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d-casting Simulation of Sedimentation Changes and Passage Hindrance In Keum River Estuary

금강하구 퇴적변화 및 통행지장에 관한 후측모의

  • 서승원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시스템공학전공)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Sedimentation changes related with bottom shear stress attenuation at JangHang channel in the Keum River Estuary, where several huge coastal constructions including an estuarine dam have been conducted for last 2 decades, were evaluated for 7 cases to figure out passage hindrance through the channel by a hydrodynamic model using hind-casting technique from 1988 to 2000 at every 2 years interval. Due to the construction of Keum River Estuary Dam, the maximum bottom shear stress rapidly lessened to $0.2-0.6N/m^2$ compared to$1-2N/m^2$ in natural status. Especially it marks below the critical shear stress of $0.4N/m^2$ resulting in severe siltation in the channel just after the closing of dam gates in 1994. It is concluded that the dam may block the tidal energy propagation to upstream and directly results in sedimentation environment in front of dam site. It is also revealed that at least 20% of passage hindrance of small fishing boats through the channel could be counted due to sedimentation by analysis of predicted mean spring tides.

지난 20여년간 다양한 공사가 시행된 금강하구에서 퇴적으로 인한 수로매몰을 분석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2000년까지 매 2년 간격으로 7가지 경우에 대해 단계별로 수치수동역학모형을 적용한 후측실험이 실시되어 바닥마찰응력의 변화와 상관된 퇴적율 평가가 실시되었다. 금강하구둑 건설로 최대마찰응력장이 약 $1-2N/m^2$ 에서 $0.2-0.6N/m^2$크게 줄어들고, 특히 1994년 금강하구둑의 수문 폐쇄 이후에 장항수로에서는 해저마찰응력이 한계마찰응력으로 제시된 $0.4N/m^2$ 이하로 급감하면서 퇴적환경으로 전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구둑건설은 금강 상류로 전파되는 조석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조석수동역학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고 하구둑 전면에 퇴적환경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소형어선의 통행지장을 겪는 장항수로의 매몰평가는 평균대조 조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에 비해 20% 이상 통행지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군산지방해양수산청 (2002). 금강하구 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
  2. 김태인 (2002). 금강하구의 해수유동과 퇴적과정.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3. 김태인, 조준성, 이석우, 김도연 (2002). 군장항의 매몰현황과 원인. 군장수로 매몰저감을 위한 workshop, 5-23
  4. 서승원 (1998a).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1)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0(1), 10-17
  5. 서승원 (1998b).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2) -수치실험을 중심으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0(1), 18-26
  6. 서승원, 김정훈 (2003).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5(2), 97-107
  7. 이석우 (1994). 한국항만수리지. 집문당
  8. 최병호, 강경구, 이석우 (1989). 금강하구의 조석 및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 31-43
  9. Baptista, A.M., Westerink, J.J. and Turner, P.J. (1989). Tides in the English Channel and Southern North Sea. A frequency domain analysis using model TEA-NL, Adv. Water Resources, 12, 166-183 https://doi.org/10.1016/0309-1708(89)90021-3
  10. Luettich, R.A., J.J. Westerink. and N.W. Scheffner (1992). ADCIRC: an advanced three-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for shelves coasts and estuaries. Dredging Research Program Technical Report DRP-92-6, 137 p
  11. Walters, R.A. (1987). A model for tides and currents in the English Channel and southern North Sea. Advances in Water Resources, 10, 138-148 https://doi.org/10.1016/0309-1708(87)90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