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grandi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lavanone Glycosides in the Fruit of Citrus paradisi and C. grandis by HPLC-PDA

  • Piao, Xiang-Lan;Wu, Qian;Han, Saem;Kim, Hyun-Young;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337-341
    • /
    • 2011
  • An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DA (photodiode array) detection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determination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the fruit of Citrus paradisi and C. grandis. The flavonoids were separated in less than 20 min using an YMC RP 18 column with isocratic elution using acetonitrile and water (23 : 77, v/v) at a flow rate of 1 ml/min, and a PDA detector. The level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were 1345.92, 950.62, and 2078.82 ${\mu}g/g$, respectively, in the peel, and 102.43, 59.13, and 86.68 ${\mu}g/g$, respectively, in the flesh of C. paradisi. In C. grandis, the level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were 3530.56, 80.00, and 5.26 ${\mu}g/g$, respectively, in the peel, and 59.59, 7.43, and 38.41 ${\mu}g/g$, respectively, in the flesh. The total content was highest in the peel, reaching 0.44% and 0.36% in C. paradisi and C. grandis, respectively, while the flesh contained only 0.025% and 0.011%, respectively. Therefore, the peels of C. paradisi and C. grandis are necessary for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s Produced in Jeju Island

  • Lim, Hee-Kyoung;Yoo, Eun-Sook;Moon, Jeong-Yong;Jeon, You-Jin;Cho, So-Mi 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12-316
    • /
    • 2006
  • Crude extract of young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samples, including 4 Citrus species and various solvent-extracted-fractions of young dangyuja fruit, the water-extracted fraction (WF) and butanol-extracted fraction (BF) showed the great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F and BF were further examin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y three different in vitro assays. The cell viability test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showed that both fractions significantly reduced $H_2O_2$-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dose-dependently. Generation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lso reduced in cells pretreated with both fractions. In addition, BF showed a higher level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capacity than WF in $H_2O_2$-treated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dangyuja fruit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 Kim, Yun-Jung;Cho, Moon-Jae;Kim Cho, So-M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86-1091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were evaluat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was obtain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EF) (202.1$\pm$0.8 mg GAE/g dried extract) and it exhibited the highe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EF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cell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mechanisms. 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EF prior to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lipid peroxidation, an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tudies on EF resulted in tentative identification of 19 compounds representing 94.3% of the total cont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F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dangyuja leaves have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products.

RAW 264.7 및 HaCaT Cell에서 당유자 미숙과의 염증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Unripe Fruit of Citrus grandis Osbeck in RAW 264.7 and HaCaT Cells)

  • 이혜자;강경진;윤원종;강희경;김영석;김소미;유은숙
    • 생약학회지
    • /
    • 제37권2호통권145호
    • /
    • pp.74-8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unripe fruit of Citrus grandis Osbeck growing at Jeju Islan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ir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arkers (IL-6, iNOS, COX, TARC and MDC) in RAW264.7 murine macrophage cells and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s. Among the sequential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crude extract, hexane and chloroform $(CHCI_3)$ fractions showed potential inhibitory activity on the mRNA expressions of IL-6, iNOS and COX-2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RAW264.7 cells. Also, EtOAc fraction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the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and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in HaCa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nripe fruit of C. grandis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markers (IL-6, iNOS, COX, TARC and MDC).

온주밀감 및 당유자 진피 효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Dried Citrus unshiu and Citrus grandis Peels)

  • 현재석;강성명;마힌다;고원준;양태석;오명철;오창경;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25
    • /
    • 2010
  • 온주밀감 및 당유자 진피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viscozyme 추출물과 단백질분해효소인 kojizyme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당유자의 효소 추출물들이 온주밀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ultaflo와 단백질분해효소인 alcalase 및 flavourzyme에서 높았으며, 온주밀감 추출물들이 당 유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ultaflo와 단백질분해효소인 alcalase 및 물 추출물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온주밀감에 비하여 당유자의 효소 추출물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탄수화물분해효소인 viscozyme과 단백질분해효소인 kojizyme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viscozyme 추출물은 86%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였으나, 2.0 mg/mL에서는 온주밀감 진피의 kojizyme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91%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모든 효소 추출물들은 0.5 mg/mL 이상에서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모든 효소 추출물들은 다른 활성산소종들의 활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제주산 감귤류의 품종 및 수확시기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us Fruits According to the Harvest Date and Variety)

