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trullus lanatu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5초

Evaluation of Watermelon Germplasm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 Kim, Min-Jeong;Shim, Chang-Ki;Kim, Yong-Ki;Jee, Hyeong-Jin;Hong, Sung-Jun;Park, Jong-Ho;Han, Eun-J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ytophthora rot resistance of 514 accessions of watermelon germplasm, Citrullus lanatus var lanatus. About 46% of the 514 accessions tested were collections from Uzbekistan, Turkey, China, U.S.A., and Ukraine. Phytophthora capsici was inoculated to 45-day-old watermelon seedlings by drenching with 5 ml of sporangial suspension ($10^6$ sporangia/ml). At 7 days after inoculation, 21 accessions showed no disease symptoms while 291 accessions of susceptible watermelon germplasm showed more than 60.1% disease severity. A total of 510 accessions of watermelon germplasm showed significant disease symptoms and were rated as susceptible to highly susceptible 35 days after inoculation. The highly susceptible watermelon germplasm exhibited white fungal hyphae on the lesion or damping off with water-soaked and browning symptoms. One accession (IT032840) showed moderate resistance and two accessions (IT185446 and IT187904) were resistant to P. capsici. Results suggest that these two resistant germplasm can be used as a rootstock and as a source of resistance in breeding resistant watermelon varieties against Phytophthora.

수박 덩굴 추출물 유래 미백 및 항염 활성 성분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Vines)

  • 전아림;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박 덩굴(잎 및 줄기)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 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수박 덩굴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활성측정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치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alpha}-linolenic$ acid (1), sigmast-7-en-O-${\beta}$-D-glucopyranoside (2), 1-feruloyl-${\beta}$-D-glucopyranoside (3).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미백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과 3에서 멜라닌 생성 및 세포 내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과 3이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박 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미백 및 항염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Fruit Rot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53
    • /
    • 2009
  • 2007년 5월 상순 진주시 초전동 비닐하우스 수박 재배 포장에서 수박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정은 과실 아랫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면서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모양으로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sim}3\;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로서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수박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Uniformity in Triploi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and Nakai)

  • Phat, Phanna;Sheikh, Sameena;Lim, Jeong Hyeon;Kim, Tae Bok;Seong, Mun Ho;Chon, Hyong Gwon;Shin, Yong Kyu;Song, Young Ju;Noh, Jaej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32-940
    • /
    • 2015
  • One of the main factors restricting production of triploid seedless watermelon is poor germination due to weak embryos, thick seed coats, and larger air spac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iming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emicals, including hydrogen peroxide ($H_2O_2$), fusicoccin, and gibberellic acid (GA)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of triploi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ree commercial triploid cultivars, Seedless Plus, Sinus, and Sizero, were pretreated with water and different levels of $H_2O_2$ (2 and 4%), fusicoccin (FC: 1, 5, and $10{\mu}M$), and GA (1, 5, and $10{\mu}M$). The present findings helped to find optimal priming conditions for improving germination of triploid watermelon. Treatment with $5{\mu}M$ GA and hydropriming helped to break seed dormancy, enhancing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in all triploid cultivars and increasing the germination index in Sizero. These seed-priming treatments could be used on large scal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Moreover, hydropriming provides a simple, effective, and costless method to improv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of Sinus and Sizero varieties.

박과 작물 4종의 핵형분석 (Chromosome Compositions of Four Cultivated Cucurbitaceae Species.)

  • 권지연;박혜미;이성남;최선희;송경아;김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1019-1022
    • /
    • 2008
  • 박과 작물 4종(오이, 수박, 참외, 수세미)에 대한 핵형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염색체 조성은 모두 이배체로 염색체 수와 형태적 특징에 있어서 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오이의 핵형은 2n=14=14m, 수박은 2n=22=22m으로 2번 염색체가 부수체를 지니며, 참외는 2n=24=18m+6sm으로 7번 염색체가 부수체를 지니고 있었다. 수세미는 2n=26=26m으로 1번 염색체가 부수체를 지니고 있었다. 핵형분석 결과 종에 따라 특징적인 염색체 수와 조정을 나타내었으며 종간 게놈 구성의 정보에 따른 박과 작물 육종화 작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FISH Karyotype Analysis of Four Wild Cucurbitaceae Species Using 5S and 45S rDNA Probes and the Emergence of New Polyploids in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 Waminal, Nomar Espinosa;Kim, Hyun H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69-876
    • /
    • 2015
  • Wild relative species of domesticated crops are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improving agronomic traits. Cytogenetic investigations based on chromosome composition provide insight into basic genetic and genomic characteristics of a species that can be exploited in a breeding program. Here, we used FISH analysis to characterize the ploidy level, chromosome constitution, and genomic distribution o f 5S and 4 5S r ibosomal DNA (rDNA) in four wild Cucurbitaceae species, namely, Citrullus lanatus (Thunb.) Mansf. var. citroides L. H. Bailey (2n = 22), Melothria japonica Maxim. (2n = 22), Sicyos angulatus L. (2n = 24), an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2n = 66, 88, 110 cytotypes), collec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All species were diploids, except for T. kirilowii, which included hexa-, octa-, and decaploid cytotypes (2n = 6x = 66, 8x = 88, and 10x = 110). All species have small metaphase chromosomes in the range of $2-5{\mu}m$. The 45S rDNA signals were localized distally compared to the 5S rDNA. C. lanatus var. citroides and M. japonica showed one and two loci of 45S and 5S rDNA, respectively, with co-localization of rDNA signals in one M. japonica chromosome. S. angulatus showed two co-localized signals of 5S and 45S rDNA loci. The hexaploid T. kirilowii cytotype showed five signals each for 45S and 5S rDNA, with three being co-localiz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hexaploid and decaploid cytotypes in T. kirilowii.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future Cucurbitaceae breeding programs.

수박(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 Nakai) 자엽 절편의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Regeneration from the Cotyledon Explants in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 Nakai))

  • 조송미;오상아;최용수;박상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9
    • /
    • 2014
  • 수박에서 과형, 과피, 과육 색이 서로 다른 중소과종인 3가지 계통의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각 계통의 유묘의 자엽절편을 배양하여 캘러스 및 신초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발아된 유묘 자엽의 캘러스 형성은 모든 계통에서 유묘의 자엽 부위 중 기부(proximal)의 끝부분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은 'B02'의 경우 1.0 mg/L BAP와 0.5 mg/L IAA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B05'의 경우 1.0 mg/L BAP 단독 처리구에서, 'D04'의 경우 3.0 mg/L BAP와 0.1 mg/L IAA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계통에 따라 생장조절제의 조건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신초 형성율은 'B02'와 'B05'의 경우 1.0 mg/L BAP와 0.5 ㎎/L IAA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D04'의 경우 1.0 mg/L BAP 단독 처리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분화된 식물체의 길이신장은 MS 기본 배지에 생장조절제로 1 mg/L BAP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이들 식물체의 최적 발근은 'B02' 경우 0.5 mg/L IBA, 'B05' 경우 0.1 mg/L NAA, 'D04' 경우 0.5 mg/L IAA를 첨가된 배지 조건에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