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Teacher Interaction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 and 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구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0-477
    • /
    • 2017
  •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로 30개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13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정서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의 여러 하위변인 중 직업윤리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요구의 변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 학급 교육활동에서의 집단형태에 따른 유아 참여행동 및 교사 언어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engagement behavior and teachers' linguistic behavior by type of group activity in program of 5 years' class)

  • 배인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112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육활동에서의 집단형태에 따른 유아의 참여행동과 교사의 언어를 관찰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시 소재 유치원의 만 5세 2학급 유아 45명과 각 학급 담임이었고, 4주 동안 시간표집법에 의한 16회 관찰을 통해, 활동 집단 형태와 유아의 참여행동 및 교사의 언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주도 대집단 활동과 구조화된 활동내용이 많았다. 유아 참여는 대집단활동에서 일방적 응시행동이 많았고 교사의 설명하기가 높게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또래 간 소집단에서의 유아의 참여는 적극적 반응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언어는 칭찬과 인정하기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일과 구성에 나타난 교육활동의 집단형태 운영와 유아의 참여행동 및 교사의 언어 사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컴퓨터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재연에 대한 표상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diated Computer Environments on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of Replay)

  • 박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16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interaction with a teacher and computer environments on their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competence cf replay, the children's ability to construct and reconstruct actions.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as used; quantitative analyses, including interview assessments and coded observations of children's work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pplemented by qualitative analyses of this work. Thirty-nine children (2-5 years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volved a sequence of twenty sessions incorporating a series of three computer environments.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and Sigel's distancing theory, was used to mediate children's interaction with these computer environment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representational competence kept developing and reached a higher stage and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fostered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competence, with strong evidence of near transfer but no evidence of far transf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s a teachable concept and that a complex mediating structure allows children to reconstruct their previous experiences and apply them to problem situations.

  • PDF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23-228
    • /
    • 2023
  •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77-38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인 유아교사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변인을 측정 후, SPSS 2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준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예측함에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Scal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2005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이상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 연구대상이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낮잠시간배려', '화장실 사용배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식사와 간식시간배려'등으로 명명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94이며, 제작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역들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보그림책 읽기에 관한 이야기; 네 유아를 중심으로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 심향분;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49
    • /
    • 2010
  •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responses in the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process through the eyes of 4 young children. Over a twenty week period from September 3, 2007 to February 15, 2008, researcher observed 4 young children while they read informational picturebooks and interacted with one another in terms of what they had read. The young children's personalities, preferences and environments as individual background clearly influenced responses and interac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By acknowledging the response styles of young children, a teacher can assist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a repertoire of responses to informational picturebooks.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적 역할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반 9곳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1명; 평균연령 6.24세)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남녀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수줍음 특성과 교사-유아 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이 낮고,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남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있어, 교사-남아 간 친밀관계는 보호요인으로, 교사-남아 간 갈등관계는 위험요인으로써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줍음 특성이 있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예체능 방과후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적 능력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 전은경;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33-4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24 elementary school children (1st through 6th grades) and 41 teachers. The measures were questionnaire(after-school activities),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school-age), the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the Social Compet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 frequency, percentile, mean, an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had better emotional regulation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scheduling had better social competence(leadership and competence)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조절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갈등 관계의 조절 및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 이원미;권연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52-126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participants were 152 children(77 boys, 75 girls) and 14 preschool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peer victimiz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s language ability was assessed by researcher using PRES(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peer victimization was related to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Hierarchical ag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s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predicated peer victimization. Child's language ability, whose demonstrated a lower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with peer victimization.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