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practice stress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 조의영;김정애;김지영;김현지;라은수;이혜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1호
    • /
    • pp.35-43
    • /
    • 2016
  •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전, 진주, 나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학과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전공만족도, 경제적 상태이었고 설명력은 23.8%이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사전 실습환경 적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취업률이 높은 간호학과이더라도 원하는 병원의 취업이 쉽지 않고 병원 취업이 결정되어도 국가고시 합격이라는 부담감이 있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담 등의 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염은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20-33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10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감정노동(${\beta}=0.356$, p<.00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간호전문직관(${\beta}=-0.376$, p<.001), 의사소통능력(${\beta}=0.170$, p=.017) 순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전체 변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해 약 25.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34, p<.001). 그러므로 감정노동 감소, 간호전문직관 및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지각된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 안성아;공정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지방에 소재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Scheffe test,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과 양의 상관관계, 지각된 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 성별,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와 주관적 행복감 향상 등의 요소를 동시에 고려한 복합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김지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85-693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정체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정체감과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 성별이였으며 설명력은 3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불안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nxiet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COVID-19 Situation)

  • 이혜경;최혜원;김민지;김영서;김지선;박다인;이희수;정수현;최윤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01-110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임상실습 불안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에서 11월까지 충남, 충북, 경북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과 4학년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상관관계를 보였다(r=-.151, p=.039).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만족 5.2%(β=-.24,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3.0%(β=-.17, p=.015)의 설명력이 있어 총 8.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관 증진을 위해서는 전공만족을 증가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순연;양정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91-200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도구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체계적 문헌고찰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수행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4편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는 4개였다. 문헌 분석결과 만족도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역할 및 활동, 이상과 가치의 요인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다양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에 국한되어 분석하였기에 향후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하여 다면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장인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49-76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조절력이 조절변수로서 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 19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r=-.40, p<.001), 정서조절력과는 양의 상관관계 (r=.55, p <.001)가 있었다. 그리고 정서조절력은 임상실습 스트레스 (r=-.20, p <.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교수지지,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서조절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정서조절력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 지지체계 구축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조절력 훈련 개발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 Mi-Sook Park;Mi-Jin Yo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05-11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C지역에 소재한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3일부터 30일까지 완벽주의 척도(APS-R), 셀프리더십 척도(SLQ-R), 사회적 지지 척도(SSS),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CPSS-R)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r=.51, p<.0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셀프리더십(r=-.11, p<.001)과 사회적 지지(r=-.44, p<.001)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부적응적 완벽주의(β=.45, p<.001), 사회적 지지(β= -.27, p<.001), 전공만족도(β=-.21, p=.002), 타 지역 임상실습 횟수(β=-.19, p=.003)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3%였다(F=28.63, p<.001). 이상의 연구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심리적 특성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 고려가 중요하다고 본다.

간호대학생들의 내·외통제소재, 정서조절곤란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 최연숙;이은주;이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40-55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외통제성 정서조절곤란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협조를 수락한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설계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와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내 외통제소재과 정서조절곤란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영향요인은 정서조절곤란, 실습만족도, 학년, 종교, 내 외통제소재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은 17%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내적 통제 전략을 통해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방안의 모색 및 임상 적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표현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tress with Clinical Dental Practice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전주연;이현옥;김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xpression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related to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ir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what affected their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5 dental hygiene students in W colleg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8 through 30, 2006.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0.0 program,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1. When a factor analysis was made to evaluate the self-expression of the students, there appeared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self-expression: voice/content, facial expression/attitude and sentiment. The three made a 58.1% prediction of their self-expression. As for overall reliability, they turned out highly reliable(Cronbach'a = .881). 2.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3.58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n self-expression, which indicated that they expressed themselves relatively well.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expression level, those who were inactive during clinical practice got a mean of 3.28, whereas the others who were active got a mean of 3.85. It implied that those who took a more active attitude to clinical practice expressed themselves better(p < .01). The person with whom they found it hard to get alo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elf-expression(p < .05). The students who didn't fare well with dental hygienists got the best score(3.70). The second best group(3.53) didn't get along with dentists, followed by assistant nurses(3.46) and patients/caregivers(3.31). As for the impact of the field of dream job, the students who hoped to work or study overseas(4.21) excelled in self-expression those who wanted to be hired in a general hospital, to go onto a school of higher grade and to work in a public dental clinic(p < .05).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level with major, health status and motivation of choosing dental hygiene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self-expression. 3. Regarding relations between self-expression level and stress about clinical practice, those who didn't express themselves properly in terms of sentiment scored higher in stress level(3.65). Their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lf-expression level (p < .05). 4. As for the influence of self-express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stress with clinical practice, sentiment was selected from among the self-expression categories as a decisive factor to affect stress. Their stress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ith that(p < .05). In contrast, their demographic variable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which made a 79.2% prediction of 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