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al

검색결과 943건 처리시간 0.047초

잡곡 유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유기용매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lected Miscellaneous Cereal Grains)

  • 박동화;이승태;전도연;이지영;우미희;김기영;서명철;고지연;우관식;정태욱;곽도연;남민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8
    • /
    • 2014
  • 잡곡류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산 11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얻어 DPPH- 및 ABTS-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황금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cv. Hwanggeumchalsusu), 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cv. Chalsusu) 및 식용피(Echinochloa esculenta)의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잡곡류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획하였을 때, 대부분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이 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황금찰수수의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 유래의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은 지질 과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ferric thiocyanate (FTC)와 thiobarbituric acid (TBA) 방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 유래의 ethyl acetate 분획의 경우, tertiary-butyl hydroperoxide (TBHP) 처리에 의해 HL-60 세포에서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 즉, sub-G1 세포 등장, ${\Delta}{\Psi}m$ 소실,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화, 그리고 PARP와 lamin B의 분해 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가 효율적인 항산화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산화적 손상에 의해 매개되는 에폽토시스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식이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황금찰수수의 혈액응고저해 및 혈전용해 효과 (Anticoagulant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Hwanggeumchal Sorghum In Vitro)

  • 김민수;오인택;전도연;이지영;손호용;곽도연;서명철;우관식;고지연;정태욱;남민희;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60-1470
    • /
    • 2013
  • 잡곡류의 항혈전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산 11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얻어 혈액응고저해활성을 thrombin time (TT)법으로 측정한 결과,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혈액응고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뒤이어 청차조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도 혈액응고저해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획하였을 때, 대부분의 TT-저해활성은 hexane과 methylene chloride 분획에 분포하였으며, 이들 분획의 활성은 동일 농도의 aspirin (최종 농도 480 ${\mu}g/ml$)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의 혈액응고저해활성은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법 및 prothrombin time (PT)법으로도 확인되었다. 이때 APTT-저해활성은 hexane 및 methylene chloride분획에 주로 분포하였으나 PT-저해활성은 hexane 분획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들 분획들의 APTT-저해활성 및 PT-저해활성은 warfarin (최종농도 3.13 mg/ml)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 유래 에탄올 추출물의 TT-저해활성은 열 안정성 및 pH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황금찰수수 유래 에탄올추출물, hexane 분획 및 methylene chloride 분획의 경우는 피브린 응괴를 가용화할 수 있는 피브린용해활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찰수수가 혈액응고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항혈전 식이요법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증진을 위한 유전자 조합 (Effective Combination of Resistance Genes against Rice Bacterial Blight Pathogen)

  • 김기영;신문식;김우재;모영준;남정권;노태환;김보경;고재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4-251
    • /
    • 2009
  •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을 침해하는 K3a 균계를 포함하여 24개의 균주에 대한 단일저항성 유전자와 2개 이상의 주동저항성 유전자가 결합된 계통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 Xa4, xa5 및 Xa7은 K1, K2, K3 균계에 저항성 반응을 보이며 K3a 균계에 대하여 Xa4는 중도저항성, xa5 및 Xa21은 저항성반응을 보였다. 2.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을 침해하는 24개 균주들에 대해 이병성을 보인 유전자는 Xa1, Xa2, xa8, Xa10, Xa11 및 xa13이었고, 저항성을 보인 유전자는 Xa4, xa5 및 Xa21이었다. Xa7 유전자는 반복친의 유전적 배경에 따라서 저항성 반응이 달랐다. 3. Xa4+xa5, Xa4+xa13, Xa4+Xa21, xa5+xa13, xa5+Xa21, xa13+Xa21, Xa4+xa5+xa13, Xa4+xa5+Xa21, Xa4+xa13+Xa21, xa5+xa13+Xa21, Xa4+xa5+xa13+Xa21 및 Xa3+xa5 등 2개 이상의 단일 주동 저항성 유전자가 결합되었을 때 K1, K2, K3 균계 및 Xa3 유전자를 침해하는 24개의 균주들에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4. Xa3 및 xa13 유전자는 24개의 균주들에 이병성을 보이지만 xa5, Xa4, Xa21 유전자와 결합되었을 때 단일저항성이 증가되었고, 중도저항성 반응을 보이는 Xa4 유전자는 xa5, Xa21 유전자와 결합되었을 때 고도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농가실천 친환경 벼재배 논의 토양특성 및 시비추천량 (Establishment on Fertilizer Recommend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Rice Paddy with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 양창휴;안승현;김택겸;김선;백남현;최원영;이장희;정재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7-352
    • /
    • 2011
  • 친환경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등 화학 투입제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자원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여 지역자원과 환경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으로 일정한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 친환경 농업지구 논 토양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여 토양관리 기준을 설정코자 2007년도에 충남, 전북, 전남지역에서 쌀겨농법 2지구, 쌀겨+왕우렁이농법 8지구, 왕우렁이농법 5지구, 오리농법 3지구로 총 18지구를 선정하여 친환경 농법별 토양화학성을 분석하고 농가설문 및 토양물리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물리성중 토양경도는 관행농법보다 낮았으며 특히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토양경도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또한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화학성 중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낮았으며 친환경농법 중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작물별 시비처방 기준에 따라 토양 양분 부족분에 대한 시비량 ($N-P_2O_5-K_2O$)을 계산한 결과 쌀겨농법에서는 $83-49-30kg\;ha^{-1}$, 쌀겨+왕우렁이 농법 $77-48-30kg\;ha^{-1}$, 왕우렁이농법 $84-42-33kg\;ha^{-1}$, 오리농법 $86-36-34kg\;ha^{-1}$로 나타났다.