  • 송은영;최영훈;강경희;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16-421
    • /
    • 1997
  • 제주산 감귤류 6개 품종에 대한 수확시기별 성분분석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궁천조생, 하귤, 스타치의 경우 과형지수가 $1.14{\sim}1.38$으로 타원형 형태였고 당유자, 지각, 병귤은 과형지수가 $0.89{\sim}1.03$로 거의 구형이였다. 과중은 당유자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하귤, 지각, 궁천조생, 병귤, 스타치 순이었다. 과육율은 궁천조생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병귤, 하귤, 스타치, 당유자, 지각 순이었다. 과육율은 궁천조생이 가장 많았고 스타치, 병귤, 하귤, 당유자, 지각 순이었다.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가용성고형물의 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당산비도 증가되는 양상이었고, 특히 궁천조생, 병귤은 완숙기 때 다른 품종에 비해 각각 10.39, 7.67로 높게 나타내었다. 산 함량은 하귤, 지각, 당유자, 스타치 품종의 경우 9월 하순에서 1월 중순까지 $3{\sim}5%$ 이상 높게 유지되어 감귤식초와 같은 향미식품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Vitamin C는 스타치에서 77.48 mg/100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시기별 유의성은 없었다. 품종별 과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 a, b값은 성숙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1월 하순까지 하귤, 당유자의 과피에서 a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이 시기까지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궁천조생, 스타치, 병귤인 경우 완전 착색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Yang, Eun-Jin;Lee, Hye-Ja;Kang, Gyeoung-Jin;Park, Sun-Soon;Yoon, Weon-Jong;Kang, Hee-Kyoung;Cho, So-Mi Kim;Yoo, Eun-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063-1070
    • /
    • 2009
  •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is a native plant growing only on Jeju Island in Korea.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effect of dangyuja leaves on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was investig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we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mu}g/mL$) to induc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arkers [interleukin (IL)-6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he crude extract (80% MeOH Ex.) and solvent fractions (hexane, $CHCl_3$, EtOAc, BuOH, and $H_2O$ Ex.) were obtained from dangyuja leaves.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the nitric oxide (NO) and IL-6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mRNA expression and protein levels of iNOS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LPS-induced nuclear factor (NF)-${\kappa}B$ activation an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ERK, JNK, and p38).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ngyuja leaves may inhibit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arkers by blocking NF-${\kappa}B$ and MAPKs signaling in RAW 264.7 cells.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 현재석;강성명;한상원;강민철;오명철;오창경;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10-1316
    • /
    • 2009
  • 당유자 과피를 식품미생물인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발효 전과 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LC/MS를 통한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발효 후 추출물에서 neo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hesperidin과 일부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3',4',5',5,7-pentamethoxyflavone은 발효 후에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 unknown 화합물들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LC/M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모를 통한 발효과정 중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형태로 전환되었으며, 이렇게 전환되어진 성분들을 함유한 FCGP는 CGP보다 DPPH, hydroxyl, alky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효모를 이용하여 당유자 과피를 발효시킴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향후 당유자 과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검정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Citrus grandis Osbeck pericarp)

  • 고현민;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79-286
    • /
    • 2018
  • 당유자 과피는 차, 한약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다양하게 제품화 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유자 과피의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식품보존제 등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정량 분석과 항산화 활성, 효소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을 탐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FRAP과 ORAC 실험결과 또한 총 페놀함량과 비례하여 가장 우수한 활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TEAC 값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 활성은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다음의 결과를 바탕으로 천연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의약품 및 식품보존제의 소재로는 헥산 분획물을 활용하는 것이 각 제품 개발에 있어 가장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에탄올 농도별 당유자 잎의 최적추출조건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for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and investig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s extracted by alternative ethanol concentrations)

  • 나카무라 마사야;라종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5
    • /
    • 2019
  • 제주도 특산물로 알려진 당유자의 잎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용매 농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된 당유자 잎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 에탄올, 물 추출물이 가장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율을 보인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페놀 함량이 나타나 수율에 비하여 많은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환원력과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 ${\alpha}$-glucosidase, ${\text\tiny{L}}$-tyrosine을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ext\tiny{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뛰어난 활성을 촉진시켰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능력이 60%, 80% 에탄올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를 얻고자 할때는 물이나 80% 에탄올로, 그 외 생리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당유자 잎을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