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silk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다수성 편친한성(片親限性) 가을누에 품종 (Breeding of)

  • 강필돈;손봉희;이상욱;김미자;정이연;김용순;김영대;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4-57
    • /
    • 2004
  •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된 부흥잠은 새로운 가을누에 품종으로서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종계 원종 잠149와 도입 육성한 무늬 품종이며, 중국종계 원종 잠150은 도입 육성한 강건다수성 한성무늬 누에품종이다. 2. 부흥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49은 조사된 주요 양적형질 중 화용비율, 견층비율 및 견사장에서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고, 중국종계 잠150은 견층비율 및 견 사장에서 GCA가 높게 나타났다. 3. 2003년 추잠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부흥잠이 다수견, 다사량의 특성을 지닌 대성 잠에 비해 전견중이 무거워 고치수량이 6% 증수되었다. 4. 조사성적에서는, 견사장은 1,274 m로 대조대비 지수로 3%가 떨어지나, 섬도가 굵고 견사량이 많아 1만두 생사량이 3.68 kg/만두로 대조 대비 지수로 7%높아 다사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잠종생산능력에 있어서는 일본종계 원종 잠149의 산란수는 525개로 대성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25과 같은 수준이었고 중국종계 원종 잠150의 산란수는 510개로 대성잠의 잠126보다 다소 적었으나 산란성은 우수한 편이었다.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 안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43-270
    • /
    • 2007
  •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식의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Thinking in Terms of East-West Contacts through Spreading Process of Sarmathia-Pattened Scabbard on Tillya-Tepe Site in Afghanistan)

  • 이송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54-73
    • /
    • 2012
  • 최근 북방유목민족인 사르마티아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들이 증가하면서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양상과 그 실체들이 조금씩 규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동서 교역의 활동 양상을 사르마티아식 검집의 확산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르마티아인들의 검은 스키타이나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한 아키나케스(Akinakes)의 계보를 잇는 것이지만 손잡이나 패용 방식에서 손쉽게 칼을 뺄 수 있도록 변화되었다. 즉 양 측면에 달린 4개 돌기에 끈으로 연결한 검집을 허벅지에 부착시키는 패용 구조로 변한 것이다. 사르마티아식 검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시기 알타이 지역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중심지인 남시베리아, 박트리아, 파르티아, 로마로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서 교섭의 요충지인 박트리아지역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4호묘에서 출토된 검집에 관심을 두었다.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한 채 매장되었던 틸랴 테페 4호묘의 묘주는 당시 쿠샨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던 박트리아에서 상당한 위치의 인물로 파악된다. 묘주가 2자루의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하고 있었던 것은 박트리아에 사르마티아의 영향이 상당이 수용된 사실을 의미한다. 사르마티아인들이 동서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산 물자를 실크로드에 공급하였던 이들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사르마티아인들이 활동한 북방 초원 루트에 중국 한대 동경, 메론형 구슬, 수정구슬 등의 장식구슬, 금환연접구슬 등 중국 특히 비단이 생산되었던 남중국의 공예품들이 출토되는 경위에 관심을 가졌다. 모자이크 구슬은 당시 남중국 그리고 사르마티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살펴보았다. 거리적으로 먼 사르마티아와 남중국이 교섭할 수 있었던 중간 매체로는 흉노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하여 흉노의 유적에서 남중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금환연접구슬이 발견되는 점을 참고하였다.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환연접구슬이나 모자이크구슬이 아프카니스탄의 틸랴 테페 유적에는 없는 반면 같은 초원길로 연결되는 사르마티아 유적이나 흉노의 몽골 유적에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남중국과 사르마티아, 흉노와의 연결 루트를 상정하게 한다. 한편 사르마티아인들의 중심연대인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초원루트와 남중국을 잇는 교통로로는 운남에서 미안마를 지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지나 인도 동부로 들어가는 서남실크로드로 판단된다. 1세기 동서교섭의 루트에는 북방 초원 루트, 남해 루트, 오아시스 루트 등 다양한 루트가 존재한다. 이들 루트들은 운반, 집산되는 물자의 특성이나 당시 정치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남중국을 잇는 최단거리의 길인 서남루트가 북방 유목민들인 사르마티아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개척된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熏衣)문화와 향재의 교역 연구 (A Study on Perfuming Clothes and the Incense Trade of East Asia in Goryeo Dynasty)

