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정의 '대구십영'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A Geographical Study on 'Daegusibyeong(大丘十詠)' written by Seo, geojeong

  • 전영권 (대구가톨릭 대학교 지리교육과)
  • Jeon, Young-Gw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투고 : 2010.08.03
  • 심사 : 2010.09.10
  • 발행 : 2010.10.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거정의 '대구십영'에 대한 한시 해석과 고문헌 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해 대구십영지의 장소 고증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여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그동안 논란이 있어 왔던 대구십영지에 대해 고문헌 및 현장답사를 통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고증하였다. 2) 제7영의 '동사심승' 중 잘못 사용된 한 개의 한자어를 찾아냄으로써 기존의 잘못된 해석을 바로 잡을 수 있었다. 3) "동국여지승람"을 토대로 발간된 "사가집"에 게재된 '대구십영'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이나 "대구읍지"에 게재된 '대구십영' 보다 시제와 내용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대구십영'과 관련하여 시제와 시어가 고문헌별로 약간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를 바로잡았다. 5)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구십영지'를 복원하고, 활용 측면에서는 기존의 대구시티투어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면 대구시의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places of the 'Daegusibyeong(大丘十詠)', written by Seo, Geojeong based on Chinese poem, old documents, and field surveys in terms of a geographical perspective. It is asserted that the controversial aspects on the 'Daegusibyeong(大丘十詠)' are corr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old documents and field surve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1) Ascertain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vidence on places of 'Daegusibyeong(大丘十詠)' are accomplished properly based on old documents and field surveys. 2) The existing misinterpretation of the 'Daegusibyeong(大丘十詠)' are corrected by the finding of one Chinese character in the 'Dongsasimseung(桐寺尋僧)', the seventh poem of 'Daegusibyeong(大丘十詠)' consisted of 10 Chinese poems. 3) Subjects and content of the 'Daegusibyeong(大丘十詠)' in Sagajib(四佳集) are more rightly written than those of the old documents such as Daegueubji(大丘邑誌),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4) A few mistakes in the subject and word of the 'Daegusibyeong (大丘十詠)' are corrected as compared with the those of the old documents. 5) It is assumed that the brand value and image of Daegu city will be improved if the 'Daegusibyeong(大丘十詠)' is resto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ts restoration is utilized in Daegu city tour program.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