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검색결과 1,148건 처리시간 0.032초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Ha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Triglyceride Accumulated HepG2 Cells)

  • 차재영;김대진;김석환;김영길;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6-590
    • /
    • 2003
  • 사람 간 배양세포 유래 HePG2 세포에 영양성분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중성지질을 축적시킨 상태에서 한방 황련해독탕(HT)의 약리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간세포는 1 mM oleate, 0.2% BSA, glucose 4.5 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시간 및 24시간 배양하였으며(실험 I), 이때 황련해독탕을 첨가한 배양액에는 [$^{14}$ C]-oleate (0.5 $\mu$Ci/mL medium)를 동시에 첨가하여 중성지질 획분에의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하였다. 또한, 간세포에 2 mM oleate, 0.5% BSA, glucose 4.2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 24및 48시간 배양(실험 II) 또는 1 및 3시간 배양(실험 III)하였다. 실험 I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농도는 HT첨가 6 및 24시간 배양에서 약물농도첨가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때 HT첨가시 [$^{14}$ C]-oleate 동위원소는 세포내 중성지질 획분의 추적량과 세포외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I조건에 비해 고농도의 영양성분을 첨가시킨 실험 II 및 III 조건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확인되었으며, 이 때 HT 첨가 24 및 48시간 배양에서는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 사용된 한방 황련해독탕은 사람 간배 양 HePG2 세포내 중성 지질 합성을 저하시켜 중성지질 축적을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개선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Honokiol에 의한 토끼의 무릎 연골세포에서 PI-3K/AKT pathway를 통하여 nitric oxid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의 억제 (Honokiol Inhibits Nitric Oxide-Induced Apoptosis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via PI-3K/AKT Pathway)

  • 이원길;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43-1450
    • /
    • 2010
  • Honokiol은 작은 분자량을 갖는 중국의 약초인 'Magnolia officinalis'에서 추출한 리간드로서 중국과 일본에서 전통 의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이전 연구에서는 honokiol이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anti-angiogenic, anti-invasiv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Nitric oxide donor인 sodium nitroprusside (SNP)에 의해서 토끼 무릎관절연골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 연골세포에서 NO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이 honokiol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세포형태, MTT assay, Western blot analysis 그리고 FACS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onokiol은 SNP에 의해 유도되는 p53의 발현 및 pro-caspase-3의 활성 저해,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였다. Honokiol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는 PI-3K의 특정 저해제인 LY294002를 SNP와 honokiol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onokiol이 PI-3K/AKT pathway를 통하여 NO가 유도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주국립공원 내 야생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집단의 유전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wild populations of Paeonia lactiflora Pall.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원효식;임창건;최선아;김미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5-251
    • /
    • 2013
  • 작약은 원예 및 전통한약으로 중요한 자연자원이다. 경주국립공원 일대에서 발견된 야생 작약 집단에 대한 보전 및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활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과 중국 연변 1개 집단 등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로부터 61개의 대립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평균 이형접합성($H_o$)은 0.452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유전적 분화는 $F_{ST}$=0.116로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층적 AMOVA 분석 결과 유전적 변이가 집단 간보다는 집단 내 개체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_{ST}$값 대신 대립유전자의 크기를 고려한 $R_{ST}$ 값을 사용한 AMOVA 분석 결과에서는 중국 집단과 국내 집단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STRUCTURE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한편,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 사이에는 지속적인 유전자 흐름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작은 집단 크기와 성숙한 개체가 적은 것으로 볼 때, 추가적인 보호 및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괄루경엽의 BV2 미세아교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in BV2 Microglial Cells)

  • 리소군;김관우;고원민;김동철;윤치수;유향전;김종수;장규관;강대길;이호섭;오현철;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11
    • /
    • 2016
  • The aerial part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Cucurb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heatstroke.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ree flavones,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1), luteolin-4'-O-${\beta}$-D-glucopyranoside(2), luteolin(3) from its methanolic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luteolin attenuates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Luteolin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BV2 microgli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 effect. Luteolin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COX-2). In addition, luteolin also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heme oxygenase(HO)-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aerial part of T. kirilowii and luteolin may be good candidates to regulat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Aromatherapy Researches in Chinese Literatures

