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haracter analysi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2초

중국 출토문헌에 보이는 상한방(傷寒方)의 문자학적 분석 (Philological Analysis of Shanghan Prescriptions from the Chinese Unearthed Documents)

  • 이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29
    • /
    • 2019
  • Objectives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ame 'Shanghan(傷寒)' and its related contents in unearthed documents. "Shanghanlun" as we know it is an edited version by Wangshuhe of the Jin period, as the original text as written by Zhangzhongjing has been unavailable. Recently in China, documents of the Xian Jin and Liang Han periods are being unearthed, allowing us to look at medical texts of previous times that Zhang referenc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hanghan theory based on these medical texts. Methods : Research documents include all unearthed documents that include the name 'Shanghan'. There were a total of 4 written cases, 2 in "Wuweihandaiyijian", and one each in "Dunhuanghanjian" and "Juyanhanjian". Meaning of extracted examples were analyzed in reference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th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existing medical texts such as "Shanghanlun", "Jibeiqianjinyaofang", and "Bencaogangmu" Conclusions : By examining the 4 examples, Bianzhenglunzi and clinical prescription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hanghanlun could be found. There was an 'Eliminating Wind' formula that was used to eliminate Cold pathogen of the exterior which showed remarkable resemblance to that found in "Jibeiqianjinyaofang". There are also formulas that 'Communicate to Disentangle' and 'Disentangle the Stomach' which are used in progressed stages of Shanghan disease, showing that Bianzhenglunzi had already been applied to Shanghan conditions.

국내(國內) 문헌정보(文獻情報) 검색(檢索)을 위한 키워드 자동추출(自動抽出) 시스템 개발(開發) (Automatic Keyword Extraction System for Korean Documents Information Retrieval)

  • 예용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23권1호
    • /
    • pp.39-62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실제의 데이터 분석(分析)을 통하여 60여개의 조사(助詞)와 출현빈도는 높지만 검색(檢率)에 불필요한 320여개의 불용어(不用語)를 선정하여 좌우절단을 적용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조사(助詞)와 불용어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법(方法)을 제시한다. 한글문헌에서 단어(單語)가 추출되면 조사의 효율적인 절단이 이러우지고, 한자어(漢字語)일 경우 한글로 변환되며, 2단계로 불용어제거(不用語除去) 과정을 거쳐 키워드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여기서 추출된 키워드는 정보전문가(情報專門家)에 의해 추출된 색인어(索引語)와는 92.2%의 일치율을 보였다. 그리고 $4{\sim}6$글자로 구성된 복합어(複合語)의 경우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한 분리방법에 의해 약 2배의 새로운 단어(單語)를 추가할 수 있었으며 그 중 58.8%가 키워드로 적합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Aphasics' 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Hangul and Hanja

  • Kim, Heui-Beom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89-293
    • /
    • 1996
  • In Korean, as with Kana and Kanji in Japanese, two kinds of word-writing systems--Hangul (the Korean alphabet) and Hanja (the Chinese character; Kanji in Japanese)--have been and still are being used. Hangul is phonetic while Hanja is ideographic. A phonetic alphabet represents the pronunciation of words, wheras ideographs are where a character of a writing system represents a concept. Aphasics suffer from language disorders following brain damage. The reading and writing of Hangul and Hanja by two Korean Broca's aphasics were analyzed with two goals. The first goal was to confirm the functional autonomy of reading and writing systems in the brain that has been argued by other researchers. The second goal was to reveal what difference the subjects show in reading and writing Hangul and Hanja. As experimental materials, 50 monosyllabic words were chosen in Hangul and Hanja respectively. The 50 word pairs of Hangul and Hanja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also the most familiar monosyllabic words for a group of normal adult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The errors that the aphasic subjects made in performing the experimental materials are analyzed and discussed here. This analysis has confirmed that reading and writing systems are located in different parts in the brain. Furthemore, it seems clear that the two writing systems of Hangul and Hanja have their own respective processes.

