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background fabric and coloring of The Paintings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Ceremony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바탕직물과 채색 분석

  • Park Seungw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Shin Yongbi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Jinho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Lee Su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Woonji (Curatorial Affairs Division, Daegu National Museum) ;
  • Lee Huisu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Daegu National Museum)
  • 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신용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진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이수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운지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 ;
  • 이희성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23.03.06
  • Accepted : 2023.05.1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e Paintings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Ceremony Created by an Unknown Painter (Deoksu 6375), hou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five-panel painting book depicting scenes from a wedding ceremony. Hoehonrye is a type of repeated wedding ceremony to commemorate a couple's 60th wedding anniversary with congratulations from the community. The paintings of the book record five scenes from the wedding: jeoninrye, a ceremony where the groom brings a wooden wild goose to the bride's house; gyoberye, the groom and the bride bowing to each other; heosurye, pouring liquor to toast to the couple's longevity; jeopbin, offering tea to guests; and a banquet to celebrates the couple's 60th wedding anniversary. The book describes figures, buildings and a variety of items in detail with delicate brushstrokes. The techniques were examined using microscopy, infrared, and X-ray irradiation and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The invisible part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rough sketch and distinguish pigments and dyes used for each color. The components of the pigments were determined by X-ray fluorescence analysis, while the dyes were identified by UV-vis spectrometry. Microscope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fabric used for the paintings was raw silk thread with almost no fiber twist, and plain silk fabric.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UV-vis spectrometry confirmed that the white pigment was white lead and the black was chinese ink. The red pigments were using red clay, cinnabar, and a mixture of cinnabar and minium. Brown was made using red clay and organic dyes, and yellow using gamboge. Green was identified as indigo, malachite, chrome green, barium sulfide, and blue as azurite, smalt, and indigo. The purple dye was estimated as a mixture of indigo and cochineal, and gold parts were used gold powder. Hyperspectral images were distinguished parts damaged and conservation treatment area.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필자미상회혼례도(筆者未詳回婚禮圖)(덕수6375)는 회혼례의 장면을 그린 다섯 폭의 화첩이다. 회혼례는 부부의 혼인 60년을 기념하여 혼례식을 다시 행하며 주변의 축하를 받는 기념행사로, 이 화첩에는 전안례, 교배례, 헌수례, 접빈, 중뢰연의 장면을 기록하였는데 인물과 건축물, 여러 가지 기물 등을 섬세한 필치로 세밀하게 묘사한 회화 자료이다. 제작 기법 연구를 위해 현미경, 적외선, 엑스선 조사와 함께 초분광영상분석이 사용되었다. 비가시영역에 대하여 밑그림 확인, 색상에 따라 사용된 안료와 염료를 구별하고자 하였다. 엑스선형광분석으로 안료의 성분을, 자외선-가시광선분광분석으로 염료의 종류를 판별하였다. 현미경 조사를 통해 확인된 회혼례도에 사용된 직물의 재료는 섬유의 꼬임이 거의 없는 생견사이며 평직으로 제직된 평견직물로 확인되었다. 초분광영상분석과 엑스선형광분석, 자외선-가시광선분광분석으로 백색은 연백, 흑색은 먹으로 확인되었 다. 적색은 주토, 진사, 진사와 연단 혼합, 갈색은 주토 및 유기 염료, 황색은 등황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은 쪽, 석록, 크롬그린과 황화바륨, 청색은 석청, 회청, 쪽으로 확인되었다. 자색은 쪽과 연지충 혼합으로 추정되었고 금색은 금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분광영상에서 보존처리 영역을 식별하여 손상부분과 보존처리부분 등을 구분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대구박물관, 상설전시도록, 그라픽네트, 서울, (2011). 
  2. 장진아, 회혼례도첩의 회화사적 성격과 의미, 회혼례도첩의 문화사적 이해 발표자료집, p8, 국립대구박물관, 대구, (2022). 
  3. 유혜선, 천주현, 박승원, 보존과학에서 바라본 부석사 괘불, 부석사 괘불, p37-45,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07). 
  4. http://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회혼례도첩 유리건판/: 정대영, 고문헌으로 살펴본 회혼례(回婚禮) 기록 연구, 회혼례도첩의 문화사적 이해 발표자료집, p36 재인용, 국립대구박물관, 대구, (2022). 
  5. 천주현, 윤은영, 안지윤, 김효지,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채색기법, 조선시대 궁중행사도II, p185-201,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1). 
  6. Statewide Mapping Advisory Committee, Using Color Infrared (CIR) Imagery, A Guide for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Benefiting from CIR Imagery, Working Group for Orthophotography Planning, (2011). 
  7. 채정민, 유효선, 충남 천안시 출토 16세기 분홍 단령에 사용된 염재 동정, 보존과학회지 31, No3, p300, (2015).
  8. 유혜선, 천주현, 박승원, 보존과학이 새롭게 찾아낸 정보들, 화엄사 괘불, p41-47,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08). 
  9. 박승원, 로프노르[羅布泊] 출토 모자와 인형목장구의 구성과 섬유의 성격,로프노르[羅布泊].누란(樓蘭) 출토품(出土品), p154-163,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6). 
  10. 민길자, 전통옷감, p45, 대원사, 서울, (1997). 
  11. 박승원, 무령왕릉 출토 직물 종류 및 직조 방법 분석을 통한 의미 해석, 백제의 국제성과 무령왕, p106, 백제문화연구소.백제학회, 충남 공주, (2011). 
  12. 민길자, 전통옷감, p75, 대원사, 서울, (1997). 
  13. 박진호, 장연희, 고수린, 평안감사향연도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를 중심으로-, 박물관보존과학 28, p109-136, (2022). 
  14. 윤은영, 김유란, 비파괴 자외-가시 및 형광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적색계 전통 염료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12, p13, (2011). 
  15. 안료분석 표준시편 제작 및 표면 비파괴 데이터 해석기법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결과보고서, p9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