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based assay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7초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분획물이 위장보호에 미치는 효능 평가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 한소희;황정근;박수남;이길홍;고강일;김기수;김기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4-89
    • /
    • 2005
  • 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 추출물에 대한 위장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민들레를 ethanol로 추출한 후 methylene chloride과 n-butanol을 이용하여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출물을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얻었다. 이들 분획물로 총플라보노이드 및 luteolin 함량을 측정하고 H. pylori 항균작용, urease 저해 효과, 프리라디칼소거작용, 세포막 보호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luteolin 함량을 측정을 한 결과 n-butanol 분획에서 각각 27.75%, 1.14%로 다른 분획들보다 2가지 성분 모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효능 시험에서도 n-butanol 분획은 위장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 중 하나인 H. pylori에 대한 항균 및 urease 저해 시험에서 다른 분획물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위장 장애의 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라디칼의 소거 작용 및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막 보호에 대한 각 분획물의 시험에서도 n-butanol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칼소거능의 $SC_{50}$ 값은 $47{\mu}g/ml$, 세포막 보호실험에서 ${\tau}_{50}$=172min$(C=5.0{\mu}g/mL)$이었다. 따라서 각 분획물의 성분 분석과 수행되어진 효능 실험 결과들을 비교하여 볼 때 민들레 추출물의 n-butanol 분획물이 위점막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위장 보호를 위한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mAbs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 Kim, Soseul;Hong, Jeong Won;Cho, Woon-Dong;Moon, Yoo Ri;Yoon, Sang Soon;Kim, Min-Young;Hong, Kwon Pyo;Lee, Yong-Moon;Yi, Jae Hyuk;Ham, Young Jun;Rah, Hyung Chul;Kim, Seung Ryul;Song, Hyung Geun
    • IMMUNE NETWORK
    • /
    • 제14권3호
    • /
    • pp.164-170
    • /
    • 2014
  • JL1, a specific epitope on CD43, is a potential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acute leukemia. Although qualitative assays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exi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quantitative assays for the same. Here, we developed two novel monoclonal antibodies (mAbs), 2C8 and 8E10,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These clones are capable of pairing with YG5, another mAb against JL1 epitope, because they were selectively obtained using sandwich ELISA. Antigens recognized by 2C8 and 8E10 were confirmed as CD43 by western blotting using the CD43-hFC recombinant protein. When expression on various leukemic cell lines was investigated, 2C8 and 8E10 displayed a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epitope. Enzyme assays revealed that these mAbs recognized a sialic acid-dependent epitope on CD43. Using normal thymus and lymph node paraffin-embedded tissues, we confirmed a difference in the epitopes recognized by the two mAbs that was predicted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cells in the tissue. In summary, w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two mAbs, 2C8 and 8E10, which can be used with YG5 in a sandwich ELISA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배양된 HeLa 세포에서 고농도의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및 타목시펜의 세포증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Estrogen, Progesterone and Tamoxifen on Proliferation of HeLa in Culture)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46-1751
    • /
    • 2011
  • 이 연구는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및 타목시펜의 각각 다른 농도와 처리기간에 따라 배양된 사람 난소유래암세포주인 HeLa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MTT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에스트로겐은 2.5~6일의 처리기간 동안 $1{\mu}g$/ml의 농도까지는 세포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더 높은 $10{\mu}g$/ml의 농도에서는 처리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현저하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다. 또한 $10{\mu}g$/ml 농도 이상의 프로게스테론을 2.5일 동안 처리할 경우 HeLa 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였으며, 4일 동안 처리시에는 농도-의존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6일 동안 더 장기간의 프로게스테론 처리는 4일 동안의 처리기간에서 관찰된 세포증식에 대한 농도-의존성 억제효과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타목시펜은 HeLa 세포주의 증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위하여 에스트로겐 보다 더 높은 농도($100{\mu}g$/ml)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의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그리고 타목시펜이 HeLa 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농도 및 처리기간 또한 세포증식에 대한 억제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노랑머리왕지네의 유전학적(遺傳學的) 분석(分析) 및 약침액(藥鍼液)의 세포독성(細胞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Genetic Analysis and Extract Cytotoxicity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ltilans L. Koch)

  • 김성남;임정아;이성용;황우준;이건목;조남근;서정철;문형철;김성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65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cleotide sequence and extract cytotoxicity of Scolopendrae corpus. The nature and taste of Scolopendrae corpus is hot, Warm and toxic, and the effect of this is dispelling wind, anti-spasmodic action and detoxication so it has been used for C.V.A, facial palsy, sensory disorder at extremities, wounds and arthritis. Methods : Scolopendrae corpus were collected by locality on the market. They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Their nucleotide sequenc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among them. In addition, the water-alcohol extract cytotoxicity of them was studied by MTT-based cytotoxicity assay. Results : It was shown that the each Scolopendrae corpus by locality is almost identical at genetic result and is identified as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Nucleotide sequence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in this study will help to discriminate other species of Scolopendrae corpus. The water-alcohol extract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did not induce cytotoxicity on Hep G2, L929 cell and peritoneal macrophages. Besides, it did not influence nitrite produc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genetic discrimination with another species of scolopendrae corpus.

