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Study on Dance Story-Telling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 김기화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
  • 백현순 (한국체육대학교 생활무용학과)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ysical language of dance art's acceptability of the discourse method of story-telling as a narrative discourse system from the view of story-telling of cultural contents. D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dancers and stage art, can form a discourse system with various literary devices including figures of speech, metaphors, and symbols. The argument over manifestation of dance's narrative components in the concept of story-telling is shown as follows; the background as an object can offer time and spatial backgrounds through stage art and the dancers' performance elements; and, for the character, the dancer himself can be the first-person-narrator and possibly makes plane personality descriptions. As for the elements of main affairs of dance, the stage art components present the background of primary motif of incident and the dancer's diverse relationships form conflicts through the correlation of solo dance, duet, and group dance. The plot as a process of developing the main affair is led by actant such as the dancer's mime action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etc. The element of dance's revealing narration is the dance art itself and the developing structure of narration is the dance language's own grammar. Choreographers should compose persuasive dance texts to convey stories efficiently through character decisions, their actions, stage art's elements that display the time and spatial backgrounds, and the development of plot, as a narrative discourse of dance.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신체적 언어가 서사적 담론체계로서 스토리텔링의 담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와 무대미술의 관계형성을 통해서 비유 은유 상징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로 담론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개념에서 무용의 서사적 구성요소를 발현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사물적 요소로서 배경은 무대미술과 무용수의 행위적 요소들에 의해서 시공간적 배경이 제시가능하며, 인물설정도 무용수는 그 자체가 1인칭 화자인 동시에 평면적인 인물성격 묘사가 가능하다. 무용의 사건적 요소는 무대미술의 요소들이 1차적인 사건적 동기의 배경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다양한 인간관계로서 독무, 듀엣, 군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으로서 플롯은 무용수의 마임적 행위, 제스처, 얼굴표정 등의 행위소에 의해서 이끌어간다. 무용이 서사를 발현하는 요소는 무용 예술 그 자체가 발현체가 되며, 서사의 전이구조는 무용언어가 갖는 고유의 문법이다. 안무가는 무용의 서사의 담론으로서 인물설정, 인물의 행위, 시공간적 배경을 연출하는 무대미술의 요소들, 플롯의 전개 등으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무용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혜실,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다할미디어, pp.10-11, 2007.
  2.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p.1-15, 2003.
  3. 한교경, 한국전통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 서사방법과 구조에 대하여, 미간행, p.23, 2011.
  4. E. 고든 크레이그 지음, 남상식 옮김, 연극예술론, 현대미학사, p.13, 1999.
  5. 한교경, 한국전통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 서사방법과 구조에 대하여, 미간행, pp.24-25, 2011.
  6. 한교경, 한국전통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 서사방법과 구조에 대하여, 미간행, p.26, 2011.
  7. 시모어 채트먼 저,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민음사, p.11, 1995.
  8. 박진, "채트먼의 사사이론", 현대소설연구, 제19호, p.356, 2003.
  9. 박진, "채트먼의 사사이론", 현대소설연구, 제19호, p.357, 2003.
  10.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19, 2003.
  11.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p.20-22, 2003.
  12.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p.25-28, 2003.
  13.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p.29-31, 2003.
  14.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6, 2011.
  15.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p.40-42, 2003.
  16. S. 채트먼 지음, 한용환외 역,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 동국대학교출판부, p.38, 2001.
  17. S. 채트먼 지음, 한용한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p.54, 2003.
  18.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2, 2011.
  19. J. Zelinger, "Semiotics and Theatre Dance in New Directions in Dance," ed. Diana Theodores Taplin (Toronto and New York: Pergamon Press,) p.40, 1979, (김나영, 무용시와 무용극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 1993, 재인용)
  20. J. Zelinger, "Semiotics and Theatre Dance in New Directions in Dance," ed. Diana Theodores Taplin (Toronto and New York: Pergamon Press,) pp.78-79, 1979, (김나영, 무용시와 무용극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 1993, 재인용)
  21.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2, 2011.
  22.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0-31, 2011.
  23. 재클린 스미스 지음, 장정윤.이진수 편저, 무용 구성법, 교학연구사, p.7, 1986.
  24.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64-71, 2011.
  25. 김기화, 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9-4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