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Danc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캐릭터 댄스의 개념정립과 발전방향 모색 (Theory & developmental direction of Character Dance)

  • 장소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53-159
    • /
    • 2020
  • 캐릭터 댄스는 발레 전공자나 무용수, 안무가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창조적 움직임을 통해 공연의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포괄적인 교육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는 캐릭터 댄스는 발레교육 현장에서도 자료부족과 미비함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통속적인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캐릭터 댄스의 개념 정립을 위해 시기적으로 발레공연에서 캐릭터 댄스의 도입부터 현재까지 나누어 살펴보고 형태를 범주화하였다. 또한 발전 발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범주와 개념정립의 올바른 이해를 통한 캐릭터 댄스는 무용전공자와 유아, 아이들, 비전공자에게 다양하고 확장적인 교육형태를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캐릭터 댄스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한 시론(試論)적 연구는 발레 교육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기초자료를 활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자는 차후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무용의상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창작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Based on Korean Creative Dance-)

  • 윤여정;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3_4호
    • /
    • pp.310-3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and analyse stage effect based upon the formative factors. Classified design element of dance costumes by line, silhouette, color, material, lighting, and also this based on content analysis method about each formative factor of costumes that showed 10 dance performances which practically be performed and made.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professional dance composers and danc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s fer objectivity and specialty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ance costume contains and harmoniously expresses theme of a dance work,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ashion design, movement and character of the dancers, lighting effect. 2.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is effectively expressed with formative factor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modem sensibility and symbolic expression of image-centered. 3. Costume line is affected by dancer's movement and it's possible to be different effect that the atmosphere or stage effect by the original form of line and the expression method. 4. Costume color is effective to inform that dancer's character and image of a dance work. 5. Costume material is most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dancers and the atmosphere and the image of a dance work. 6. Lighting effect can inform various feel of dancer's dance.

Korean Dancing and Cultural Boundary

  • Lee, Ji-Won;Kim, Lee-kyung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15-316
    • /
    • 2019
  •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ransculturality, this paper tries to look at the mixedness shown in modern dance works in Korea. By shedding light on the transculturality character that Welsch, emphasizes, we will interpret the artistic transition and the art phenomena that appear in Korean dance.

  • PDF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승무의 계통적 성향 연구 (Study on Genealogical Character of Buddhist Dances of Hang Yeon Suk and Lee Mae Bang)

  • 정성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185-212
    • /
    • 2011
  • 승무는 대표적으로 중요무형문화재 27호로 지정된 한영숙류와 이매방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두 승무는 같은 춤임에도 불구하고 전승지역이 다르고 계통적 차이 때문에 각기 다른 독특한 형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승무에 관한 연구는 어느 한 계보만의 춤사위 연구나 한영숙춤은 경기(중부류)이며 이매방춤은 호남류라는 지역적 관점에서 비교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었다. 그러나 최근 이병옥에 의해 예인춤에는 재인계통춤과 기방계통춤이 다르다는 설과 민속춤 중에서 민간춤은 지역연고가 강하지만 예인춤은 지역연고가 약하다는 설을 제시하여 학계의 관심이 모아졌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승무의 춤사위에 나타난 계통적 성향을 고찰하여, 한영숙 승무는 재인계통 승무이고 이매방 승무는 기방계통 승무임을 밝히는데 있다. 즉 이매방 승무와 한영숙 승무를 비교한 논문이나 연구실적 중 동작소를 분석한 논문, 승무 염불과장의 춤을 비교한 논문, 타령과장을 비교한 논문 등 3편에 대하여 계통적 관점에서 재분석하여 성향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한영숙류와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승무의 계통적 성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첫째, 한영숙 승무는 재인계통춤의 주된 특성인 남성성, 상향성, 진취성, 역동성, 외향성, 대담성, 기품미를 보이고, 이매방 승무는 기방계통춤의 주된 특징인 여성성, 하향성, 후퇴성, 미동성, 내향성, 소담성, 교태미를 보인다. 둘째, 두 승무의 성향에서 가장 많이 표출되는 부분은 계통적 특징이며, 그 다음은 본성적 특징, 그리고 지역적 특징이 조금 나타났다. 셋째, 두 승무가 계통적인 성향이 크지만, 한편으로는 뒤바뀐 전승자의 성별, 즉 기방계승무는 남장인 이매방이, 재인계 승무는 여자인 한영숙이 전승한 관계로 반계통적 성향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두 승무가 비록 계통성과 지역성이 다를지라도 동시대에 전승된 민족춤으로서의 사실상 유사한 점도 많아 차이점 못지않게 공통점도 간과 할 수 없음도 알 수 있었다. 결국 두 춤은 같은 한국민족의 춤이며, 동시대 춤이다. 그렇다고 혼합 되어서도 안 된다. 미미한 차이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유파를 끝까지 지키면서 전승해야한다고 본다.