LPS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염증 보호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talonia binghamiae on neuro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 박재현;김성훈;이선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25-31
    • /
    • 2017
  •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에 의한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미역쇠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를 처리한 BV2 세포에서 미역쇠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LPS의 처리는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과 이들을 조절하는 iNOS, COX-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미역쇠 추출물의 처리는 LPS가 유도하는 NO의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NO 생성량 저해와 유사한 양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 염증반응 저해 효과가 $NF-{\kappa}B$의 활성화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F-{\kappa}B$의 핵으로의 전이, $I{\kappa}B$의 인산화, $NF-{\kappa}B$ 억제제인 PDTC를 이용한 NO의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역쇠 추출물 처리에 의해 핵분획물에서의 $NF-{\kappa}B$ 발현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I{\kappa}B$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DTC의 처리로 NO의 생성량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역쇠 추출물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신경염증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역쇠 추출물이 신경염증 관련 뇌신경 질환의 제어하는데 있어서 치료효과를 가지는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바닐로이드 수용체 TRPV1의 막수송과정에서의 Rab11의 역할 (Role of Rab11 on Membrane Trafficking of Rat Vanilloid Receptor, TRPV1)

  • 엄기범;이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96-3102
    • /
    • 2011
  • 바닐로이드 수용체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은 캡사이신, pH, 열 등의 통증 유발물질에 의해 활성화되는 비특이적 양이온 채널로서 통증발현에 핵심적인 막 단백질이다. TRPV1의 막 수송에 관한 연구가 미미한 가운데 FIP3(family of Rab11 interacting protein 3)가 TRPV1 채널과 결합하여 막수송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FIP3는 Rab11과 결합하는 단백질인데 최근 Rab11 단백질이 여러 채널 단백질의 막수송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중요하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ab11이 TRPV1의 막 수송에서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생물학적, 생화학적으로 알아보았다. 공촛점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Rab11은 실제로 세포내에서 TRPV1과 동일한 위치에서 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생화학적인 방법인 GST-pulldown을 실시하였을 때 TRPV1과 Rab11간에는 서로 직접적인 결합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직접적인 결합은 하지 않지만 Rab11이 TRPV1의 막 수송에 관여한다고 가정하고 Rab11의 TRPV1의 막수송에서의 역할을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내 Rab11a의 발현을 siRNA를 사용하여 Rab11a의 발현을 50%수준으로 저해한 후 TRPV1의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알아본 결과 Rab11 발현 저해 시 세포막에 이동된 TRPV1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Rab11이 아마도 FIP3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TRPV1의 막 수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GI-1120과 차가버섯의 $NF-{\kappa}B$ 활성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 (Downregulatory Effect of AGI-1120 $({\alpha}-Glucosidase Inhibitor)$ an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Cellular $NF-{\kappa}B$ Activ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송희순;이영종;김승균;문원국;김동우;김영식;문기영
    • 생약학회지
    • /
    • 제35권1호통권136호
    • /
    • pp.92-97
    • /
    • 2004
  • Effect of AGI $({\alpha}-Glucosidase\;Inhibitor)-1120$, pine (Pinus densiflora) bark extract an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s on cellular $NF-{\kappa}B$ activation in malignant human keratinocytes (SCC-13) were evaluated to elucidate the possible correlation of $NF-{\kappa}B$ with antioxidant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natural products were examined in three different evaluation methods, i.e., lipid peroxidation value (POV) evaluation test,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test. In a cell-based $NF-{\kappa}B$ monitoring assay systern, all samples revealed the downregulatory profiles on the cellular $NF-{\kappa}B$ activity. AGI -1120 (1, 2 mg) and Chaga mushroom extract (0.05, 0.1 mg) downregulated the $NF-{\kappa}B$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 (5 m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F-{\kappa}B$ activity (p<0.05). Although AGI-1120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 exhibited no antioxidant activities evaluated in pay, Chaga mushroom extract showed antioxida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0.05{\sim}1$ mg. While AGI-1120 and Chaga mushroom extract possessed a relatively potentia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O scavenging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SC_{50}:47\;{mu}g)$ was higher than the known antioxidant, vitamin C $(SC_{50}:77\;{mu}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I-1120 and Chaga mushroom- and Chaga mushroom mycelium extracts may serve as an useful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gents with $NF-{\kappa}B$ inhibitory effect in human skin.