  • 하수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04-221
    • /
    • 2020
  • 훈의문화는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문화이다. 해양 실크로드의 번영과 향재의 교역은 향 문화를 발달하게 해준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문화의 발달 시기는 교역의 시작시기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훈의(熏衣)는 향을 태운 연기로 향을 입히는 용법이다. 중국은 한대(漢代)부터 합향을 제조하였으며, 훈롱(熏籠)을 사용한 기록이 있어 훈의향을 합향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당대(唐代)에 향료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천금요방』, 『향보』, 『향승』 등에 훈의향의 제조법과 훈의 기술이 나타나고 『계해우형지』와 『제번지』 등의 서적을 통해서도 향료의 교역국과 교역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훈의향의 제조법과 용법이 기록된 문헌과 훈의에 필요한 도구들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향이 소개되었다.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일본과의 향 교역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훈의향이라는 교역품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훈의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재의 교역이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인삼과 함께 사향을 수출하였다. 왕실에서는 송(宋)으로부터 하사받은 향을 사용하였으며, 부인들은 향낭류의 패식향을 선호하였다. 패식향의 선호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훈의의 기록을 찾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패식향의 사용, 향로에 피운 향의 냄새가 간접적으로 의복에 스며드는 방식, 그리고 옷장에 의향을 넣어두는 간접적인 방향을 선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신라를 통해 향을 교역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궁정 소설 『겐지이야기』를 보면 당시 귀족들의 향 문화와 훈의문화, 향 교역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본의 훈롱은 필수 혼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에 따라 실용적인 형태로 발달하고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베트남 남부의 점성국이 훈의를 시행한 사실은 『제번지』에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북부의 교지국이 훈의를 행하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중국과 복식 문화가 같다는 기록과 훈의를 행하였던 국가인 중국과 점성국에 인접하였다는 점, 그리고 향료의 원산지라는 점에서 훈의문화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중·일, 그리고 베트남은 훈의를 시행하는 문화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훈의향의 목적과 발달 시기, 훈의향의 제작, 훈의법, 훈의 도구, 훈의를 하는 사람의 성별 그리고 사용한 향재에서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바탕직물과 채색 분석 (Analysis of the background fabric and coloring of The Paintings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Ceremony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박승원;신용비;박진호;이수진;박운지;이희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9권
    • /
    • pp.1-32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필자미상회혼례도(筆者未詳回婚禮圖)(덕수6375)는 회혼례의 장면을 그린 다섯 폭의 화첩이다. 회혼례는 부부의 혼인 60년을 기념하여 혼례식을 다시 행하며 주변의 축하를 받는 기념행사로, 이 화첩에는 전안례, 교배례, 헌수례, 접빈, 중뢰연의 장면을 기록하였는데 인물과 건축물, 여러 가지 기물 등을 섬세한 필치로 세밀하게 묘사한 회화 자료이다. 제작 기법 연구를 위해 현미경, 적외선, 엑스선 조사와 함께 초분광영상분석이 사용되었다. 비가시영역에 대하여 밑그림 확인, 색상에 따라 사용된 안료와 염료를 구별하고자 하였다. 엑스선형광분석으로 안료의 성분을, 자외선-가시광선분광분석으로 염료의 종류를 판별하였다. 현미경 조사를 통해 확인된 회혼례도에 사용된 직물의 재료는 섬유의 꼬임이 거의 없는 생견사이며 평직으로 제직된 평견직물로 확인되었다. 초분광영상분석과 엑스선형광분석, 자외선-가시광선분광분석으로 백색은 연백, 흑색은 먹으로 확인되었 다. 적색은 주토, 진사, 진사와 연단 혼합, 갈색은 주토 및 유기 염료, 황색은 등황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은 쪽, 석록, 크롬그린과 황화바륨, 청색은 석청, 회청, 쪽으로 확인되었다. 자색은 쪽과 연지충 혼합으로 추정되었고 금색은 금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분광영상에서 보존처리 영역을 식별하여 손상부분과 보존처리부분 등을 구분할 수 있었다.

18세기 로코코 패션에 나타난 시누아즈리[Chinoiserie] (Chinoiserie in the Eighteenth-Century Rococo Fashion)

