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e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5초

수확 후 전처리에 의한 고랭지 배추 '춘광' 품종의 저온 저장 중 품질 변화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Highland-Grown Kimchi Cabbage 'Choon Gwang' during Cold Storage after Pretreatments)

  • 배상준;엄향란;김병섭;윤정로;홍세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33-241
    • /
    • 2015
  •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된 배추 '춘광' 품종은 수확 직후 차압식예냉, 통풍식예냉, 예건 처리를 하였고, 전처리 후 각각 처리에 대해 0.02mm HDPE film으로 liner 처리 유무에 따라 분류한 다음 $2^{\circ}C$에 저장을 하면서 품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장 중 무게 손실은 liner 처리구에서 차압예냉이 3%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고, 통풍예냉 또한 4%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다. 그러나 liner 무처리 구에서는 통풍예냉이 10%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고, 차압예냉의 경우 15% 이상으로 가장 많은 손실률을 보였으며, 오히려 대조구가 손실률이 가장 적었다. 가용성고형물의 경우 $2-4^{\circ}brix$ 정도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CIE $L^*$ 값은 50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hue angle 값은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120{\pm}2^{\circ}C$ 사이 녹색의 범위 안에 분포하여 색의 변화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Chroma 값의 경우에도 28-32 사이에 분포하였다. 경도는 22N 정도로 나타났으며, 처리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 평과 결과, 외관과 아삭거림 정도의 경우 차압예냉을 실시한 후 liner를 적용한 배추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저장 6주 경과 후 liner 무처리구에서 외관이 많이 손상되었고, 7주 경과 후 liner 처리구에서 통풍예냉과 예건에서 내부 갈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밀 식이섬유와 분리대두단백의 첨가가 프랑크푸르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iber and Isolated Soy Prote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ankfurter-type Sausages)

  • 김현욱;최지훈;최윤상;한두정;김학연;이미애;심소연;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5-481
    • /
    • 2009
  • 본 연구는 밀 식이섬유(Wheat fiber)와 분리대두단백(Isolated soybean protein)을 첨가한 프랑크푸르터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밀 식이섬유와 분리대두단백의 첨가는 pH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최종제품에 있어 명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2% 밀 식이섬유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가열감량의 감소와 유화안정성의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응집성 및 검성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나타냈다. 관능적 특성에서 2% 밀 식이섬유를 첨가한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풍미, 다즙성, 전체적인 기호도의 향상을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 밀식이섬유는 분리대두단백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우수한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보였으며, 따라서 밀 식이섬유는 분리대두단백의 대체재로서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우지방을 카놀라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해바라기유로 대체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lacing Tallow with Canola, Olive, Corn, and Sunflower Oil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Hamburger Patties)

  • 구본규;김진만;라임정;최지훈;최윤상;한두정;김학연;안광일;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6-474
    • /
    • 2009
  • 본 연구는 햄버거 패티 제조시 우지를 대체한 canola oil, olive oil, corn oil 및 sunflower oil 등의 식물성 유지와 결착 보조제로 egg white powder와 wheat fiber 를 첨가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성유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는 일반적인 우지를 첨가한 패티보다 낮은 칼로리와 가열감량 및 직경감소율을 나타내었고, 물리적 측면 및 관능적 특성에서는 우지를 사용한 패티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우지를 사용한 패티에 비해 낮은 트랜스 지방산 함량과 낮은 포화지방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식물성유를 대체할 때 대두단백, egg white powder 및 wheat fiber를 일정량 혼합하여 첨가한다면,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을 낮추고, 많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웰빙형 햄버거 패티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홀스타인 거세육우의 출하시기에 따른 채끝, 꾸리, 홍두깨육의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지방산조성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triploin, Chuck Tender, Eye of Round Muscles from Holstein Steer Beef Slaughtered at Different Fattening Periods)

  •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강선문;박경미;김영춘;권응기;박범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33-639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iploin (m. longissimus dorsi), chuck tender (m. supraspinatus) and eye of round (m. semitendinosus) of Holstein steer beef produced from different fattening groups (18, 21, 24 mon-old).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riploin (9.14%) and eye of round (4.31%) from 24 mon-old groups when compared to the same cuts (6.53% and 2.63%) from 18 mon-old groups, respectively. Three muscles from 18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Th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k tender (19.39%) and eye of round (21.09%) from 24 mon-old group than 18- and 21 mon-old group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lagen contents among three fattening groups. In meat color, striplo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from 21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IE $L^*$ (41.77), $a^*$ (20.98) and $b^*$ (10.87) values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BS) for three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24 mon-old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oleic acids (C18:1n9) contents of three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were highest (p<0.05) among three groups. Total contents of MUFA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otal contents of PUFA including arachidonic acids (C20:4n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p<0.05).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 요인 (Physical Colorimetric Properties and Psychological Sensibility Factor of Naturally Dyed Fabrics)

