의 인지적 체험과 체험 만족을 연결해주는 매개 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결국 각성과 즐거움의 두 감정체험차원은 모험적 여가활동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기제임이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모험적 여가의 중요성을 학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연구자들로 하여금 생산적인 후속 연구가 촉발되길 기대한다.

감정 상태에 따른 컴패니언 로봇의 인터랙션 디자인 : 공감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action Design of Companion Robots Based on Emotional State)

  • 오예전;신윤수;이지항;김진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93-1301
    • /
    • 2017
  • 최근 핵가족화, 개인화 등과 같은 사회구조 변화로 개인 및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부정적 감정 증폭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과거에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가족 구성원의 부재는 현대인의 감정적 어려움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및 사회적 문제를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와 교감하는 컴패니언 로봇의 공감 인터랙션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 로봇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해 정교한 공감 인터랙션 디자인을 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 감성 로봇의 공감 인터랙션에 얼굴 인터랙션이 크게 영향을 미치며, 부정 감성에서 인터랙션이 로봇의 공감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감성 로봇을 제작하여 더욱 정교한 인터랙션을 구현하였다는 점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의 공감 인터랙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및 실용적 의의가 있다.

정서의 자동처리기제 (The Automatic Processing of Emotion)

  • 이수정;권준모;이훈구
    • 인지과학
    • /
    • 제9권1호
    • /
    • pp.13-29
    • /
    • 1998
  • 이 문헌 연구는 정보처리 기제 중 자동적인 처리과정의 원리로 다양한 정서 자극에 대한 반응양식이 과연 설명될 수 있을지를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인지적인 판단이 필요한 통제과정이 전혀 개입되지 않고서도 정서 유발 자극이 Bargh(1989)가 제시한 자동처리의 원리에 따라 암묵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인가$\ulcorner$ 몇몇 연구들은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자동적인 처리과정은 의미론적인 처리과정보다 훨씬 우선적이며 즉각적으로 처리된다고 주장한다. 자각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서 가를 파악하는 현상은 우리의 정보처리과정 중 의식적이며 인지적인 개입이 필요한 명시적인 지식 체계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자각이 없이도 처리가 이루어지는 암묵적인 지식의 체계에 의해 담당될 것이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암묵적인 기억과정의 원리와 그에 대한 생리학적인 근거도 제시함으로써 정서가 가미된 정보의 처리과정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질 지에 대해 요약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