  • 신주영;김민자
    • 복식
    • /
    • 제56권1호
    • /
    • pp.13-31
    • /
    • 2006
  • This study will explore Rococo chinoiserie not only as a prominent style of the decorative arts in general, but also 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18^{th}$ century fashions in dress. Two premises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e is that the chinoiserie is truly a hybrid, a totally new style resulting from the mixture of various traditional elements from the East and the West, with little regard for the authentic nature of the original styles. The other is that the geographical scope for defining the chinoiserie influence in the Rococo fashion can be expanded beyond its lexical meaning; the style eventually encompassed visual cues from various Eastern cultures including China, India and Turkey. Regardless of the specific origins, the oriental influences for Rococo fash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complete appropriation of structural elements of Eastern clothing, such as pagoda hats, pagoda sleeves, turbans decorated with plumes or fur-trimmed open robes and then combining them with Western dress. These exotic and fancy dress ensembles were worn as masquerades, theatrical costumes or portraits. One extraordinary example is the banyan, a man's dressing gown, which also had a place in everyday life, not just as special costume. Although the banyan became more tailored as time passed, the traditional shape of this Eastern garment was accepted unaltered in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The second type of influence shows in the use of eastern textiles, especially silks, which were made into women's dress. It did not matter to the fashionable lady if her dress was made of the silk produced in China or a European copy of the Chinese original, as long as it satisfied her tast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signs of exotic style from a glance in this type of chinoiserie dresses since it was more ambiguous and conservative adaptation of the oriental influence in Rococo dress styles than the first type. In this study, various oriental influences appearing in $18^{th}$ century Rococo fashions can be defined as part of the chinoiserie style based upon the suggested premises. No matter what the origin of these oriental fashions was, this hybrid of the East and West made one of great impacts on the most frivolous and splendid period of western fashion history.

춘잠기 강건 다수성 한성황견 누에품종 "황보잠" 육성 (Breeding of WhangBoJama Sex-Limited Yellow Silk Silkworm Variety Suitable for Spring Rearing Season)

  • 김기영;성규병;김미자;지상덕;권해용;박광영;손봉희;강필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3-67
    • /
    • 2013
  • 8개 연구기관의 지역적응 시험을 통해 황보잠은 기존 보급 누에품종인 금황잠보다 화용비율이 높은 강건성 품종으로 대조 품종대비 5령 3일 유충 무게가 3%정도 무겁고, 전견중이 무거워 수량성이 높은 다수성 양친한성황견 품종으로 육성하게 되었다. 이 품종의 일본종계 원종 잠317는 1994년에 Y1, 8013의 교잡으로 2011년에 육성기호 Y9411으로 명명하였다. 암수 모두 무늬가 있는 형잠 품종으로 고치모양은 땅콩형이며 암수고치색깔이 다른 한성황견 품종이다. 중국종계 잠318은 1994년에 Y1, 9134 의 교잡으로 2004년에 육성기호 Y9416으로 명명하였다. 암수 모두 무늬가 없는 희잠 품종으로 고치모양은 타원형이며 암수고치색깔이 다른 한성황견 품종이다. 황보잠은 춘잠기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육성적에서 화용 비율이 93.2%, 1만두 수견량이 21.3 kg, 견층중이 54.8 cg으로 대조 품종 금황잠보다 우수하였으며, 또한 실켜기 성적에서 해서율, 생사량이 80%, 4.65kg로 대조 78%, 4.05 kg보다 우수하였다. DNJ(1-Deoxynojirimycin)함량은 황보잠이 대조 금황잠보다 낮았고, 누에 동충하초 생산성에서 감염율은 대조보다 3,9%로 높았고 생체중은 개당 1.32 g으로 대조 1.19 g 보다 무거웠다.

다수성 편친한성(片親限性) 봄누에 품종 "대풍잠" 육성 (Breeding of Daepoongjam, a Sex-limited Larval Marking and High Silk Yielding Silkworm Variety for Spring Rearing Season)

  • 강필돈;이상욱;정이연;김기영;김미자;홍인표;김영대;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7-40
    • /
    • 2006
  •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된 대풍잠은 새로운 봄누에 품종으로서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종계 원종 잠151은 도입 육성한 무늬 품종이며, 중국종계 원종 잠152는 교잡 육성한 강건다수성 한성무늬 누에품종이다. 2. 2005년 춘잠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대풍잠이 다수견, 다사량의 특성을 지닌 금옥 잠에 비해 전견중이 무거워 고치수량이 6% 증수되었다. 3. DNJ 함량은 대조 금옥잠 4.26 mg과 같은 수준인 4.22 mg으로 함량이 우수한 편이었고, 동충하초 생산력 검정에서 동충하초 생체중이 1개당 1.61 g으로 대조 1.41 g 보다 14% 무거워 다수성 특성을 나타냈다. 4. 조사성적에서는, 견사장은 1,536 m로 대조대비 지수로 8%가 떨어지나, 섬도가 굵고 견사량이 많아 1만두 생사량이 5.24 kg/만두로 대조 대비 지수로 4% 높아 다사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잠종생산능력에 있어서는 일본종계 원종 잠151의 나방당 산란수는 564개로 대조와 비슷하였다. 중국종계 원종 잠152의 산란수는 588개로 일반장려품종의 원종에 비해 산란성이 우수하였다.