  • 이유진;이경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3-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료와 직물종류, 매염유무의 세 가지 조건에 대한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을 측정하고, 심리적 색채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염료의 종류, 직물의 종류, 매염제의 유무에 따른 물리적 색채 특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이용해 천연염색에 대한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천연염색직물에 대한 감성 이미지 맵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적으로 남성적인(masculine)인 이미지에는 무거운, 딱딱한 색채감성을 갖는 치자염색이, 여성스러운(feminine) 이미지에는 밝고 투명하고 부드러우면서 가벼운 색채감성을 갖는 소목과 락, 치자청을 사용한 염색이 적합하다. 내츄럴(natural)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은은한 색채감성의 쑥 염색이 적절하고, 화려한 색채감성의 쪽으로 염색을 한다면 액티브(active)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복합레진과 shade guide의 색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Differences Between Composite Resins and Shade Guides)

  • 김희선;엄정문;강명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107-120
    • /
    • 1996
  • 복합레진은 조작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중합시간이 짧고 법랑질과 상아질에 접착이 가능하며 연마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나타내므로 심미적 수복에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재료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복합레진 kit에는 shade guide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중합된 후의 복합레진 색조를 예상하여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shade guide들은 대개 복합레진이 아닌 plastic으로 제조된 것으로 중합된 복합레진의 실제 색조와는 차이가 생기게 되며 결국 shade guide 자체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상적인 색조선택이 어려워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5종의 복합레진 제품을 선정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서 shade guide와 중합된 복합레진 사이의 색조차이를 측정, 비교 연구하였다. 직경 16mm. 두께 1.6mm의 plastic mold에 5종의 광중합형 복합레진(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을 충전하고 응축기에 넣어 압축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광중합기로 중합시킨 후 mold에서 시편을 제거하여 보관했다가 젖은 sandpaper 상에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다. shade guide는 step부분을 갈아내어 복합레진 시편과 동일한 두께로 만든후 연마하였다. 분광광도계에 shade guide를 넣고 CIE illuminant D65 하에서 spectral reflectance를 측정하고 해당 색조의 복합레진 시편도 통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L^*$, $a^*$, $b^*$값과 ${\Delta}E^*$값을 얻은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Z100의 D3, A3, B2 shade와 Prisma TPH의 B2 shade를 제외한 모든 시편에서 shade guide와 복합레진간에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차(${\Delta}E^*$ > 1.0)가 관찰되었다. 2. 평균적으로 Z100이 가장 적은 색차를 나타내었고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 순으로 색차가 증가하였다. 3. Prisma TPH의 A2 shade. Tetric의 W shade. Silux Plus의 YB, U shade, Herculite XR의 L, LY shade는 ${\Delta}E^*$값이 3.3 이상으로 나타났다. 4.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보다 shade guide가 더 높은 $L^*$값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Herculite XR에서만 복합레진이 더 높은 $L^*$값을 나타냈다. 5. 모든 시편에서 $b^*$ 값은 (+)로 관찰되었고,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의 shade guide는 복합레진에 비해 높은 $b^*$값을 보였다. 6. 모든 시편에서 $a^*$값은 (-)로 관찰되었고. Herculite XR 및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이 shade guide 에 비 해 낮은 $a^*$값을 나타냈다.

  • PDF

오메가-3와 -9 지방산의 혼합 급이가 계육내 오메가-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Omega-3 and -9 Fatty Acid Combination Effects on Broiler Chicks to Produce Chicks with Hig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 신대근;최성호;조영무;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는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인 육계의 생산을 위하여 n-3 지방산과 올리브유를 혼합한 사료[CON(5% 일반지방), FXO(2.5% 아마씨유+ 2.5% 올리브유), FEO(2.45% 아마씨유+ 0.05% EPA + 2.5% 올리브유), FDO(2.45% 아마씨유+ 0.05% DHA + 2.5% 올리브유) 그리고 FHO(2.5% 어유+ 2.5% 올리브유)]를 육계에게 4주 간 급이하였다. 4주간의 사양 후 도계를 통하여 닭의 간, 가슴살 그리고 다리살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간은 간 무게/생체중의 비율, 육색 그리고 지방산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닭 가슴살과 다리살은 지방산 함량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FHO 사료를 급이한 육계의 간은 EPA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DPA와 DHA는 높았다(p<0.05). 가슴 근육은 n-6 지방산인 AA와 DP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FDO 처리구가 이외의 처리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더욱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 EPA와 DHA 함량 역시 높았다. LNA 함량은 FEO와 FD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A 함량 또한 FHO와 유사하였다. FH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은 EPA, DH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AA의 함량과 n-6/n-3 지방산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실험은, n-3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n-6/n-3 비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근섬유 조성에 따라 그 접근법이 달라야 된다는 사실이 조사되었으며, 가슴과 다리 근육 내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 FDO와 FHO 사료의 급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화 황색소를 이용한 모염색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Wool Dyeing with Yellow Dye from Carthamus Tinctorius L.)

