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 An, Bo-yeo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Linked pearls pattern expressed on textiles have no limited scale or shape when manufacturing, so they are free in expression. And from the design, material, and color we can analogize the social culture of that age.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was started from the Sasanian Persia and introduced through the Silk Road, so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ast and the West culture. This study will consider from the 5th century to the 10th century; the mural costume of the West Central Asia, the ancient textiles excavated from the Sinjiang and Qinghai area of China, and the linked pearls pattern which are collected at Shosoin, Japan. And from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clarifying the linked pearls pattern's condition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it's structural variation process. The design of linked pearls pattern delivered to the East through the Silk Road is differed by area. For example, in the Western Pamir Plateau, where the ancient Sogdians mainly lived, the excavated linked pearls pattern's subject were deer or cassowary variated from the West Asian motif. But the ones excavated from Kucha Xingang had Chinese motifs added so they showed Chinese characters or Buddhist Bodhisattva image instead of Helios. Like this, the appearance of new patterns, which were accompanied by structural variations, gradually deviated from the standardized pattern of the Sasanian Persia. And this structural variation process has relations with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method of various patterns of the after ages. The foliated floral Spray, which is placed at the lozenge space of linked pearls' space, had developed into ogival - shaped pattern (Neunghwamun). And the prevalence of geometrical structure pattern after the 10th century and the unfolding method of Tapjamun which is arranging unit pattern in order, are similar to the linked pearl pattern. In brief, linked pearls pattern accompanied by technical improvement let us understand the polished artistic code from its expression, and has importance in showing universal pattern beyond region and culture.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