하해혼성 평야지 논토양에서 유기물 장기 연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Annual Dressing of Organic Matt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itrogen Uptake in the Paddy Soil of Fluvio-Marine Deposit)

  • 양창휴;정지호;김택겸;김선;백남현;최원영;김영두;정원교;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81-986
    • /
    • 2010
  • 본 연구는 비료 및 유기자원을 30년 연용한 전북통 (미사질양토) 논토양에서 수행하였다. 관행 (NPK), NPK+볏짚, NPK+볏짚퇴비와 질소 시비수준을 0, 100, 150, 200, 250 kg $ha^{-1}$로 처리하였으며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및 유기탄소 함량, 토양과 식물체의 질소 흡수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행구 (NPK)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에서 토양경도는 15.7 mm에서 12.5 mm로, 용적밀도는 1.381 Mg $m^{-3}$에서 1.244 Mg $m^{-3}$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볏짚퇴비 시용에 따른 물리성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관행구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에서 유효인산 함량은 96 mg $kg^{-1}$에서 133 mg $kg^{-1}$으로, 유효규산 함량은 81 mg $kg^{-1}$에서 116 mg $kg^{-1}$로 유의하게 많아졌고 CEC는 9.8 $cmol_c\;kg^{-1}$ 에서 11.4 $cmol_c\;kg^{-1}$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볏짚퇴비 시용에 따른 화학성 개량효과가 인정되었다. 토양유기탄소 함량은 처리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토양깊이 0~7.5 cm에서는 관행구에 비하여 NPK+볏짚구, NPK+볏짚퇴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시비 질소흡수량은 관행구 (질소 시비수준 100 kg $ha^{-1}$)에 비하여 NPK+볏짚구 (질소 시비수준 250 kg $ha^{-1}$) 및 NPK+볏짚퇴비구 (질소 시비수준 200, 250 kg $ha^{-1}$)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질소이용률은 관행구 (질소 시비수준 100 kg $ha^{-1}$)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 (질소 시비수준 100, 150 kg $ha^{-1}$)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논토양에서 유기자원 시용은 물리성 개선 및 비옥도를 향상시켜 벼의 시비질소흡수량 증가로 질소이용률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Incorpor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Soil Fertility Improvement in Paddy Field)

  • 양창휴;유진희;김택겸;이상복;김재덕;백남현;김선;최원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71-378
    • /
    • 2009
  • 본 시험은 벼 재배시 녹비작물로 녹비용 보리의 투입효과를 구명하여 호밀 대체 가능성을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호밀은 출수기, 녹비용 보리는 출수기, 출수 후 3일 및 출수 후 10일에 경운로타리 작업을 하고 담수시켜 부숙을 촉진한 다음 녹비작물 무시용구는 표준시비, 녹비작물 시용구는 토양검정시비 및 무시비 하여 동진 1호를 재배 후 토양물리화학성, 녹비작물 부숙정도,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 투입시기별 생체중은 각각 10a당 2,715, 2,352, 2,867 kg이였고 건물중에 있어서 총질소 함량은 1.31, 1.46, 1.38%이었으며 탄질률은 33.4, 28.7, 34.6이였다. 녹비작물 투입으로 작토심이 깊어졌고 토양경도와 용적밀도가 낮아졌으며 공극률이 증가하여 물리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시험 전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환원으로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아졌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쌀 수량은 관행($559kg\;10a^{-1}$)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토양검정진단시비구에서 3~9% 증수되었으며, 현미 외관품위 중 완전립비율은 관행(73.0%)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투입시 73.6~78.7%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녹비용 보리를 출수 후 10일경 투입하여 벼 재배시 질소비료 절감과 지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of Maize, Low Tannin Sorghum, Pearl Millet and Finger Millet in Caecectomized Roosters

