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Analysis of Citizen's Awareness of the Transforming of a Former Military Site into Urban Park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ity of Euijungbu -

도시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 방향에 대한 시민인식 분석 - 의정부시 사례연구 -

  • Maeng, Chi-Young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Cho, Se-Hwan (Graduate School,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맹치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itizen awareness of the transforming of a former military site in the city into use as an urban park, a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park creation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city of Uijungbu, so-called "representative military city" of Korea, which has over eight US military army corps in CBD and which islocated on the northside of Seoul.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year of 2006, during two months from 1 June till 30 Jul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book review as a theoretical base and a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citizen awaren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reas that have been transformed from a former military site to large urban parks for the promotion of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al value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include Downsview Park(Toronto, Canada), and Great Park(Irvine, CA U.S.A). 2. The citizens of Euijungbu emphasized having casual rest and recreational functions in an urban park, but were also concerned with the promotion of cultural image, activation of the city's economy, etc. 3. The citizens preferred to use the former military site for a park instead of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purposes to introduce cultural facilities and encourage economic activation. 4. All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to use the former military site for encouraging and activating the urban economy, cultural promotion, social reconciliation and aesthetic value by the transforming the site into a large, multi-use park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이 연구는 지식정보산업사회의 새로운 도시화의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시 내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 내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타당성과 공원조성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관점에서 이루어진 도시 내 이전 적지에 대한 공원화 해외 사례와 조성방향을 분석을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군부대 이전 적지의 대표적 도시인 의정부를 대상으로 2006년 $6{\sim}7$월에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 도시의 쇠퇴지 및 이전 적지를 공원으로 조성한 사례는 파리의 라빌레트 공원과 토론트의 다운스 뷰 공원, 미국 어바인의 그레이트 공원 등을 들 수 있었다. 둘째, 이들 공원은 이전 적지를 문화, 교육, 상업 등의 용도와 복합화한 대형공원으로 조성하는 특색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의정부시의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1) 공원은 도시생활환경 개선 용도를 우선으로 하되, 도시의 문화적 이미지 개선과 도시의 경제적 활성화를 위한 용도로 활용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매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러한 공원화를 통해 도시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의정부 시민은 이러한 공원이 특히, 문화적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4) 이전 적지가 주거용지와 상업용지 전용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군부대 이전 적지 등 도시에 출현하는 새로운 유형의 토지이용은 경제, 사회, 환경, 심미성 등의 활성화를 제고하는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존의 주거 또는 행정, 상업 등의 단일 용도의 토지이용보다는 공원과 상업, 문화 등 시민선호 용도와의 혼성을 통한 복합화된 공원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민(2007)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파주. 도서출판 조경
  2. 박세훈(2004)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 21-34
  3. 배정한(2007)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파주. 도서출판 조경
  4. 조세환(2007) 도시재생과 조경정책. 국토.도시개발 및 보전과 조경정책 I. (재)환경조경발전재단
  5. 황재훈, 박천보, 오덕성(2002) 국내 도심재생의 미시적 현상 해석(실태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6. 의정부시 통계연보(2004) 의정부시
  7. 의정부시 내부자료(2005) 의정부시
  8. Waldheim, Charles(2006)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9. Valeur, Henrik ed)(2004) A New Future for Planning. The Architectural Magazine, Copenhagen
  10. Roberts, Peter(2000) The Evolution,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Urban Regeneration Association
  11. http://www.ecola.co.kr/scenery/galleryview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