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me Daycare Center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tribution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o as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identify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Methods: For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251 teachers working in home day care center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nd the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ge in terms of the general background of daily care teachers, as well as the period of service of their current organiza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salary. Second,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but turnover inten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Among them,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cedur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istribution justice. Third, the relative impact of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 in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on justice. The rel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as high in distribution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justice is a influential variabl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suggest that it needs to make effort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justice for the operation of home daycare centers.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 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보육교사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제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5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적 통계,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연령, 현 기관의 재직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직의도는 급여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인과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가 조직에 몰입하며 이직을 고려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원장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이를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2014).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1), 7-34.
  2. 강재희, 김진영(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3. 고유빈(2009). 학교 조직효과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공정성과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구은미, 박성혜(2013).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34-53.
  5. 구혜영, 김미예(2010). 보육교사의 조직문화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비영리연구, 9(2), 171-202.
  6. 권성민(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7. 권영란, 문영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8. 권화숙, 김이영(2015).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개인특성 요인 및 직무관련 요인이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1), 55-75.
  9. 김경숙, 김유환(2011). 유아-교사 간 상호 인식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유아교육학논집, 15(4), 141-160.
  10. 김경호, 차은진(2012).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4), 231-262.
  11.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12. 김민정, 강수경, 정미라(2016).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4(1), 127-145.
  13. 김소연, 이정화(2016).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현장문제 인식 정도가 심리적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2), 107-130.
  14. 김영은, 신정숙(2012).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3), 7-26.
  15. 김은하, 배지현(2016). 담임교사 중간 이직에 따른 가을반 유아들의 새 담임교사와 관계 맺기 및 유치원 생활 적응 과정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49-48.
  16. 김의석, 김성원(2013). 근무환경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5-41.
  17. 김정주, 박형신(2012). 보육시설의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2(1), 59-78.
  18. 김혁동(2010). 학교조직의 공정성과 구성원간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실천연구, 9(2), 155-178.
  19. 김현경(2017. 5).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9-204.
  20. 노은호(2012).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67-83.
  21. 문지혜, 김수향(2015).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갈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179-197.
  22. 문호성(2016).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63-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063
  23. 박미순(2010).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유아기 안정애착 관점에서.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효민, 김석호(2015). 공정성 이론의 다차원성. 사회와이론, 27, 219-260.
  25. 배병호(2015). 서울지역 법인 택시운전기사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만족 및 정서적 소진의 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보건복지부(2016).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연구보고서 No. 11-1352000-000962-12. 세종: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7. 서지영(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소병만(1998).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손아랑(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30. 양연숙(2012).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41-256.
  31. 염영희(2009). 조직공정성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5(2), 216-224.
  32. 오세미, 김민아, 홍계훈, 양회창(2014). 공정성 지각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상만족과 내적 동기의 조절된 매개모형.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3), 93-124.
  33. 유지원(2005). 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과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유현숙(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윤미승, 박지영(2016).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581-600.
  36. 윤병섭, 이영안, 이홍재(2010).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10(3), 219-238.
  37. 이동영, 김현정(2013). 경찰관 개인적 특성과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국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국경찰학회보, 43, 153-178.
  38. 이미정, 강란혜(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39. 이수영, 정기수(2012). 청소년지도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4), 271-291.
  40. 이영만, 하봉운(2015). 조직공정성, 인사평가인식,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129-150.
  41. 이재무, 김형수(2013).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0, 65-83.
  42. 이진원, 조주영, 박세훈(2009). 교사가 지각한 조직공정성과 신뢰의 관계. 교육종합연구, 7(1), 73-95.
  43. 이진화, 이승연(2006).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 조직적, 심리적 요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29-250.
  44.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3), 21-38.
  45. 임세건(2016).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전병주, 윤경미(2014).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260-271.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60
  47. 정다운(2009). 보육시설의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갈등, 몰입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정명선(2013). 유치원 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인문학논총, 33, 183-204.
  49. 정미라, 권정윤, 이방실(2014). 유치원 조직특성과 교사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육아지원연구, 9(2), 249-276.
  50. 정지언, 박영희(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297-316.
  51. 조신숙, 김정희(2018).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3), 1-20.
  52. 채진영, 권혜진(2012).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5-23.
  53. 최미란, 이세은, 이선임, 장경은(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35-59.
  54. 최인숙(2013).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09-12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09
  55. 최진영, 김영희, 김대광(2015).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73-593.
  56. 최혜영, 조성연, 권연희(2014).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의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4), 405-414. https://doi.org/10.6115/fer.2014.035
  57. 한은경(2017).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함상규(2007). 조직공정성지각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초.중등학교 조직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홍철희(2009).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 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 황두모, 하규수(2012). 조직의 공정성 및 경영자의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689-2705.
  61. Bowlby, J. (1988). Developmental psychiatry comes of ag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1), 1-10. https://doi.org/10.1176/ajp.145.1.1
  62. Colquitt, J. A., Conlon, D. E., Wesson, M. J., Porter, C. O. L. H., & Ng, K. Y. (2001).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25-445. https://doi.org/10.1037/0021-9010.86.3.425
  63. McDuff, E. M., & Mueller, C. W. (2000). The ministry as an occupational labor market: Intentions to leave an employer (church) versus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 (ministry). Work and Occupations, 27(1), 89-116. https://doi.org/10.1177/0730888400027001005
  64. Meyer, J. P., & Allen, N. J. (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61-89.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65.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66. Price, J. L., & Mueller, C. W. (1986).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s. Mashfield, MA: Pittman.
  67. Stanley, T. L. (2001). Burnout: A manager's worst nightmare. Supervision, 62(8),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