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전은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최보가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2, no.8, 2004 , pp. 33-4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24 elementary school children (1st through 6th grades) and 41 teachers. The measures were questionnaire(after-school activities),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school-age), the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the Social Compet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 frequency, percentile, mean, an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had better emotional regulation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scheduling had better social competence(leadership and competence)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Keywords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 emotional regulation; social compet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숙현 역(1989).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실제. 전남대학교 출판부
2 강이화(1999). 서울시내 방과후 보육기관의 초등학교 1.2학년 보육현황 및 교사의 인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구순주(1996). 어머니 관련변인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민균(2001). 초등학교 아동의 방과후 생활실태및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조사: 마산과 창원지역 저소득층과 중류층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7), 1-20
5 김선미(1995). 아동의 내외통제소재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빈(1994). 방과후 탁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국민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욕구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재인(1996). 초등학교에서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아동연구, 숙명 창학 90주년 기념 아동연구소주최 학술대회 특집호.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107-152
8 노성향(2002). 방과후 아동지도 서비스의 질적수준에 대한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상길(2001).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 : 평택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인전, 안옥희(1995).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대한가정학회지, 33(6), 43-6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신혜영(1994). 방과후 탁아 프로그램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여성특별위원회(2000). 방과후 아동보육 실태분석과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13 이경희(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유아의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영자, 이종숙, 이옥,신은수, 이정욱(1999).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혼합연령 방과후 프로그램개발 연구 : 정서지능 발달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4), 3-25
15 이옥(1993). 방과후 탁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지수(1998).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Abbott-Shim, M., & Sibley, A. (1987).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tlanta, GA : Quality Assist, Inc.
18 이진영.박인전(1998).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도. 한국가족복지학, 3(1), 23-43
19 임재택, 황해익, 정계숙, 김경호, 박선해, 박성미, 김은주(1999). 방과후 보육프로그램개발연구. 영유아보육연구, 5
20 최진아(1995).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적응노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Hartman, C.A.(1991). Comparing a school-sponsored latchkey program and self-care : Effect on student's self-concept and attitude toward school(school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ami
22 Howes, C., Philips, D. A., & Whitebook, M.(1992). Thresholds of quality implication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 449-460   DOI   ScienceOn
23 Johnson, K. (1994). Energize children's self-esteem: Utilizing after school group. School-Social Work Journal, 18(4), 28-35
24 Kontos, S.(1991). Child care quality, family background, an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 249-262   DOI   ScienceOn
25 Phillips, D., & Howes, C.(1987). Indicators of quality in child care: Review of research. In D. Phillips(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pp.1-21). Washington, DC:NAEYC
26 Posner, J. K, & Vandell, D.(1994), Low-income children's after-school care: Are there beneficial effects of after school programs? Child Development, 65, 440-456   DOI   ScienceOn
27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 Psychology, 33, 906, 916
28 Roopnarine, J.L., Johnson, J. E. (1984). Socialization in mixed-age experimental program. Developmental Psychology, 20(5), 828-832   DOI
29 Scarr, S., Eistenberg, M., & Deater-Deckard, K.(1994). Measurement of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131-151   DOI   ScienceOn
30 Shelley A. Gifford (2001).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regulation, behavior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Fordham Univ.
31 Guralnick, M. J., & Paul-Brown, D. (1986). Communicative interactions of mildly delayed and normally developing preschool children: Effect on listener's developmental level.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9, 2-10
32 김주현(1995). 도시지역 자기보호 아동을 위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Adams, D., Harmon C.,Reneke, S., Adams, T. L., Hartle L.(1997). Project friend : A Multi-age learning commun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4(4), 217-221   DOI   ScienceOn
34 Eisenberg, N. & Fabes, R. A.(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 S. Clark(Ed.), Review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14, Newbury Park, CA : Sage
35 Vandell, D. L., Corasaniti, M. A. (1998). The relation between third graders after-school care and social, academic and emotion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59(4), 868-875   DOI   ScienceOn
36 이경은(2000). 방과후 아동보호서비스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2), 29-48
37 이영, 김미령(1990). 발달적 접근방법에 의한 종일제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양서원.