Ancient Seaports on the Western Coast of India: The Hub of the Maritime Silk Route Network

  • DAYALAN, DURAISWAMY
    • Acta Via Serica
    • /
    • 제3권2호
    • /
    • pp.49-72
    • /
    • 2018
  • The extensive maritime trade network between the Harappan and Mesopotamian civilizations as early as the $3^{rd}$ millennium BCE is a testimony to the long maritime trade history of India. From the dawn of the historical epoch, the maritime trade network of India expanded extensively. The findings of a large number of coins, pottery, amphorae and other materials from Italy and various other European countries, west Asia, China, Korea, Africa, the Arabian Peninsula, Sri Lanka, Southeast Asia and Far-East countries in India, particularly in the coastal regions, are a testimony to the dynamic maritime trade of India with other countries in the early period. Similarly, pottery, sculptures, inscriptions and other materials of Indian origin are also found in those countries. The depiction of different types of ships on the coins, paintings, sculptures, seals and sealing, exhibit the variety of vessels used for navigation and other purposes in the early period. The over 7500 km-long coastline of India is well known for its seaports located at river mouths or outlets to the sea. The Periplus Maris Erythraei, Ptolemy, and Indian literary sources mention many seaports on the western coast of India. Interestingly,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many of these port towns have yielded material evidence exhibiting their dominant role in transoceanic trade and commerce with many countries in the early period. This paper discusses in detail all the major ancient seaports on the western coast of India and their maritime trade activities. At the outset, the paper briefly deals with the Harappan's maritime network, their seaports and the type of ships of that period. Following this, the maritime trade network of India during the historical period with various countries in the east and west, the traces of Indian influence and materials abroad and foreign materials found in India, the products exported from India, the trade winds and navigational devices and the depiction of ships on the coins, paintings, and sculptures of the period are discussed in detail. After briefly highlighting the coastline of India and its favourable nature for safe anchorage of ships and the strategic position of the seaports of western India, an extensive account of the major ancient seaports of western India like Barygaza, Ashtacampra, Gundigar, Kammoni, Khambhat, Bardaxema, Suparaka, Calliena, Semylla, Sanjan, Naura, Tyndis, Muziris, Nelcynda and other seaports, and their maritime trade activities are given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explorations, literature, epigraphy, foreign accounts, and numismatic evidence.

『전경』에 기록된 사명당(四明堂)의 풍수 물형(物形) 연구 (A Study on the Fengshui Shapes of the Four Propitious Sites Record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 신영대
    • 대순사상논총
    • /
    • 제41집
    • /
    • pp.133-178
    • /
    • 2022
  • 본 논문은 『전경』에 기록된 사명당의 물형을 토대로 역대 풍수고서 등에서 말하는 풍수적 명당의 조건인 용, 혈, 사, 수의 이치에 부합하는지를 현장답사와 전통적인 풍수서의 이론을 토대로 전반적인 국세의 부합 여부를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풍수 이론을 토대로 살펴볼 때, 첫번째로 순창 회문산의 오선위기형의 용맥은 단단한 토질과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거미줄처럼 얽히고설켜 전후좌우로 구불구불 꺾이고 끊어질 듯 이어지는 산줄기가 엎드리고 일어나기를 반복하는 변화의 산세를 이루고 있다. 두 번째로 무안 승달산의 호승예불형의 풍수적 특징은 승달산의 정상부에서 뻗어 나간 용맥의 좌우로 골을 형성하며 받쳐주는 지각과 견고하게 산맥을 지탱해주는 요도가 잘 발달 되어 있다. 이는 마치 용이 좌우로 꿈틀거리듯 굴곡의 변화가 높고 낮게 엎드리고 일어나는 용맥의 변화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장성 손룡선녀직금형의 형세는 전반적으로 산과 물이 유정하고 주산과 안산이 단정하며 물이 나가는 수구가 꽉 잠긴 듯하여 기운이 새어나가지 않고, 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서로 다정하여 물줄기가 길게 감싸는 곳이다. 흙과 암반이 뒤섞인 사이로 혈이 맺힌 손룡 일대는 뛰어난 풍수적 대명당의 적지로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태인 배례전의 군신봉조형의 풍수적 특징은 주산과 안산의 주객이 분명하다. 마을 앞을 흐르는 물줄기가 횡수국으로 마을을 감싸며 산수음양의 기운이 합하여 생기를 품은 지기가 살아 숨 쉬는 국세를 이루고 있다. 산줄기인 용맥은 인체의 혈관과 같고 용은 인체의 수족에 비유됨으로 태인 배례전의 군신봉조형은 하늘과 땅이 스스로 이룬 명당대지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