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Student in Korea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체류 중국인 유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 of 360-degree VR Tourism Contents Motivations, Flow,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n Visit Intention - For Chinese Student in Korea)

  • 석화윤;진로;남윤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9-398
    • /
    • 2022
  • 최근 관광 및 레저 관련 VR(가상현실) 콘텐츠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콘텐츠 이용자들의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중에서 쾌락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은 콘텐츠 이용자들의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생함과 편리성은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플로우는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사용의도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360° VR 관광 콘텐츠의 이용동기, 플로우, 지속사용의도가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고 360° VR 관광 콘텐츠 소비가 방문의도를 강화시키는 마케팅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 Study on the Way to Improvement of Career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Jin, Xi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39-50
    • /
    • 2020
  • The current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world due to their passion for study or exchange students programs related to be affiliated with their universities. Many international students have great hope for their successful life of studying abroad. The factors that play a key role in successful study abroad can be seen as life satisfaction in host country and career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t focused on social identification as a core factor in improving international student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addition, it also focused on social support as a factor to increase social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improves social identifica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addition, social identification improve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dentific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This study was verified that if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 social support, they can experience social identification. This process can eventually lead to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emphasized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identification. Final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 조용완;이수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5-99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원활한 학업수행을 위해 반드시 보유해야 하는 정보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과 인근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인 유학생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정보리터러시 수준을 중간점수보다 조금 높은 정도라고 응답하였고, 구체적으로 <정보윤리/정보문화>, <정보통신기술>, <정보요구 인식/정보원 파악>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보분석/종합/관리>, <정보생산/소통/공유>, <정보조사/정보검색>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inese Student Adaptation to Korean Universities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 김종원;김은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9-112
    • /
    • 2019
  •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 시장의 모습도 변화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은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위기극복의 방안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유학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은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요한 학생 구성원이 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LS(Partical least squares)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요인인 교수 요인과 교직원의 관심정도는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한국어 구사 능력은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정서적 요인인 향수병은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도는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재한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환경에서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Acculturation Level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김선정;최경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6-79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상황 하에서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10개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속해있는 총 395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이 문화적응도 및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 SF-12 도구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었다. 그 결과 문화적응도가 낮은 유학생들은 건강증진행위가 신체적 삶의 질 점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도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통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문화적응도를 함께 고려하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Variables Affecti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lection Factors for Korean Drama)

  • 유력;백종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67-274
    • /
    • 2021
  •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중국 후난성(湖南省) 지역의 379명 대학생이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프로그램(问卷星, www.wjx.cn)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 도구는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 측정 도구'로서, 작품완성도(completeness of work)와 인지도(recognition) 등 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은 작품완성도가 인지도 요인보다 높다. 둘째, 중국 대학생의 성별, 학년, 연령, 전공, 한국 드라마 시청 빈도에 따라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선호 장르에 따라 작품 완성도 및 인지도 차원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고, 글로벌 시대 한국 드라마의 질적 재도약을 위해 제언하였다. 중국에서 한류 시장 확대를 위해 중국 대학생의 정서를 포용하는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중국 청년의 최신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는 전파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한국 드라마의 세련된 영상미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과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유능성 (Nursing Students' Empathy Ab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Korea and Korean-Chinese in China)

  • 신향단;이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726-734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 유능성을 한국 간호대학생과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2019년 11월 01부터 12월 30일까지 한국 B 시 소재 1개 대학교와 중국 Y 시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조선족 대학생 160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 유능성 점수는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보다 높았다. 한국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은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은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유능성과 중등 정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를 높이기 위해 중국 조선족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공감능력 향상, 긍정심리자본 강화, 대인관계 유능성 촉진 등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대학교 기숙사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대학 외국인 학생을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on the Living Satisfaction Degree in University Dormitory's Service: Focusing on the Foreign Students of "G" University)

  • 최준혁;장영;정화흠;주설군
    • 서비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99-113
    • /
    • 2012
  • 많은 대학에서 해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외국 유학 중에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학생이 가장 많은 상황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를 대상으로 하여, 소음요인, 음식요인 및 시설요인이 유학생들의 기숙사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알아보기 위하여, G대학교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음식요인과 시설요인은 기숙사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외국 유학생을 유치하는 대학에서는, 기숙사에 대한 차별화 전략을 사용할 경우 시설 및 음식 요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중국 여대생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National Image on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 임현경;이정우;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9-451
    • /
    • 2013
  • This study use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s subjects to classify the components of the Korean national image as well as understa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country image factors and Korean fashion image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Korean national image factors on the Korean fashion attitudes of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 SPSS 18.0 statistic program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paired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hi}^2$-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are six factors: culture-society, economy, products, sports, politics, and technology. Seco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on the six fa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roducts, politics, technology, economy, culture-society, and sports, respectively. Third, the difference of Korean fashion images showed that they recognize design uniqueness and diversity to choose styles preferentially. Fourth, the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culture-society, products, politics, and sports, and recognition affects culture-society, sports, and products, respectively. Fifth, they prefer THE E-LAND GROUP, Beaucre Merchandising, and The Basic House the most and show a strong purchase intention.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other various brands that are also recognized. These study results can provide Korean fashion companie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marketing.

한국과 중국 일부지역 여대생의 균형식 섭취 행동변화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Change Stages in Balanced Die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 박미연;딩총위;박필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5-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in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dietary behavior. A total of 447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were surveyed between June 27 and August 30,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2$ test,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ose who skipped breakfast were 26.18 times (95% CI: 5.421-126.407) more likely to be at a low-level stage for balanced diets than those who did not skip breakfast. In addition, compared to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eat late-night meals, those who ate late-night meals were 3.15 times (95% CI: 1.28-7.768) more likely to be at a low-level stage for balanced diets. Compared to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skip breakfast, those who skipped breakfast were 4.22 times (95% CI: 1.865-9.551) more likely to be at a low-level stage for balanced diets. Compared to the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stay up all night, those who stayed up all night were 5.25 times (95% CI: 1.712-16.074) to be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some factors that influence stage changes in balanced diets i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late-night meal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olutions for improving the behavior of late-night meals and skipping breakfast,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stage changes in balanced diets should be strateg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