  • PDF

제품속성, 브랜드 및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9개 지역의 휴대폰시장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duct Attributes, Brand and Corporate's Image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sion - Focusing on Chinese Cellular Phone Markets in 9 Areas -)

  • 김성철;박의범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367-390
    • /
    • 2008
  • 중국 휴대폰시장 성장은 한국 이동통신 산업에 기회와 위협을 주는 양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수출시장으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중국 휴대폰 산업과의 경합성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이는 기업의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한 소비자 소비성향과 구매의도 파악에 기초한 국제마케팅전략 수립의 현지화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진출을 계획하거나 중국에 이미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서 가설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기업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가설 2'브랜드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가설 3'제품속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조절변수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세 독립변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 성별, 연령이 기각되었고 학력이 부분채택 되었으며 기타 연구가설이 모두 채택된다. 실증분석에서 사용된 소비자에 대한 측정항목을 중심으로 실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한·중 소비자의 할인점 점포선택행동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ount Store Selection Behavior between the Korean and the Chinese Consumers')

  • 김원겸;범경기;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41-56
    • /
    • 2007
  • 최근 국내 할인점시장이 포화상태에 근접하고 있다는 인식과 할인점간 경쟁이 심화 되면서 중국 등 주변 국가들로의 출점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점포선택속성 및 요인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를 야기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한·중양국의 할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인점선택 시 주요 속성인 환경, 입지, 가격, 상품, 판촉, 인적 서비스 등 6개 요인에 대한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할인점 이용에 있어서 한국인과 중국인의 할인점선택속성 6개의 요인 중 할인점의 입지 및 할인점의 가격에 대하여 한국인과 중국인 두 집단 간의 선택속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4개의 속성요인은 대부분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중국시장 진출시 공통적으로 적용해야할 요인과, 국가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야할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고마자와대학과 호사문고에 소장된 『대명률직해』 고판본에 대하여 (On the Old Prints of Daemyeongryul-Jikhae(大明律直解) possessed at Komazawa University and Hosa Library(蓬左文庫))

  • 장경준
    • 한국어학
    • /
    • 제64권
    • /
    • pp.117-16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oodblock prints possessed at Komazawa University and Hosa Library which are most precedent versions among a number of different versions of Daemyeongryul- Jikhae. This study has determined that both of two prints are same version printed by identical woodblock and the print of Hosa Library out of them was the fine version printed at an earlier stage. Moreover, this study has compared the print of Hosa Library with that of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in Korea University, thus the distinction has been classified into 4 types and described in detail. From the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ts of Hosa Library and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this study has extrapolated the versions of Daemyeongryul-Jikhae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int of Daemyeongryul-Jikhae in Hosa Library demonstrates revision of legal articles and literal translation of the articles and thus, it is valuable literature that provides a basis for revising error in later versions including the print in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Since various simplified forms and variants of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the print of Hosa Library, it is useful literature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 culture which was prevalent in local at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중국 애니메이션과 모범극의 상관관계 연구 -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학 원칙을 중심으로 (Chinese relationship between animation and best pole - Focused on the aesthetic principles of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 공덕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215-231
    • /
    • 2015
  •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문화대혁명은 초기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저해하고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의 성장이 저조해지는 데 원인을 제공한 계기로서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 시기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분석되거나 연구되는 일이 거의 없이 일률적으로 평가절하되었다. 그러나 모든 문화예술의 창작은 특정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발전하며 그 나름의 미학적 성과를 지닌다. 본고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문화예술 창작을 주도했던 미학 원칙들을 고찰하고 해당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이 거둔 성과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문화대혁명은 무산계급의 문화를 부각시킨다는 마오쩌둥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이전 시기까지의 문화예술을 지양하고 새로운 계급 문화를 창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문화예술 창작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용하는 미학 원칙과 어긋나는 부분이 많으며 비문자적이고 반엘리트적인 특성을 지닌다. 모범극은 문화대혁명 시기 문화예술의 미학 원칙을 모범적으로 구현한 창작물로 손꼽히며 문화대혁명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이 지향했던 미학 원칙들을 이해하는 데 참조가 된다. 본고는 삼돌출(三突出), 홍광량(紅光亮), 고대전(高大全)이라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학 원칙이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문화대혁명 시기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미학 원칙을 어떻게 수용하고 나름의 방식으로 적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범극과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 애니메이션의 상관관계에 대해 비교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모범극과 중국 애니메이션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문화대혁명 시기의 미학 원칙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한 뒤, 분석 내용에 따라 이러한 미학 원칙이 중국 애니메이션의 창작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 비교 고찰 과정에서는 크게 캐릭터와 장면 연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캐릭터의 측면에서 문화대혁명 시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은 어린 소년, 소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바람직한 공농병(工農兵) 형상을 부각시키기 위해 붉은 입술과 홍조를 띤 뺨을 강조해 건강함을 강조하고, 매끈한 질감과 정교한 터치로 반짝이는 느낌을 강조하며, 깔끔하고 선명한 색채로 빛나는 색감을 강조하는 '홍광량'의 원칙을 구현하는 데 치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면 연출의 측면에서 문화대혁명 시기의 애니메이션은 소수의 안타고니스트에 비해 다수의 프로타고니스트를 강조하고, 다수의 프로타고니스트 가운데서도 뛰어난 영웅 인물들을 강조하며, 또 뛰어난 영웅 인물들 가운데서도 주요한 영웅 인물을 강조하는 '삼돌출'의 단계별 연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영웅 인물은 일반적으로 로우앵글로 찍음으로써 높고 크고 완벽한 모습으로 연출해 '고대전'의 미학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고자 하였다.

