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도 비교 (Comparison of Needs About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 김신정;강경아;조해련;민혜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15-22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stated need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372 students and 162 teachers were analyzed. Results: 1) The mean scores for felt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in both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teacher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5.28, p<.001). 2)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al level (t=2.89, p=.004), experience of sexual education (t=3.11, p=.006), an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exual abuse education (t=7.56, p<.001). 3)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an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Conclusion: When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on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need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hen, the educational program at school would be more effective.

위(僞) 소아성학대 보고 1예 (A CASE OF FALSE ALLEGATION OF CHILD SEXUAL ABUSE)

  • 최보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94-200
    • /
    • 1994
  • 성학대보고가 부모로부터 먼저 나왔을 경우, 부모가 양육권이나 면접권과 연관된 분쟁중에 보고되었을 경우 및 아동이 학령전 아동일 경우, 정신감정자는 위(僞) 성학대를 일단 의심하여야 한다고 한다. 저자는, 보육원에 수용된 10세 여아로서 경도의 정신지체를 보이고 있고 자발적으로 성학대보고를 한 환아의 정신감정을 하는 과정중에 위 성학대보고라고 판단된 환아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아의 거짓보고에 대한 병리적 기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와 연관된 문헌고찰을 하였다.

  • PDF

사회적 지지와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 사이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 교육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School Parents′ Child Neglect Awareness)

  • 이병록;정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47-455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러한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A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과 AMO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다집단 분석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분석결과는 첫째,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정적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방임 인식의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아동방임 인식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여부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증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dolescence Abuse Experience to Suicide :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s)

  • 류보순;김용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3-20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경험, 자아존중감, 가족탄력성, 자살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으로 학대경험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가족탄력성 향상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전남 지역의 세 개 군의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00명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3부를 제외한 총 547명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척도는 Murray A. Straus (1979)의 아동학대, Beck, Kovacs & Weissmen(1979)의 자살,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Boehm (2007)의 가족탄력성 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ANOVA,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대경험 청소년은 54.2%, 학대유형에 따른 자살빈도는 신체적 학대의 경우가 많았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대경험이 자살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으로 학대경험이 높을수록 자살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대경험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자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탄력성은 학대경험이 자살에 미치는 부적 영향과 높은 자존감이 자살에 미치는 부적 영향으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 -사회발달모델(Social Development Model)을 중심으로)- (Pathways from Child Abuse to Adolescent School Violence -Focusing on Social Development Model-)

  • 이지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75-99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과정을 사회발달모델(Social Development Model)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학교유대감, 비행친구접촉의 매개변인으로 구성된 경로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10월 15일~11월 25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 5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1,836부 중 응답이 부실한 59부와 부모가 없거나 한부모라고 응답한 214부를 제외한 총 1,563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대경험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모애착, 학교유대감, 비행친구접촉의 매개변수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Marital Violence)

  • 김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rital violence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A total of 352 marital couples in Pusan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Husbands and wives reciprocally inflicted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physical violence. But husbands were more to inflict sexual violence and injury toward their wives. 2. When husbands have more the distractor and the blamer of communication style. they inflicted more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wives. When wives have more the blamer of communication style they inflicted more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husbands. 3, Housbands inflicted psychological aggression toward their wives when husbands experienced child abuse from their parents. husbands inflicted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wives when husbands have the distractor of communication style experienced witness of spousal viol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and experience of scho l violence experien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Wives inflicted psychological aggression toward their husbands when wives experienced witness of spousal viol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and have the blamer of communication style. Wives inflicted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husbands when wives experienced child abuse from their parents.

  • PDF

가출청소년에서 학대력과 정신병리와의 관계 (Relation between Abuse History and Psychopathology in Runaway Sheltered Adolescents)

  • 곽영숙;이혜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149-162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psychopathology, abuse history and the relation of them in sheltered runaway adolescents.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are in shelters according to abuse type and then to offer basic data which are needed in establishing comprehensive protection policy for runaway adolescents. Methods : One hundred twenty eighty adolescents who stay in the runaway shelters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basic sociodemographic data,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Minnest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then examined the correlation of psychopathology and abuse in runaway adolescents. Results : In abused runaway adolescents, social performance scale of K-YSR was higher than school performance sealer and among scales of behavioral problem syndrome delinquent scale was highest. Scales of behavioral problem syndrome showed rel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use history. In MMPI scale of psychopathic deviate scale was highest, social introver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abuse, and psychopathic deviate and hypomani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buse, neglect and sexual abuse. In SCL-90-R somatization scale was highest. Scales of somatization, hostility, and paranoid ideation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 in adolescents with emotional abuse and neglect history, and sco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 in sexually abused adolescents. Conclusion : Runaway adolescents who had abuse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sychopathology than general adolescents and there were various interrelation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the type of abuse. More precise psychiatric evaluation and detailed treatment intervention for runaway adolescents are needed.

  • PDF

임신 중 흡연에 의한 태아학대: 태아생존권 옹호를 위한 접근 (Critical Discussion on Smoking During Pregnancy as a Form of Fetal Abuse: An Approach to Advocate for Fetal Right to Life)

  • 김영미;조갑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17-325
    • /
    • 2016
  • Purpose: Smoking during pregnancy contributes to the risk of negative health outcomes in mothers and bab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harmful effects of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on fetal and child development, to discuss if maternal smoking should be criminalized as a form of child abuse, and to explore advocating for fetal rights. Methods: A variety of published literature and legal documents including the Korean constitution, criminal laws, and children's welfare laws were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Results: Women who smoke during pregnanc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bortion related to placental dysfunction. Their unborn risk premature birth, fetal growth restriction, low birth weight, neurobehavioral disturbances, and/or other complications and newborn babies are also at risk for complications. The advocates for fetal rights can assert that maternal smoking should be regarded as a crime.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is a major risk factor for many adverse pregnancy outcomes. Effective strategies and health policies for smoking cessation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to protect pregnant women and their babies.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s' Character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 김봉제;권기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21
    • /
    • 2018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에 있어서 부모의 인성 변화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따라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된 핵심 역량에 근거하여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어린이집/유치원 및 초등학교에서 아동학대 부모를 경험했던 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부모에게 요구되는 인성역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크게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심미적감성역량, 공동체역량 강화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나와 자녀 바로 알기', '부모 자신의 분노조절 훈련하기', '자녀와의 효과적 의사소통 기술 증진하기', '자녀와의 쌍방소통식 의사소통 연습하기', '자녀와 문화예술체험하기', '나와 자녀의 감정 이해하기', '한 자녀를 키우기 위한 온 마을이 필요하다'의 총 7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학생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Between Female Adolescents'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School Adaptation)

  • 이창식;유은경;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97-303
    • /
    • 2019
  • 본 연구는 여학생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D시의 여학생 청소년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차이검정, 상관분석, 조절효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은 부모가 맞벌이 여부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가정학대는 다른 변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절효과 회귀분석 결과 가정학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격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지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학생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성격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과 연령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