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fishing boat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1초

항행안전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Platform for Navigation Safety Information)

  • 김도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8
    • /
    • 2020
  • 본 연구는 연해구역에서 어선 및 소형선박의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현행 상선 중심의 항행안전정보(NSI) 제공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어선 등 소형선박의 안전항해를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NSI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주요 연구내용으로 첫째, 최근 해양사고 실태 및 특징을 고찰하고 NSI 중점 제공대상을 식별하였다. 둘째, 현행 NSI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통합성·대 국민 접근성·활용성이 강화된 NSI 통합플랫폼(NSIP)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NSIP 활용방안으로 한국형 e-Navigation(e-Nav) 사업과 연계하여 개발 중인 e-Nav 선박 단말기에 사용될 전자해도(ECS)에 부가정보 형식으로 다양한 NSI를 적용하고 선박이 항해위험구역 또는 속력제한구역 진입시 자동으로 시청각 알람기능이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개선기능을 제안하였다. 이는 관련기관과 GPS플로터 전문제작업체의 전문가 의견을 검토 한 바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상용화된 스마트폰 앱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어선 등 소형선박에 NSI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사고 예방기능과 함께 e-Nav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지역 연안복합(문어단지) 어업의 조업실태 조사 (A survey of the actual operating status of coastal composite fishery (octopus pot) in the Jeonnam waters)

  • 구명성;조삼광;배봉성;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4호
    • /
    • pp.292-301
    • /
    • 2021
  • Interviews and boarding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usage of octopus pot in the coastal composite fishery i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conduced by visiting the areas (Goheung, Yeosu and Wando),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nine-ton vessel were 30,000-8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7,000-10,000.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four-ton vessel was 4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4,000.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wo octopus pot fishing boats (9.77-ton and 4.99-ton) in Yeosu area, the daily catch weight of 9-ton class vessel was the minimum of 66.9 kg and the maximum of 159.6 kg. The daily catch weight of the four-ton class fishing vessel was from 31.3 kg to maximum 85.6 kg. The average number of octopus pot used per day in the nine-ton class vessel was 6,821 (the minimum of 6,031 and the maximum of 7,697) and 3,181 (the minimum of 2,282 and the maximum of 3,878) in the four-ton class vessel.

수협의 어선원 재해보상보험 자료를 이용한 대형선망어업 선원의 위험요인 연구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the fishermen's in offshore large powered purse seine fishery using the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roceeds payment data of NFFC)

  • 최준익;김형석;이춘우;오택윤;서영일;이유원;류경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1호
    • /
    • pp.82-93
    • /
    • 2019
  •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selected fishing as the most dangerous group of jobs in the world, and it is well known in Korea as a 4D industry. Offshore large purse seine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fishing industry in the coastal region with high death rate and the accident rate. The repeated disaster rate survey by the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shows offshore large purse seiner is the highest at 22.3 percent and coastal gill nets and offshore stow net are following at 12.4 percent and 11.9 percent in order. Therefore, risk factors occurring in offshore large purse seiners were analyzed based on data from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NFFC) for three years from 2015 to 2017 and 4M (Man, Machine, Media, Management) 3E (Engineering, Education, Enforcement) techniques were used to provide a safe fish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accidents on offshore large purse seiners each year was more than 150, and the number of accidents on every fishing boats was as high as 17 percent in 2015. If the accident rate and the risk level were divided by insurance, the accident resulting from contact with machinery was the highest, and the risk of a contact with gear was low but frequently occurring. This was caused by collisions and contact with gear in situations where death and disappearance risk are not high, and accident types in situations where death and loss risk are considered to be contact with machinery, falls or other accidents. Through these analysis techniques, the frequency and risk of each type of accident on a offshore large purse seiners can be demonstrated, and it is expected to raise awareness of a safer fishing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accidents.