중국 6세대 감독의 기억에 관한 역사적 재현 영상콘텐츠 연구 (Visual Contents Study of Historic Re-create about Memory of China 6th Generation Director)

  • 한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5-164
    • /
    • 2010
  • 본 논문은 중국영화 6세대 감독의 삶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역사적 시대를 살펴보고, 역사의 고민과 상처들이 영화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기억되고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들은 기존세대와 다른,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담아내려고 노력했으며, 역사의 시대적 의미를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 할지 함께 드러난다. 그것은 중국영화 6세대 작품에서 기억의 은유화를 통해 시대의 상처를 담아내었고, 희망과 절망 사이에 기억이 은폐되면서 꿈을 잃은 생존의 현실을 담아내었으며,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일상의 자아를 보여 주었으며, 변할 수 없는 세상의 시선과 기억에 대항하고 있다. 6세대 작품속에 투영된 욕망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려는 과정에서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 전통성을 지켜 나가려는 모습, 변해가는 현실, 이 세 가지 사이에 갈등하며 꿈을 펼치지 못하고 순순히 현실을 받아들이는 수동적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6세대 감독들은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억압은 가족의 억압, 가족의 억압은 한 개인의 억압으로 이어지고, 억압이 욕망으로 바뀌면서 반작용에 의한 삶이 지속되기도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개인의 욕망이 실현되지 못하지만 판타지로 대신하면서, 슬픔을 극복하고 현실을 담담하게 이겨내는 모습들로 드러난다. 이런 아련한 정서를 통해 6세대 감독이 기억하는 중국인들의 얼굴로 그려낸다.

서거정의 '대구십영'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A Geographical Study on 'Daegusibyeong(大丘十詠)' written by Seo, geojeong)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97-5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거정의 '대구십영'에 대한 한시 해석과 고문헌 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해 대구십영지의 장소 고증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여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그동안 논란이 있어 왔던 대구십영지에 대해 고문헌 및 현장답사를 통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고증하였다. 2) 제7영의 '동사심승' 중 잘못 사용된 한 개의 한자어를 찾아냄으로써 기존의 잘못된 해석을 바로 잡을 수 있었다. 3) "동국여지승람"을 토대로 발간된 "사가집"에 게재된 '대구십영'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이나 "대구읍지"에 게재된 '대구십영' 보다 시제와 내용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대구십영'과 관련하여 시제와 시어가 고문헌별로 약간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를 바로잡았다. 5)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구십영지'를 복원하고, 활용 측면에서는 기존의 대구시티투어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면 대구시의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연상을 통한 과학용어의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Terms by Associative Method)

  • 오대섭;이선행;이임숙;김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2
    • /
    • 1990
  • Correct comprehension of the scientific terms is the bottom of understanding the general concepts contained is them. Therefore a study is required to analyze whether the students correctly understand the scientific terms. The associativ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comprehensibility of the terms. The scientific terms in this study are selected in the textbook of science in the junior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frequency of the same associative word responsed and the frequency of no response from the selected students for given scientific terms were measured for 9 different groups. The terms which are not used in the daily life, especially for the terms with chinese character or abstract terms turn out to be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It is purposed that the instructor should remember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term and carefully explain them to the science cl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