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izen Corp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국내외 민간 방재조직의 특성에 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 김보균;이정혁;채종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7-14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activity on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related suggestions, and development plan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ocumentary survey research method and the technical approach method.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information was derived from detailed scholarly monographs, specialty publications, and previous studies of master doctorate dissertation. Results: Volunteer Fire Department and voluntary crime prevention groups show problems related to budgetary deficits and volunteer deficiency.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laws must be enacted to guarantee interest and support. In addition, the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CAIND) organization requires a dedicated salary system to address the investment of its workforce and the cost of heavy equipment. Moreover, deficiencies were revealed regarding the lack of systems in support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conclusion, several weak points require close at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tudy about the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provide insight into identity materialization and concept establishment.

국내 민간 방재조직의 특성에 관한 고찰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 in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 focusing on CAIND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 김보균;채종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itizen-Corps-Active-In-Disaster (CAIND) according to a new viewpoint based on changes in basic theoretical concept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plan. Methods: A documentary survey was administered, and the study followed the technical approach method. Detailed information on CAIND was taken from scholarly monographs, specialty publications, and previous studies, including master and doctorate dissertations. Results: CAIND may be defined as legal auxiliary organizations composed of local residents who volunteer to prepare for "all kinds of disasters as well as prevention activities" and instill the ideology of "leading service organizations of safety as a form of community involvement," "resident-friendly organizational activities based on autonomous operation," and "performing activities which supplement their demands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and regional conditions." Conclusion: The newly established basic theoretical concept included the concepts of "professionalism and possibilities," "social expandabilit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realization and co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국민안전을 위한 민간 방재조직에 대한 소방관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ire-fighters on Korea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 for Public Safety)

  • 채종식;이시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7-148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재난 대응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지역자율방재단의 전문성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해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전반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율방재단의 새로운 인적 자원 관리제도와 적극적인 홍보 실시 둘째, 재정적인 지원과 보상제도의 개선이 필요 셋째, 지역자율방재단에 도움이 되는 맞춤식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지역자율방재단의 재난피해 완충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Disaster Damage Buffer Effect of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 신희욱;윤홍식;이재준;임진욱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Arc GIS의 Network Analysis로 119안전센터의 재난 대응 권역을 설정해 재난 취약 면적을 계산하고 지역자율방재단의 재난피해 완충효과를 분석했다. 모든 값은 Min-Max Normalization 되어 동일한 Scale로 계산되었다. 지역자율방재단은 재난피해 완충 대책으로써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지속적인 지역자율방재단의 활성화는 주민 참여, 지역특화적 재난 방재 대책 수립에 효과적이다.

  • PDF

한국 재난관리 체계에서 민간 방재조직의 전문성 제고 방안 -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for public safety in Korea: with a focus on CAIND)

  • 채종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3-17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a plan for improving the overall preventive activity of Korean Citizen-Corps-Active-in-Disaster (CAIND). Methods: The study used the documentary survey and the technical approach methods. This way,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was found in scholarly monographs, specialty publications, and master's/doctoral dissertations. It further utilized the statistical yearbooks between 2015 and 2018 from the Korean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Security, and Fire Service,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discover practical problems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Volunteer activities being inherent, related issues were reviewed at the same time to for purposes of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by CAIND. Results: The study provided four majo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quota management system of Korean CAI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hould be supplemented. Seco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of Korean CAIND should be established to satisfy regional conditions. Third, management members' readership competency in operating organizations, including that of the Korean CAIND captain in charge,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the reward system for Korean CAIND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Conclus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AIND.

서양문장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중세 서양문장과 복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ymbolism of Western Heraldry - Focused on Western Heraldry, Dress and its Ornaments of the Middle Ages -)

  • 최영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0-159
    • /
    • 1994
  • Heraldry, which originated from the culture of knights in the 12th century, came to be drawn on shields, and was inherited as a symbol of the family at the end of the 12th century and developed rapidly through the 13th and 14th century. Afterwards heraldry was in great vogue and used in the shields, clothes of men and women, armors, housings and flags. Therefore the citizen class as well as nobles and knights came to possess heraldry. In particular parti-color and impaled coat were accepted in the clothes, and served the dual purpose of status symbol and ornament in the 13th century. It can be said that the appearance of heraldry on the clothes was typical of the Middle Ages. The origin, generally accepted, was that the crusaders wore the surcots, also known as the cyclases, on the armors to prevent the powerful sun of Syria and dust of deserts, and to prevent the armors from rusting due to moisture. As the surcot was made of white linen or white silk till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knight's heraldry came to be put on the surcot in order to identify each corps. According as the coat of mail covering all the body was devised, the same heraldry attached on the shield seemed to appear on the clothes of surcot or jupon(afterwards pourpoint)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in the battlefield and tournament. Heraldry, a system of mark in the 12th century, was used as a symbol of authority of the upper class such as the Royal House, nobles and knights, and may have been mysterious instruments in the Milddle Ages. However, in the modern times of the 20th century heraldry has come to be a kind of symbol marks such as badges and banners symbolizing the hallmark of the goods of enterprises, organizations and groups. Heraldry, existing up to now, of the individuals as well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n be seen as a result of deep-rooted tradition for esthetic appreciation and symbolism for heraldry.