향제 검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ocal Gum-Mu and Dancing Costumes)

  • 황혜영;소황옥
    • 복식
    • /
    • 제61권6호
    • /
    • pp.15-37
    • /
    • 2011
  • This study is on dancing dresses of the costumes of Gum-Mu(劍舞, sword dance) in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region of Korea, focusing on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the way of dance. The reason why the Gum-Mu is full of local color is that royal Korean Gisaeng(妓生) and local Gisaeng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propagated this dance to each regional Kyobang. They combined court sword with each local dance and music and formed the present style of regional Gum-Mu. Dance and music native to area, which has formed today's regional Gum-Mu. The composition of current dancing costume of the sword dance is Jeogori, Chima, Jeondae(戰帶), Jeonrib(戰笠), Kwaeja(快子) Also, The complement colors harmonizing with color of Yin-Yang & Five Elements. which are yellow, blue, white, red, and black, are usually used. And the masculinity in dance were expressed withmore use of blue, and red in the opposite but if a sword dance takes on masculine character, blue color is more used, if feminie character, reddish colors, such as pink and red, are used. Thus, JinJu, Honam, Haeju, Pyeongyang 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blue color, Tongyeong, Kyeonggi, Court(seoul)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reddish color.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Dance-Sports Costume

  • Kim, Hyun-Kyung;Choy, Hyu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9권1호
    • /
    • pp.44-5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differentiation of dance-sports costume design an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design in this field.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the visual data in 'weave' prosperity data and a dance-sports technical book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nce-sports costume has the general character of dance costume, and it belongs to the category of stage costume. Seco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peculiar to dance-sports costume come from its specialized usage in dance-sports. Third, the design of dance-sports costume changes accordingly with the situation it is worn: exercise costume, party costume, competition costume. Fourth, arranged dance-sports costume trends since 1998. It had shown biennial changes in shilhouette.

그리이스 무용 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nce Costume of Greece)

  • 임상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19-130
    • /
    • 1998
  • This is on the dance costume of ancient Greece.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Greek dance and dance costume according to the silhouette, quality of material, color and ornaments. Materials of the study are the pictures and figures presented in literatures, sculptures, crockeries, murals, coins. The dances of Greece can be classified into religious dance, educational dance, recreational dance, dramatic dance and various forms of dance on each dances were developed. Especially, it is the greatest character that Greeks gave dances educational value and created composit art including song, lines and dance. As dance costume, Himation, Chiton, Chlamys which Greeks generally wore were widely worn. Also, the beauty of dance costume was maximized by the changes of basic costum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ways of wearing. Especially, professional dancers wore costumes shorter than knee-length ones forming a A-line silhouette different from a cylindrical one. Thin cloth revealing body silhouette such as fiax hemp, linen, silk were used as materials of dance costumes. As for colors, white was mainly used, But orange, blue and green were used, too. They wore band, scarf, bonnet on the head and seldom used any ornaments except for fibula. They wore the same sandals which Greeks wore, Crepis, front-heeled shoes which is thought to be the origin of modern ballet shoes for the technique of toe in dance. As mentioned above, as the dance costume of Greece were mainly worn as the similar forms of the dance costume of Greeks, various forms of costumes were worn with the development of dance and bold ways of wearing and silhouette were developed unlike the costume of common people.

