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Genealogical Character of Buddhist Dances of Hang Yeon Suk and Lee Mae Bang

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승무의 계통적 성향 연구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8.2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Buddhist dance (seungmu) is a crux and highligh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ts aesthetics and technique are extraordinary, and Korean dance's unique style is well expressed. The Buddhist dance, which has been descended, is divided into Han Yeong Suk style, which i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Asset Number 27, and Lee Mae Bang style. While the two dances are same one, area is difference and they have unique style because of genealogical difference. However, studies on Buddhist dance so far have focused on single style's dance, or comparison of regional aspects (Han Yeong Suk dance is from Gyeonggi and Lee Mae Bang dance is from Honam area). But, Lee Byeong Ok suggested traditional artist dance is differed by male dance genealogy and female dance (gibang) genealogy dance, and while folk dance has storng tie with region, but artist dance has weak regional ti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genealogical character of Buddhist dance's dancing style, clarifying Han Yeong Suk dance is male dance genealogy and Lee Mae Bang dance is gibang dance genealogy. In other words, among three theses that compared Lee Mae Bang and Han Yeong Suk dances, one analyzing movement, one comparing dance of invocation and one comparing traditional ballad, are re-analyzed from genealogical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s are comparatively analzyed. The overall summary of the genealogical attitude of the Han Yeong Suk and Lee Mae Ban dances is; First, Han's dance has masculinity, upwardness, progressiveness, activeness, outgoing character, boldness and grace, which are character of male dance lineage, while Lee's dance shows feminity, downwardness, backwardness, aesthecity, inwardness, delicacy and coquette. Second, the most expressed parts of the attitude of two dances are genealogical character, and then are original and regional characters. Third, two dances have strong genealogical attitude, but also has anti-genealogical attitude since the gender of descendent was changed, in other words Lee Mae Bang was man, and Han Yeong Suk was woman. Fourth, even though the two Buddhist dances have different genealogy and region, they share similarities as traditional dance descended in the same time period, so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In other words, the two dances are Korean nation's dance and from same time period, but they should not be mixed, either. Even though they have small differences, they must keep each genealogy and descend to the next generation.

승무는 대표적으로 중요무형문화재 27호로 지정된 한영숙류와 이매방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두 승무는 같은 춤임에도 불구하고 전승지역이 다르고 계통적 차이 때문에 각기 다른 독특한 형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승무에 관한 연구는 어느 한 계보만의 춤사위 연구나 한영숙춤은 경기(중부류)이며 이매방춤은 호남류라는 지역적 관점에서 비교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었다. 그러나 최근 이병옥에 의해 예인춤에는 재인계통춤과 기방계통춤이 다르다는 설과 민속춤 중에서 민간춤은 지역연고가 강하지만 예인춤은 지역연고가 약하다는 설을 제시하여 학계의 관심이 모아졌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승무의 춤사위에 나타난 계통적 성향을 고찰하여, 한영숙 승무는 재인계통 승무이고 이매방 승무는 기방계통 승무임을 밝히는데 있다. 즉 이매방 승무와 한영숙 승무를 비교한 논문이나 연구실적 중 동작소를 분석한 논문, 승무 염불과장의 춤을 비교한 논문, 타령과장을 비교한 논문 등 3편에 대하여 계통적 관점에서 재분석하여 성향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한영숙류와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승무의 계통적 성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첫째, 한영숙 승무는 재인계통춤의 주된 특성인 남성성, 상향성, 진취성, 역동성, 외향성, 대담성, 기품미를 보이고, 이매방 승무는 기방계통춤의 주된 특징인 여성성, 하향성, 후퇴성, 미동성, 내향성, 소담성, 교태미를 보인다. 둘째, 두 승무의 성향에서 가장 많이 표출되는 부분은 계통적 특징이며, 그 다음은 본성적 특징, 그리고 지역적 특징이 조금 나타났다. 셋째, 두 승무가 계통적인 성향이 크지만, 한편으로는 뒤바뀐 전승자의 성별, 즉 기방계승무는 남장인 이매방이, 재인계 승무는 여자인 한영숙이 전승한 관계로 반계통적 성향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두 승무가 비록 계통성과 지역성이 다를지라도 동시대에 전승된 민족춤으로서의 사실상 유사한 점도 많아 차이점 못지않게 공통점도 간과 할 수 없음도 알 수 있었다. 결국 두 춤은 같은 한국민족의 춤이며, 동시대 춤이다. 그렇다고 혼합 되어서도 안 된다. 미미한 차이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유파를 끝까지 지키면서 전승해야한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