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are Teachers

검색결과 921건 처리시간 0.03초

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in Child Care Center)

  • 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3-214
    • /
    • 2010
  •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outdoor play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overall perception of teachers on outdoor play in regards to its related programs and children's reaction to them. Through examining such issue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in planning appropriate outdoor play activities, programs and environments. For the study, we surveyed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objects of the survey were 22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and Seoul, who agreed to conduct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06; 22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88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outdoor plays per week were on average 1~2 in most cases, although teachers believed the play should be done everyday. Outdoor play time was mostly 21~30 minutes, while teachers thought 31~40 minutes as appropriate. Children's reaction scored the highest when they played outdoors for 30 minutes every day with their teachers involved in the play. As a result, we have concluded that the appropriate outdoor play should be conducted everyday for 30~40 minutes. 2) Outdoor play was mostly conducted as part of the overall educational plan rather than a separate plan. Since outdoor play affects children's development as much as indoor play,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specific and separate plan for various outdoor play programs. 3) The outdoor play program that was most often conducted was equipment play and sand play. This indicated the monolithic nature of the outdoor program. Given the fact that children enjoy outdoor plays a lot (M=4.71), various programs including adventure play, sensitive play, and carpenter play should be developed. 4) In outdoor play, the teacher's role included supervising and interacting with children. According to the survey, teacher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n safety and supervising issues in outdoor plays. However they seemed to overlook the importance of having better programs and improving teacher's participation to the play. Despite the importance of outdoor play to children's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that teachers have tendencies to limit and obstruct outdoor plays by emphasizing supervising and safety issues instead. 5) Children's safety should not be the only consideration for outdoor plays; teachers ought to better understand that children's development can be maximized by the play. Furthermore, there should be emphasis plac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s participation; teacher's participation should actively encourage the interactions between a child and a teacher, as well as among children.

지역아동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매개효과로-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of the Community Child-Care Center President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 소선주;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30-342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해당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남 지역의 지역아동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생활복지교사로 총 19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해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종사자의 교사효능감, 조직효과성 간의 연구모형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시설과 교육 보육기관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센터장의 변혁적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 조직효과성에 모두 유의미하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소이 직장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 태도에 대한 어려움과 극복 노력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Soi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Teacher'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Effort in the Attitude of Parents)

  • 김보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53-564
    • /
    • 2019
  • 본 연구는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소이 어린이집 교사가 부모 태도에 대하여 느끼는 어려움과 대처방안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년 365일, 하루 18시간 운영되는 소이 어린이집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현장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부모의 연중무휴 운영을 위한 규정 미 준수, 휴무 시 과잉 이용, 근무 상황에 따른 지나친 개별적 요구, 직종 인식에 따른 CCTV분석의 일반화, 교실에 관여되는 직장 내 부모 직급, 부모의 서비스 직무적 요구태도 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의 직종과 개별적 특성 미리 파악 및 예방, 직장 어린이집 경력자 교사에게 조언 구하기, 직장 어린이집의 장점 생각하며 상황 객관화하기, 전문성 신장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확대되어 가고 다양화 되어가는 직장 어린이집 운영과 교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과 보육의 질 (Childcare Center Teacher'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Childcare Quality)

  • 김혜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9-166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 보육의 질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았다. 경기도와 서울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건강상태는 낮은 편이었으며 경력 3-5년미만과 30-40세미만의 건강상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건강행동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5-10년미만의 경력을 지닌 보육교사와 30-40세미만의 보육교사의 정신건강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5년미만의 경력을 지닌 보육교사의 신체건강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의 질과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건강행동의 하위영역인 정신건강행동과 신체건강행동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Exploring Predictors Affecting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cusing on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 신나리;오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일과 중에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하는 정서적 지원 수준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교사의 정서적 지원 및 유아 개인의 성과 월령, 교사의 학력과 경력, 그리고 학급의 교사 대 유아 비율 및 기관설립유형이 유아의 인성 특성인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646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32명, 주양육자 555명으로, HLM 7.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자기통제, 주장성 및 협력성은 학급 간 차이가 있었으나, 부모가 보고한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은 학급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아보다 여아가, 월령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성 특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정서적 지원뿐만 아니라 학력, 경력 및 교사 대 유아 비율과 기관설립유형은 학급 간 차이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학급 수준의 예측변인 투입 이후에도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인성 특성에서 여전히 학급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추후 연구에서는 인성 특성의 학급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93-217
    • /
    • 201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 학 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된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어린이집의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적절성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한 후, 중소도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시안은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27개 항목과 운영 영역 36개 항목, 총 6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적절성 인식 조사결과 장학영역, 운영을 위한 주체별 역할, 운영을 위한 상호협력적 역할에 대해서 모든 항목의 적절성이 평균 3.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적용은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산 학 관 협력에 대해 '협력의 이중성', '아쉬움과 한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hyness on Peer Pla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 김윤희;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7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yness of 3 to 5-year-old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peer play behavi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 teachers working with 277 three to five-year-old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Chungbuk, Korea. SPSS 19.0 was used to implement exploratory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low sociability and thoes with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dicated the least play disruption. Children whose assertiveness and sociability were low and wh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were close were likely to do the most play interaction. However,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lack of assertiveness and of the lack of sociability, children with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play interaction.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lack of sociability and in conflic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play disconnection.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interplay of children's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the development of peer play behaviors.

바람직한 보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어머니의 요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Child-care Program - on the Basis of Mothers' Demands -)

  • 박영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for development of child-care programs. For this purpose, mothers' demand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included 403 mothers with children enrolled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Yangju city,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ss tabs, t-test, and F-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hild-care centers was positive. Second, the major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child-care centers came from facilities and program contents of inferior quality. Third, mot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 quality criteria for child-care programs.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hers' demand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PDF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실내환경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The Interior Planning Guidelines of Child Care Center in Pusan)

  • 황연숙;최경순;정지영
    • 교육시설
    • /
    • 제5권4호
    • /
    • pp.28-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interior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 and to suggest the interior planning guidelines of Child Care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sample consisted of 84 Child Care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ost of Child Care Centers are not in the desirable Interior environ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the physical interior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 should b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ld. (2) Functional spaces should be organized to support the child' behavior. Multi-purposed room should be provide to encourage and adapt to variety of large-muscle activities. (3) The design of Child Care Center should be emphasized to satisfy teachers and children who are directed users. (4) Interior finishings looks too monotonous and do not have characteristics. Natural materials,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re recommendable. Furniture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functions of flexibility, mobility, and security.

  • PDF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능동적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Child 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 서미정;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7-1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65 child care teachers and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Results: First,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s self-leadership. Second,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Third, teacher's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 care efficacy. Fourth,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was to found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great deal of utility to improve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