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ommitmen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육아지원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 냉소주의, 임파워먼트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Affecting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 예남희;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9-13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cynicism,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60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Kyoungbuk and Ulsan distric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AMOS 1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have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directly influences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3)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indirectly influences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erms of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보육시설 조직커뮤니케이션과 갈등, 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nflict, Commitment in Child Care Center)

  • 정다운;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1-23
    • /
    • 201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fects organizational conflict and commitment. This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38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all parts of Korea except Jeju-do. This research used the following tools: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cale, the organizational conflict scal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beta}$ = -.529, p < .001) on organizational conflict. Secondly, organizational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beta}$ = -.398, p < .001) with organizational competence. Third, organizational conflic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유아교육기관 시설장의 변혁적리더쉽과 거래적리더쉽,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및 조직헌신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 권기남;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57-86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20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Kyo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program(15.0 ver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each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each effe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diated by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아동복지기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가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hild welfare workers: Modeling its causal relationships with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 강현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445-468
    • /
    • 2011
  •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가 자신의 일에 대한 순수한 즐거움을 동기로 그 일을 하는지, 즉 그들의 내재적 동기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애착을 의미하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방법을 통해 353명의 아동복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잠재변인이 적절한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는지 측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구조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내재적 동기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종사자의 월수입과 근무시간이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 적합도를 높인 수정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 무례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몰입의 이중매개효과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Commitment between Organizational Inciv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in Korea)

  • 실린 아흐메드;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51-60
    • /
    • 2023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무례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충남의 S시에서 보육교사 234명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5.0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였고, 적용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직렬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조직무례,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몰입,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경로 분석 결과 조직무례는 직무 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심리적 몰입 및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몰입 및 직무만족에 부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심리적 몰입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몰입은 조직무례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렬 이중매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무례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때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몰입을 활용하여 직무만족을 보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의료기관의 복리후생제도가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fare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Workers)

  • 박초열;서영우;임복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4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elfare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workers. Methods : A survey was performed with 556 female workers of 11 general hospital and 7 acute period hospital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7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24.0. Results : Among those aged over 40 years, high awareness of obligatory welfare, job education, free use of the annual leave, and flexible working system was a positive factor in job satisfaction. Among managers, free use of the annual leave, job education, flexible working system and child-care facilities was a positive factor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married women, although interest in welfare for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is high, execution is sluggish, hence,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and medical institutions in this field is necessary.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me Daycare Center)

  • 이경진;권연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5-158
    • /
    • 2018
  •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 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보육교사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제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5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적 통계,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연령, 현 기관의 재직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직의도는 급여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인과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가 조직에 몰입하며 이직을 고려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원장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이를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조직충성행동과 업무만족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in Day Care Center)

  • 오경숙;조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5-5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and working satisfaction of 16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Three questionnaires abou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llen and Mayer(1990) developed and Son Sobin(2002) revised,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which Jo Bumsang(2004) revised, and working satisfaction which Kim Sunja(2005)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revised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loyalty was also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satisfaction was below average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working hours. La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and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should support for the teach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becaus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is highly related to successful organization of daycar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