  • Vasan, P.;Mandal, A.B.;Dutta, Narayan;Maiti, S.K.;Sharm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701-706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arent and true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of maize, low tannin sorghum, pearl millet and finger millet in adult caecectomized cockerels. Adult cockerels (n = 60), 25-weeks old, were used in this study of which 30 birds were caecectomized as per a standard method. Th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of sorghum were not affected by caecectomy, but were higher for maize, finger millet and pearl millet in caecectomized cockerels. Caecectomy had no influence on the true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of maize, but higher digestibilities were observed for most of the amino acids of sorghum and finger millet in caecectomized cockerels. Caecectomy lowered the true digestibility of cystine, threonine and serine of pearl millet. Th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of maize, finger millet and pearl millet were underestimated in intact cockerels. The true digestibilities of most of the amino acids of sorghum and finger millet were underestimated, while those of cystine, threonine and serine of pearl millet were overestimated in intact cockerel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mino acid digestibility values of cereal grains determined using caecectomized cockerels might be appropriate and reliable for poultry diet formulations. Moreover, the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of finger millet were inferior to other cereal grains, while those of pearl millet were comparable to maize and sorghum.

섬유소가 풍부한 곡분으로 만든 머핀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Made with Various Cereal Powders in Dietary Fiber)

  • 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8-8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cereals rich in dietary fiber by substituting brown rice, barley, oat and goami powder for flour in making muffins. All cereals powder was prepared by grinding for 15 min. The appropriate water quantity for cereal powders muffins was set at 105 mL. The volume index of the flour muffins was 132 mL, while that of cereal powders muffins was 117 mL for broun rice muffins, 118 mL for barley muffins, 132 mL for oat muffins and 119 mL for respectively for goami powder muffins. The hardness of the flour muffins, measured by a texture analyzer, was $2.03{\times}10^3\;g/cm^2$, and the other powder muffins were $3.27{\times}10^3\;g/cm^2$ for broun rice muffins, $3.33{\times}10^3\;g/cm^2$ for barley muffins, $2.38{\times}10^3\;g/cm^2$ for oat muffins, and $2.33{\times}10^3\;g/cm^2$ for goami powder muffins respectively. The L-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goami powder muff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uffin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oat powder muffins.

마이크로파 비파괴 계측기술을 이용한 곡류의 유전율 측정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of Cereal Grains by Nondestructive Microwave Measurement Technique)

  • 김기복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9-376
    • /
    • 2002
  • 마이크로파 자유공간전송기법을 이용하여 생물자원인 곡류의 유전특성을 비파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이크로파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혼 안테나, 샘플홀더, network analyzer 를 이용하여 9.5 GHz에서의 마이크로파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여러 가지 수분함량에서 산물밀도가 서로 다른 시료를 투과하여 나오는 마이크로파의 감쇠와 위상 변이로부터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은 샘플홀더 내에 충진되는 시료의 수분함량과 산물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과 산물밀도의 팝으로 표시되는 수분밀도를 이용할 경우 산물밀도와 시료 품종의 변이를 보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곡물의 에너지 함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in Cereal)

  • 김은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50-58
    • /
    • 199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d the metabolizable energy of cereal by the different method. Raw or cooked cereal foods were freeze-dried and fed to Sprague Dawley rat with 200-300g body weight to measur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AME) values and nitrogen-corrected AME(AMEn) values for four days after three days of preliminary period for adaptation to the diets. The AME values of Karaeddok, raw rice, cooked rice, raw brown rice, raw glutinous rice, cooked glutinous rice, raw barley and cooked barley applerared 4516.1, 3380.6, 4072.2, 3457.0, 4448.0, 2929.4 and 3780.2kcal/kg dry matter, respectively. The AMEn values of karaeddok, raw rice, cooked rice, raw brown rice, cooked brown rice, raw glutinous rice, cooked glutinous rice, raw barley and cooked barley appeared 4421.5, 3349.6, 4160.0, 3918.7, 4039.3, 3572.0, 4552.5, 3009.9 and 3873.4kcal/kg dry matter, respectively. A sligh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the AME values of the cereals measured in present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energy values calculated by various conversion parameters such as Atwater's, Rubner's, Sochun's adn FAO's, indicating that the latter energy values by all conversion factors are acceptabel for several cere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