VHF DSC에 의한 동해권 어업 VMS의 통신운용 설계 (A Design on Radio-Communications Operation of the Fishery VMS by VHF DSC in the East Sea Area)

  • 최조천;정영철;김정욱;최명수;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4호
    • /
    • pp.371-377
    • /
    • 2013
  • 5톤 이상의 어선에는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의 DSC(Digital Selective Calling)가 어선법과 선박안전법에 의무화되어 있다. 어선의 무선설비 관련 규정에는 안전운항을 확보하고 해양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의 소유자는 국토해양부장관의 고시에 따라 어선위치 자동발신 장치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어업정보통신국은 2012년 동해를 시작으로 남해와 서해에 연차적으로 VHF 해안국을 설치하고, 웹기반으로 리모트 콘트롤 및 모니터링에 의하여 DSC를 원격으로 운용하는 연안 VMS(Vessel Monitoring System) 구축사업이 추진중에 있다. 모든 어선의 VHF DSC는 GPS와 연동되며 DSC의 호출에 의하여 자동으로 위치정보를 중계소에 전송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해권의 VHF DSC 해안국을 대상으로 통신해역 설정과 운용 그리고 등록선박의 항해에 따른 권역별 로밍서비스를 실현하는 항적추적과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기법을 병행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소형선의 연안항해를 지원하는 해상내비게이션 (Maritime Navigation to Aid Costal Sailing of Small-Size Ship)

  • 윤재준;문정환;정종택;김건웅;최조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3호
    • /
    • pp.371-378
    • /
    • 2016
  • 국내 연안을 운항하는 소형어선, 낚싯배, 요트, 보트 등 소형선의 운항자에게 항로탐색, 해상안전정보 등의 제공이 가능한 해상내비게이션을 연구하였다. 스마트 기기의 앱에 의하여 육상 내비게이션 기술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여 도서, 양식장, 암초 등에 대한 해상 장해물에 대한 정보가 비교적 정확하며, 사용하기 쉽고, 고가인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 Information System)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실현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해상내비게이션의 구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운용자를 위한 앱 설계의 부분으로 기술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써 소형선의 운용자가 별도 장비의 구입, 설치 및 유지보수등의 과정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최소의 비용으로 연안해역에서 안전운항을 실현할 수 있다.

연근해주요어업의 성장성분석(II) (An Analysis of the Growing Trend on the Major Fisheries of the Coastal and Adjacent-Sea in Korea)

  • 김태용
    • 수산경영론집
    • /
    • 제13권1호
    • /
    • pp.63-84
    • /
    • 1982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growing trend from 1971 to 1980 on the four major fisheries in Korea; large powered purse seine, anchovy drag net, two boats large trawl and one boat large traw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solutions against the problems which these fisheries are faced wit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ing trend of income, capital structure and main ratios of fin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blems are as following: \circled1 Revenues per vessel was decreased when catches per vessel was decreased in 1979, 1980. therefore the increase ratio of the revenues per vessel was weakened from 1979. \circled2 Catches per vessel was decreased from 1979 in spite of the increase of gross cathes in its field. \circled3 Production costs in fishing, such as the cost of wages, fuels and repairs, was steadily up year by year. \circled4 Profitability was deteriorated from 1978. \circled5 productivity was lower from 1978. \circled6 Stability was lower from 1978. The solutions out of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circled1 Fisheries resources must be fostered. \circled2 The numbers of vessels should be reduced according to the fisheries resources. \circled3 The precise amount of resources should be dynamically estimated. \circled4 The fishermen must be educated to reduce fishing cost such as the cost of fuels and repairs, etc. \circled5 The old vessels should be replaced. \circled6 The production efficiency should be promoted. \circled7 The rate of interest should be cut down to reduce financial cost.