  • Sun, Jiao-Jing;Kim, Ky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39-251
    • /
    • 2021
  • 중국의 전통의학은 자연경험학적으로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켰으나, 19세기 말부터 선진국 중심으로 자연요법에 관심이 커지면서 아로마요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로마요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색하여 증상에 따른 에센셜오일과 신체 적용부위, 사용방법, 사용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중국연구재단 검색엔진인 CNKI(www.cnki.com)과 WANFANG DATE(www.wanfang.com)의 플랫폼에서 방향요법(芳香?法)(아로마요법)과 관련된 2000년~2019년까지의 학술지 및 학회지를 검색 및 선별하였다. 선별된 논문은 5단계 질적평가와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30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Excel 2013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도표로 나타내었다. 아로마요법 동향분석결과 30편 모두 의학계에서 연구한 논문이다. 증상별로는 불안, 초초, 불안적 증상이 13편으로 가장 많았고, 에센셜오일 종류로는 라벤더오일, 버가못 오일이 높았고, 적용부위와 방법은 코를 이용한 흡입법으로 나타났다. 증상에 따른 에센셜오일은 초조증상/우울증/산통/수면장애/편두통/긴장/수술 후/구토증 통증/피로에서 모두 라벤더가 가장 높고, 부정적 감정증상은 오렌지, 메스꺼움은 레몬, 진저, 페파민트 오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 아로마요법이 간호미용 및 의료미용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 적용부위, 사용방법, 사용기간이 도출되었지만, 의료인들이 간단한 적용방법으로 흡입법과 극소적인 마사지가 높았다. 그러나 진통, 산통, 긴장 등은 단기간에 효능을 볼 수 있으나, 정신신경학적인 부분은 기간을 길게 적용한다는 표준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과루인(瓜蔞仁)이 장기간 고용량 corticosteroid 투여 hairless mouse의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of Trichosanthes kirilowii on the Skin Barrier of High Dose Corticosteroid Injected hairless Mouse)

  • 남혜정;김규석;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08
  • Objective : Prolonged use of systemic corticosteroids negatively impacts skin barrier function. Corticosteroids have a major role in the practical management of many diseases, so it is necessary to find the drug or supplement which could keep the skin healthy during the systemic corticosteroids therapy. Seed of Trichossnthcs kiiilowii was commonly used for pulmonary disease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and found that seed of Trichosanthes kirilowii has anti-bacterial, anti-HIV, anti-tumor and immunoregulatory func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 of Trichosmthes kirilowii on the Skin Barrier Method : Triamcinolone 0.4mg was injected male hairless mice for 5 weeks ( 2 times a week, totally 10 times), Just before the first injection, hairless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 normal saline medicated group ), GroupA( seed of Trichosuuhes kirilowii qd/day medicated group ) and GroupB( seed of Trichosuuhes kiiilowii bid/day medicated group ), Body weight of all the groups were checked during the experiment, After $10^{th}$ injection, TEWL (Transeidermal water loss) of 3 groups were artificially increased by 9 times tape stripping and the changes of TEWL were checked at before stripping, right after, 2h, 4h, 6h, 24h, 48 and 72h later after stripping, AST, ALT and CBC were also checked. Indeed, stratum corneum of 3 groups were also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hairless mouse. Results : 1. GroupB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mong three groups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t AST, ALT and CBC among three groups 3. GroupB was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WL than TEWL of Control at 48h later. 4 GroupB recovered it's TEWL of before tape stripping at 24h later, GroupA recovered that at 48h and Control recovered that at 72h later at the same condition 5. Stratum corneum of GroupA and GroupB were looked almost normal and healthy. On the contrary, stratum corneum of Control was looked thin and unhealthy. Conclusions : Seed of Ttichossnthes kirilowii has some effects on skin barrier function, especially TEWL of high dose corticosteroids injected hairless mouse and the efficacy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dosage.