  • 신윤숙;손경희;류동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71-1978
    • /
    • 2009
  • 본 연구는 염색 공정의 표준화와 재현성을 확립하기 위해 홍화 황색소의 모섬유에 대한 염색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화 황색소는 물로 추출한 후 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염색 온도 및 시간, 염료 농도, 염액의 pH 등에 따른 염착성과 색상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세탁 및 일광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염착량은 $50^{\circ}C$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90^{\circ}C$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다. 염착은 초기 10분 이내에 빠르게 일어났으며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40~60분 사이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염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이 계속 증가하여 점점 진하고 어두운 노랑색이 되었다. 산성 조건에서 염착이 잘 되었으며 pH 3.0에서 최대염착량을 보였다. 얻은 결과를 근거로 최적 염색 조건은 $90^{\circ}C$, 40분, pH 3.5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적 조건에서 염색한 시료들 간의 색차는 0.53~1.75로서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후매염은 염착성 증진에 효과가 없었으나, 다양한 톤과 농담의 노랑색을 얻을 수 있었다. 세탁(드라이크리닝)견뢰도는 4/5등급으로 좋은 편이었으나 20시간 조사 후 일광견뢰도는 Fe과 Cu매염한 경우 3/4등급으로 색차가 가장 적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매염제가 색상톤을 다양하게 하는 효과는 있었지만, 염착량과 견뢰도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홍화 황색소는 모염색에서 매염제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Meat Color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m. longissimus lumborum from Domestic Fed Hanwoo, Holstein and Imported Angus Steers

  • Oh, Mi-Ra;Park, Beom-Young;Seong, Pil-Nam;Cho, Soohyun;Kang, Keun-Ho;Kim, Jin-Hyung;Jeong, Seok-Geun;Lee, Jun-Soo;Jeong, Daw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6호
    • /
    • pp.455-46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 of domestic steer beef (Hanwoo and Holstein born and raised in Korea) and imported beef (Angus imported from Australia, raised for about 6 months in Korea). A total of twelve steers (4 steers per each breed and quality grade 2) were slaughtered, LL muscles were separated and stored at $4^{\circ}C$ for 7 days. The pH values of Holstein meat were notably higher than those of Hanwoo, and WHC values were similar between Hanwoo and Holstein, but Angus showed some differences. The WHC of the LL muscle from Hanwoo was better than those from Holstein and Angus when stored for fourteen days. The CIE $a^*$, $b^*$, and $h^0$ values of the LL muscle from Hanwo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ngus at day 7 (p<0.05). Oxymyoglobin and metmyoglobin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breeds at days 7 and 14. In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the LL muscle of Hanwo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olstein, whereas the moisture and ash contents tended to be lower than the others. In mineral contents, P and Zn contents in the LL muscle of Holstein were higher than the other breeds, and K contents was higher in Hanwoo and Holstein meat than Angus.

재래종 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품질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강선문;양성운;강창기;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89-98
    • /
    • 2007
  • 본 연구는 재래종 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향기성분 및 패턴을 비롯한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육기간이 모두 6개월인 70kg의 재래흑돼지 5두와 103kg의 개량종 돼지(Landrace×Yorkshire) 5두로부터 발골한 뒷다리육(M. Biceps femoris)을 진공 포장하여 2±0.2℃에 12일 동안 저장하였다. 일반성분을 보면 재래흑돼지육의 수분 함량이 개량종 돼지육 보다 낮았으나(p<0.05),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높았다(p<0.05). pH는 재래흑돼지육이 낮았고(p<0.05), 그에 따라 가열감량은 높았다(p<0.05). 표면육색을 보면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의 a*, b* 값이 개량종 돼지육 보다 높았다(p<0.05). TBARS는 저장 8일부터, 전단력은 저장 8일까지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SPME-GC/MS에 의한 가열육의 향기성분에서 일부 차이를 보였으나,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래흑돼지육은 색깔이 붉고 짙으며, 가열감량이 높았고 조직감도 단단하였다. 또한 기계적으로 향기특성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했지만, 관능검사상 재래흑돼지육이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