  • PDF

유해 해양생물 해파리 피해 저감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Reduction Strategy Against a Harmful Aquatic Organism, Jellyfish's Bloom)

  • 박성욱;이경훈;윤원득;이동길;김성훈;양용수;이건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49-62
    • /
    • 2015
  • As methods reducing damages by jellyfish which enter the coastal areas of Korea, attaching cutting devices to towing nets of otter trawls or pair trawls and/or using a canvas type of cutting nets of small fishing boats have been widely utilized. In order to reduce shut-down damages of power plants in coastal areas due to the mass influx of marine organisms including jellyfish, a possible improvement of the traveling water screen system and various jellyfish influx blocking device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an important index for reducing damages by jellyfish bloom which cause on a massive scale in summer in Korea.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 가능성에 관한 고찰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 정초영;황보규;김성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5-541
    • /
    • 2019
  •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어구 및 어법이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터빈과 해저케이블에 미치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서남해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연구 대상 해역으로 설정하여, 주변 국가어항의 선박 현황을 조사하였다. 어선의 현황을 참조하여 22개의 어구 및 어법에 대하여 위험도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전문가를 통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위험도가 낮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에서도 조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외줄낚시, 대낚시, 멸치챗배였으며, 위험도가 보통으로서 조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구 및 어법은 바닥주낙, 뜬주낙, 끌낚시, 오징어채낚기, 문어단지, 주꾸미소호, 연안통발, 주목망, 낭장망, 고정자망, 유자망이었다. 위험도가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조업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형망, 빔트롤, 건착망류였으며, 위험도가 아주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이 허용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안강망, 기선권현망, 오터트롤, 외끌이기선저인망, 쌍끌이기선저인망이었다.

제주도 주변해역 고등어 건착망의 연구 - 4 . 어획량의 특성과 어구의 성능 - (Studies on the Mackerel Pures Seine Operating in the Sea Area of Cheju Island - 4 . The Characteristics of Catch and Ability in Purse Seine -)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47-254
    • /
    • 1991
  • 1982~88년 사이 한국건착망 어업의 망선 48척의 어황일보에 의한 조업해구, 어종별 어획량의 자료를 이용하여 5개 해역별로 어획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중 제주도 연안해역(CC)은 양망회수와 어획량은 많으나 양망당어획량이 타해역보다 적으므로, 조업중 어구의 형상에 대해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류에 의한 망형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착망의 평균 CPUE는 31.6톤인데 음 10~4월은 평균보다 높고, 음 5~9월은 낮았다. 2. 건착망 어장 5개 해역중 CC해역은 양망회수비 42.4%로서 가장 높고 CPUE는 25.7톤으로 낮았으며, 각 해역별 CPUE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3. 고등어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음 11~1월에 평균 136.3%였고, 음 5~10월에 평균 63.7%였다. 4. 저층류에 의한 역조시 선망권의 직경은 가장 짧았고, 이때 납줄에 의한 포위면적은 더욱 좁아지며 어군의 포위효율은 낮아졌다. 5. 저층류에 의한 납줄의 형상은, 순조의 경우 유향으로 장원형이 되었고, 역조의 경우 유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원형이 되면서 포위면적이 급히 축소되었으며, 망의 변형은 역조의 경우 가장 심하였다.

  • PDF

금강하구 퇴적변화 및 통행지장에 관한 후측모의 (Hind-casting Simulation of Sedimentation Changes and Passage Hindrance In Keum River Estuary)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4
    • /
    • pp.224-232
    • /
    • 2004
  • 지난 20여년간 다양한 공사가 시행된 금강하구에서 퇴적으로 인한 수로매몰을 분석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2000년까지 매 2년 간격으로 7가지 경우에 대해 단계별로 수치수동역학모형을 적용한 후측실험이 실시되어 바닥마찰응력의 변화와 상관된 퇴적율 평가가 실시되었다. 금강하구둑 건설로 최대마찰응력장이 약 $1-2N/m^2$ 에서 $0.2-0.6N/m^2$크게 줄어들고, 특히 1994년 금강하구둑의 수문 폐쇄 이후에 장항수로에서는 해저마찰응력이 한계마찰응력으로 제시된 $0.4N/m^2$ 이하로 급감하면서 퇴적환경으로 전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구둑건설은 금강 상류로 전파되는 조석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조석수동역학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고 하구둑 전면에 퇴적환경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소형어선의 통행지장을 겪는 장항수로의 매몰평가는 평균대조 조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에 비해 20% 이상 통행지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