38 Cumming E. M.(1980). Care programs for school-age children in Australia. Childhood Education, 74-76, 387-391
39 이옥(1995). 방과후 아이들: 교육과 보호 어떻게 할까?: 학령기 아동을 위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여성단체 연합 5월5일 어린이날 기념토론회 자료집
40 유희정(1997).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Warnock, M. N. (1992). After-school child care: Dilemma in a rural community, children Today, 21(1), 16-19
42 김정아(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청구논문
43 이숙, 오선영(1998). 보육시설의 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189-199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44 한국여성개발원(1994). 방과후 아동지도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94년 사업보고300-1. 한국여성개발원
45 한순옥(1996). 학령기 아동의 방과후 탁아 서비스 도입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1), 263-281
46 구순주, 최보가(1996).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신념이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1), 107-121
47 Morris, W. N., & Reilly, N. P. (1987). Toward the self-regulation of mood: Theory and research. Motivation and Emotion, 11, 215-249   DOI
48 서영숙, 박영애, 허정경(2000).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 유형별 교육환경 비교. 아동학회지, 21(1), 141-162
49 최희순(2000).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McCartney, K. Scarr, S., Phillips, D., Grajek, S., & Schwarz, C.(1982). Environmental differences among day center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s development. In E. F. Zigler & E. W. Gordon(Eds.), Day care : Scientific and social policy issues(pp. 126-151). Boston: Aubum House
51 최경순(1993).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4(2), 115-136
52 곽학근(1998). 방과후 교육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경기교육
53 박은주(2001). 방과후 음악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4 Sack, J. (1999). After-school initiative drums up bipartisan support in Washington. Education Week, 18, 1, 24
55 Scales, A., George, A., & Morris, G. (1997). Perceptions of one after school tutorial program,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30, 167-182
56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7 박선숙, 유가효(1999). 방과후 아동보육 프로그램의 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1), 103-121
58 임희수(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9 송호영(2000). 방과후 아동지도 집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불교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이순형, 서영숙, 전인옥(1999). 열린교육을 위한 주제 탐구 표현활동. 창지사
61 Howes, C., Rodning, C., Galluzzo, D.C., & Mayers.(1988). Attachment and child care: Relationships with mother and caregiv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403-416   DOI   ScienceOn
62 곽주영, 이영(1997).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35(2), 385-400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63 김영미(2001).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광주 시내 어린이집 아동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4 노성향, 정옥분(2002). 방과후 아동지도의 질적수준과 관련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217-232
65 NAEYC (1993). Research into action, The effects of group size, ratios, and staff training on child care quality. Young Children, 48(1), 65-6
66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1992). 일하며 키우며. 백산서당
67 Dunn. L.(1993). Proximal and distal features of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67-193   DOI   ScienceOn
68 김재인(1996). 방과후 아동지도 제도 도입 및 운영방안-방과후 아동지도제도 도입 및 운영방안을 위한 공청회, 정무장관(제2)실. 한국여성개발원, 1-60
69 김재인(1996). 방과후 아동지도의 현황 및 발전방안. 인간발달연구, 24
70 최지혜(1999). 방과후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Vandell, D. L., & Powers, C. P. (1983).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free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 493-500   DOI   ScienceOn
72 Umek, L. M., Lesnik, P. (1996). Social interaction and types of play in mix-age same-age group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ERIC Document No.402043
73 Chen, X., Liu, M., Li, D., Li, Z., & Li, B.(2000). Social and prosocial dimensions of socila competence in Chinese children : Common and unique contribution to social, academic,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ical, 36(3), 302-314   DOI   ScienceOn
74 French, D.C., Wass, G.A., Straight, A. L., & Baker, J.A.(1986), Leadership asymmetries in mixed-age children's groups. Child Development, 57, 1277-1283   DOI   ScienceOn
75 민경환, 김지현, 윤석빈, 장승민(2000).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 정서 종류와 개인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이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4(2), 1-17
76 이용교,정혜선,유한규,권지은,김경륜, 윤재정,서지영,김혜영, 성윤숙(2000). 한국의 아동복지학. 양서원
77 한국일보(1993. 10. 4). 방과후 방치 국교생이 늘고 있다. p.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