  • PDF

인삼의 한의학적 및 현대임상적 측면에서의 복용량 검토 (Usage and Dosage of Ginseng Radix (panax ginseng C. A. Meyer) Based upon Traditional and Recent Scientific Clinical Applications)

  • 남기열;박종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99-105
    • /
    • 2000
  • 본 논문은 인삼의 한의학적 응용과 현재 각국별 인삼의 복용기준 및 그 동안 수행된 임상실험을 중심으로 인삼의 응용과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인삼분말 기준 복용량은 특별히 처방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한 1회 3~4 g정도 복용하는 것이 보편적 복용량으로 간주되며, 인삼제품도 이에 상당하는 인삼량으로 복용하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서구권의 경우는 인삼을 의약품으로 분류하여 복용량을 하루 1-2정도로 규정하고 있고 임상실험에서 사용된 인삼투여용량은 대부분 1g 이하로 되어 있다 서구에서의 인삼복용량 설정은 그 동안 인삼의 안전성(부작용과 역작용 등)과 관련된 사례보고 등에 근거하여 그 복용기준을 설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동서양간 인삼복용량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동양인과 서구인들 간의 식생활 차이 또는 인종적 차이에 기인한 인삼의 복용 반응의 차이인지에 대해서 추후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아울러 인삼의 투여용량별 효과의 차별성이 있는지, 금후 인삼의 적정 투여용량 설정과 관련하여 인체실험을 통한 활성성분의 체내동태(Pharmacokinetics)와 자생체내 이용효율(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개똥쑥에서 분리(分離)된 artemisinin이 가토(家兎) IgG에 의해 유발(誘發)된 생쥐의 현독성(賢毒性) 혈청사구체현염(血淸絲球體賢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artemisinin on the rabbit IgG accelerated nephrotoxic serum glomerulonephritis in mice)

  • 주전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35-336
    • /
    • 1996
  • Artemisinin, a new antimalarial to treat patients infected with strains of Plasmodium jalciparum, derived from the plant Artemisia annua Linn, has immunopharmacologic actions such as enhence the PHA -induced lymphocyte transformation rate, increased the weight of spleen but reduced the weight of thymus, reduced phagocytic function of peritoneal macrophage, remarkably reduced the level of serum IgG and hemolysin fonning capacity (sentitized with SRBC), inhibited the activity of Ts cells of donor mice by supraoptimal immunuization(SOI), but enhenced activity of Ts cells of recipient mice by SO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s cells may be the target cells of artemisinin. To the serum complement C3 level of plasmodium berghei-infeted mice, artemisinin (i. m,) could remarkly increase it. The artemisinin also obviously reduced the prostaglandin E(PGE) in the mouse hind paw swelling induced by carrageenin.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harmacologic doses of PGE attenuate the development of immunocomplex nephritis. Some autologous immune mechanisms may be invoolved In the pathogensis of some types of glomurulonephritis. Glomerular abnormalities can be induced in animals by variety of immunological manipulations. The resulting disorder has many clinical and pathogical similarities to the disease in human. Our purpose was therefore to test the ability of the artemisinin to lessen the severity of rabbit IgG accelerated nephrotoxic serum glomerulonephritis in mice model. Mice which had treated with rabbit IgG and NTS, administrated with saline, showed Significant inceases of urinary protein, cholesterol level, and decrease of serum albumin in NS group. On the contrary, By i.g. adminstration of artemisinin at dose of 12.5, 25 and 50 mg/kg for 14 days after NTS injection, shown that artemisinin inhibited the nephritic changes in some parameters by means of urinary protein(p<0.05, p<0.01) and serum choleterol(p<0.05, p<0.01) and albumin (p<0.05, p<0.01), blood urea nitrogen (p<0.05, p<0.01), serum albumin(p<0.05, p<0.01); Cyclophosphamide(i.p. 10mg/kg for 14d) had almost same effect as the artemisinin had. Morphological studies shown that The picture of kidney from the mouse with NTS-nephritis accerated with rabbit IgG, treated with i.g. saline as the control, the mesangiocapillary were enlarged and proliferated; There wer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The ethelial cell were proliferated in the wall of Bowman's capsule. Histopatholological picture of kidney from the NTS-nephritis accerated with rabbit IgG mouse treated with i.p. 10mg/kg cyclophosphamide as the positive control. No siginicant histopathological evidence were found. Treaded with i.p. 12.5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mesangiocapillary were lightly proliferated; There wer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Treaded with i.p. 25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the mesangiocapillary were lightly proliferated; Treaded with i.p. 50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both the mesangiocapillary proliferated and th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are less than treated with saline, 12.5 and 25 mg/kg artemisinine.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we conclude that the artemisinin can relieve pathological change caused by NTS-nephritis aacerated with rabbit IgG.