  • PDF

부탄 파로 체추 <참>의 역사와 연행양상 (The History and Performative Aspect of Bhutan Paro Tshechu )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327-363
    • /
    • 2018
  • 부탄의 참은 체추 축제에서 연행된다. 체추는 부탄 왕국에 불교를 전파한 파드마삼바바의 탄생을 기리기 위해 열리는 종교 의식이자 전통 축제로서 17세기에 시작되었다. 부탄 참과 티베트 참은 <검은 모자의 춤(흑모신무)>, <화장터 수호신들의 춤(두다, 고루신춤)>, <파드마삼바바의 여덟 현신의 춤>, 파워와 파모 등 공통된 내용과 등장인물들을 갖고 있다. 반면에 <야만타카의 춤>, <드라메체에서 온 북춤>, <앗사라의 점심 도시락 골라 먹기>, <페마 링파의 세 가지 보물춤>, <수사슴과 사냥개들의 춤>, <신사와 숙녀들의 춤>, <영웅들의 춤>, <죽은 자들에 대한 심판의 춤> 등은 부탄의 특징적 연희이다. 더욱이 부탄 참의 어릿광대 앗사라들은 티베트의 참에는 등장하지 않는 인물들이다. 앗사라는 머리에 남근 형태의 긴 장식물을 꽂고 있거나, 얼굴이 비뚤어진 가면을 쓰고 손에 남근을 들고 다니면서 골계적인 연기를 한다. 부탄의 참은 라마교 사원에서 전승되고 있는 종교적 가면극으로서 원래 티베트로부터 전래한 것이지만, 후대에 점차 부탄의 역사, 신화, 전설, 신앙을 반영한 새로운 연희들이 많이 삽입되었다. 그래서 현재의 부탄 참은 매우 독자적이고 특징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

<왕자영요>의 게임 캐릭터 디자인이 무형문화재 문화 기호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광동 사자춤'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Effec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ltural Symbols by the Game Character Design in 'King of Glory ' : Focused on the 'Guangdong Lion Dance')

  • 고개;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33-438
    • /
    • 2021
  • 인류가 역사의 긴 강에 남긴 소중한 자산을 무형문화재라 정의한다. 민족마다, 지역마다 삶의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만들어진 무형문화재도 제각각이다. 그러나 문화재의 지역적 특징을 전파하는 방식은 비교적 단일하다. 사회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문화의 출현은 무형문화재의 전승 방법에 영향을 미쳤다. 게임 속 문화재를 활용한 캐릭터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문화재 전승 방법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보전 방법과 새로운 방식을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게임에서의 캐릭터가 무형문화재 '광동 사자춤 (엄동성사(广东醒狮))'에 대해 어떻게 혁신적인 디자인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무형문화재를 추출한 문화 기호를 게임 캐릭터 디자인에 추가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캐릭터를 전파한다. <왕자영요>를 통해 '광동 사자춤'의 전통적인 방식의 디지털화를 전파하고, 현재 디지털 게임에서 무형문화재 문화 기호와 관련된 파급효과를 발굴하고자 한다.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Structural Study on Dance Story-Telling)

  • 김기화;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4
    • /
    • 2012
  •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신체적 언어가 서사적 담론체계로서 스토리텔링의 담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와 무대미술의 관계형성을 통해서 비유 은유 상징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로 담론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개념에서 무용의 서사적 구성요소를 발현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사물적 요소로서 배경은 무대미술과 무용수의 행위적 요소들에 의해서 시공간적 배경이 제시가능하며, 인물설정도 무용수는 그 자체가 1인칭 화자인 동시에 평면적인 인물성격 묘사가 가능하다. 무용의 사건적 요소는 무대미술의 요소들이 1차적인 사건적 동기의 배경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다양한 인간관계로서 독무, 듀엣, 군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으로서 플롯은 무용수의 마임적 행위, 제스처, 얼굴표정 등의 행위소에 의해서 이끌어간다. 무용이 서사를 발현하는 요소는 무용 예술 그 자체가 발현체가 되며, 서사의 전이구조는 무용언어가 갖는 고유의 문법이다. 안무가는 무용의 서사의 담론으로서 인물설정, 인물의 행위, 시공간적 배경을 연출하는 무대미술의 요소들, 플롯의 전개 등으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무용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