  • PDF

민속축제 활성화에 따른 무형문화재의 변용 -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ransfigu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due to activation of Folk Festival - Gangneung Danoje as the pivot -)

  • 황루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299-312
    • /
    • 2003
  • Gangneung Danoje does not only have the longest history but also is the largest folk festival in Korea. However, during its long history Gangneung Danoje has not always been the way as it is today. As records reveal, since the Chosun dynasty and through Japanese rule, it has gone through numerous variations and registration processes in order to become a national designated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Especially after it has been appointed as a national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Gangneung Danoje has under gone through variety of transformations. First of the few changes is the citizen-lead characteristic. As Gangneung Cultulral Center took charge of Danoje this trait has become prominent. Hereby Chosun dynasty's government lead system has transformed into a civilian lead festival. Second alteration is the enormous scale of expansion and the variations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because of it. Dano event has increased annually from 12 events in 1974 to 58 events by 1999. As the scale of Danoje enlarged the promoters found solutions by providing diversified events in order to satisfy peoples' various aspirations from the festival. However this solution lead to a diversion - from participating festival to a spectating festival. And the last change that occurred is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develop Danoje into an international festival. This is rather a desire from the government than of the people. In 1994, Korea visiting year as an opportunity this consciousness grew active. For instance, the invitation of mass foreign folk performance in 1999 seems to conform to this policy. The intention to make Gangneung Danoje not only to represent Gangneung but also to represent Korea's folk event can be witnessed. As we enter 21st Century this inclination for international festival has strengthened. Gangneung government has shown enthusiasm to find the future of Danoje by inviting external service corps to assess Danoje. The current inclination appears to be increase its value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through UNESCO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and having this as a foundation make Danoje become an international cultural tourist product. The judgment of this will be made after Gangneung International Folklore Festival 2004.

도시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 방향에 대한 시민인식 분석 - 의정부시 사례연구 - (A Study of the Analysis of Citizen's Awareness of the Transforming of a Former Military Site into Urban Park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ity of Euijungbu -)

  • 맹치영;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62-69
    • /
    • 2009
  • 이 연구는 지식정보산업사회의 새로운 도시화의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시 내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 내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타당성과 공원조성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관점에서 이루어진 도시 내 이전 적지에 대한 공원화 해외 사례와 조성방향을 분석을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군부대 이전 적지의 대표적 도시인 의정부를 대상으로 2006년 $6{\sim}7$월에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 도시의 쇠퇴지 및 이전 적지를 공원으로 조성한 사례는 파리의 라빌레트 공원과 토론트의 다운스 뷰 공원, 미국 어바인의 그레이트 공원 등을 들 수 있었다. 둘째, 이들 공원은 이전 적지를 문화, 교육, 상업 등의 용도와 복합화한 대형공원으로 조성하는 특색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의정부시의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1) 공원은 도시생활환경 개선 용도를 우선으로 하되, 도시의 문화적 이미지 개선과 도시의 경제적 활성화를 위한 용도로 활용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매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러한 공원화를 통해 도시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의정부 시민은 이러한 공원이 특히, 문화적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4) 이전 적지가 주거용지와 상업용지 전용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군부대 이전 적지 등 도시에 출현하는 새로운 유형의 토지이용은 경제, 사회, 환경, 심미성 등의 활성화를 제고하는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존의 주거 또는 행정, 상업 등의 단일 용도의 토지이용보다는 공원과 상업, 문화 등 시민선호 용도와의 혼성을 통한 복합화된 공원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난관리 민관협력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of disaster management with public-private partnerships)

  • 유순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1-1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관협력의 중요성이 등장함에 따라 재난관리의 민관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난관리에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식은 재난관리 분야 전문가 15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중요도 기준으로 정리했다. 재난관리 민관협력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체계적 관리 미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단체의 역할확대 및 관리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재난관리 시 민간단체와 적극적인 의사소통 채널 확보로 민간단체가 보유한 재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리와 지자체의 인력지원 등을 위해 민간 전문가 정보를 공유하여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민관협력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방식을 적용했으며 향후 설문지 등을 이용한 다양한 모집단을 확보하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재난관리 민관협력에 대한 정책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아동의 사상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ology Education of Children during the Asian Pacific War)

  • 권희주;성윤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5-232
    • /
    • 2020
  • 본 논문은 중일전쟁 이후, 아동의 사상교육에 이용된 '가미시바이'의 특성을 살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로 재생산된 <초콜릿과 병대>, 그리고 소년비행병을 주제로 한 <창공의 아이> 두 작품을 대상으로 전쟁이 아동의 일상에 스며드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초콜릿과 병대>는 전쟁이라는 비참한 실상을 있는 그대로 비추기보다 아이들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아이들의 초콜릿에 대한 선망을 부각시켜 초콜릿과 병대를 아이들의 꿈으로 등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 "아버지의 뒤를 잇겠다."는 아들의 발언은 아버지의 희생이 일회적 성격이 아닌 다른 희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전황이 격심해지자 1940년 일본은 '육군지원병령'을 제정한다. 이는 15세 이상 17세 미만의 교육생도 '소년비행병'으로 채용, 바로 현역대우를 받게 한 조치이다. 일본교육 가미시바이협회에서 제작한 <창공의 아이>도 야스쿠니에 모셔졌기에 '나'의 아버지는 훌륭하며, '나'도 성장해 '훌륭한 국민'이 된다는 미래를 제시하여 소년비행병으로의 참전을 유도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당시 소년들에게 비행기를 조종한다는 것은 일본의 훌륭한 국민으로서 당연히 가져야할, 또 부여된 꿈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