  • PDF

황련해독탕의 항균활성 및 표준화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and Standardization on Hwangryunhaedok-tang)

  • 이대연;이영우;김완수;심선형;권필승;이인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14-220
    • /
    • 2019
  • 황련해독탕은 한방산업에서 염증관련 질환에 다빈도로 사용되는 처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한약인 황련해독탕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 지표성분을 선정하는 것이다. 황련해독탕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과 최소억제농도법을 사용하였다. 사용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Escherichia coli ATCC 23724였으며 대조군으로 oxacillin과 ciprofloxacin을 이용하여 황련해독탕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확산법에서는 S.aureus ATCC 25923에서 황련해독탕 20 mg과 10 mg은 $11.7{\pm}1.3mm$, $8.7{\pm}0.7mm$의 억제환을 형성하였으며 E.coli ATCC 23724에서는 황련해독탕 20 mg이 $8.0{\pm}0.0mm$의 억제환을 형성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S.aureus ATCC 25923가 31.25 mg/mL, E.coli ATCC 23724 에서는 125.0 mg/mL였다. 표준화를 위한 HPLC 정량분석 결과, 황련해독탕은 berberine을 16.55 mg/g 함유하고 있었으며 geniposide를 81.85 mg/g 함유하고 있었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항생제를 개발할 경우에는 내성세균을 억제하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방산업과 더불어 여러 산업에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Supplement of High Protein-Enriched Diet Modulates the Diversity of Gut Microbiota in WT or PD-1H-Depleted Mice

  • Xie, Yajun;Zhao, Ping;Han, Zhigang;Li, Wei;Shi, Dan;Xu, Lei;Yi, Qiy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207-216
    • /
    • 2021
  • Supplement of high-protein fo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symptoms of malnutrition and the immune capacity of the body, but the association of high-protein diet and gut microbiota remained unaddressed. Here,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ternal organs and gut microbiota in C57(WT) or PD-1H-depleted (KO) mice (T cells were activated) fed with pupae or feed for six weeks. We observed that the body weight gain in the mice fed with pupae increased less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feed group, while the villi and small intestine lengths in the pupa group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mice given feed. However, the average body weight of the KO mice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WT mice fed with pupae or feed. Pupa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in WT, but not in KO mice. Moreover, in the feed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eight of the internal organs between the WT and KO mice, but in the pupae-fed group, liver weight was decreased and spleen weight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KO mice. The amounts/plural/amounts of Melainabacteria, Chloroflexi, and Armatimonadetes were specifically upregulated by pupae, and this upregulation was weakened or eliminated by PD-1H depletion. Some bacteria with high abundance in the feed-fed KO mice, such as Deferribacteres, Melaina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tes, Spirochaetes and Verrucomicrobia, were decreased in pupae-fed KO mice, and Proteobacteria and Deinococcus were specifically enriched in pupae-fed KO mice. Bacteroidetes, Firmicutes and Akkermansia were associated with weight loss in the pupae-fed group while Lachnospiraceae and Anaerobiospirillum were related glucose metabolism and energy consumption. Based on high-throughput sequencing, we discovered that some gut bacteria specifically regulated the metabolism of a high-protein diet, and PD-1H deficiency improved life quality and sustained blood glucose. Moreover, PD-1H responses to high-protein diet through modulating the type and quantity of gut bacteria.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about the association among gut microbiota, T cell activation (for PD-1H depletion) and high-protein diet metabolism, have important theoretical significance for nutrition and health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