Remifentanil Protects Human Keratinocyte Through Autophagic Expression

  • Kim, Eok Nyun;Park, Chang Hoon;Woo, Mi Na;Yoon, Ji Young;Park, Bong Soo;Kim, Yong Ho;Kim, Cheul Hong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6
    • /
    • 2014
  • Background: Remifentanil, an ultra-short-acting mu-opioid receptor agonist, is unique from other opioids because of its esterase-based metabolism, minimal accumulation, and very rapid onset and offset of clinical action. Remifentanil can prevent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can suppres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a septic mouse model. However, the effects of remifentanil on human keratinocyte and autophagy have yet to be fully elucidated during hypoxia-reoxygenation.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remifentanil confers protective effect against hypoxia-reoxygenation in human keratinocyte and, if so, whether autophagy mediates this effect. Methods: The human keratinocytes were cultured under 1% oxygen tension. The cells were gassed with 94% $N_2$, and 5% $CO_2$ and incubated for 24 h at $37^{\circ}C$. To determine whether the administration of affects human keratinocytes hypoxia-reoxygenation injury, cells were then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remifentanil (0.01, 0.1, 0.5 and 1 ng/ml) for 2 h. After remifentanil treatment, to simulate reoxygenation and recovery, the cells were reoxygenated for 12 h at $37^{\circ}C$.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remifentanil treatment. Normoxia group did not receive hypoxia and remifentanil treatment for 36 h. 3-MA group was treated 3-methyladenine (3-MA) for 1h before remifentanil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 quantitative colorimetric assay with MTT, showing the mitochondrial activity of living cells. Cells were stained with fluorescence and analyz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to find out any relations with activation of autophagy. Results: Prominent accumulation of autophagic specific staining MDC was observed around the nuclei in RPT group HaCaT cells. Similarly, AO staining, red fluorescent spots appeared in RPT group HaCaT cells, while the Normoxia, control and 3-MA groups showed mainly green cytoplasmic fluorescence. We here examined activation of autophagy related protein under H/R-induced cells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Atg5, Beclin-1, LC3-II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form II) and p62 was elevated in RPT group cells. But they were decreased when autophagy was suppressed by 3-MA (Fig. 5). Conclusions: Alth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an in vitro interpretation, we suggest that remifentanil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in the recovery of wound from hypoxia-reoxygenation injury.

황칠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이 마우스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ddition on Chungkukjang on Immune Response of Mice)

  • 김진솔;정민주;정경아;송선영;이현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30-438
    • /
    • 2019
  • 본 연구는 황칠추출물과 청국장의 기능성 강화를 위해 황칠추출물이 첨가된 청국장의 면역 활성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황칠추출물 250, 500, 750 mg/kg 투여군, 청국장 400 mg/kg 투여군, 청국장 400 mg/kg에 황칠추출물 500 mg/kg을 첨가한 투여군으로 나누어 9주간 마우스에 경구 투여 한 후 체중 및 장기무게, 항체 생산 세포 수, 혈청 면역글로불린의 농도를 측정하고 지라의 조직을 검사하였다. 황칠추출물과 황칠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의 투여가 수컷 마우스의 체중과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투여군에서 체중과 각 장기의 무게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적혈구에 대한 항체 생산 세포 수 측정에서는 황칠추출물 250 mg/kg과 5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림프구은 황칠추출물 500 mg/kg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황칠추출물 500 mg/kg을 첨가한 청국장 400 mg/k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IgG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지라 조직 검사결과 백색수질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추출물의 영향으로 황칠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이 생체 내 면역기능 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향후 다양한 기능성식품 개발 가능성과 면역증진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석류추출물의 항산화와 MMPs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액정 유화물에서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MMPs Protein Expression Inhibitive Effect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and Its Stabilization with Liquid Crystal Emulsion)

  • 노진선;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4-1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석류추출물의 기능성 활성 검증 및 화장품 개발을 위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60.6%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ug/ml의 농도에서 93.9%의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elastase 억제 활성과 collagenase 억제 활성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30%와 47.2%의 억제 활성을 보였다. 석류추출물이 섬유아세포(CCD-986sk)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MTT법으로 세포 생존성을 측정한 결과, 500 ㎍/ml 이하의 농도에서 130% 이상의 생존율이 확인됐다. 석류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23.2%, 81.9%, 69.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석류추출물이 0.1% (w/v)의 농도로 함유된 O/W 액정크림을 제조하여 4, 25, 45, 50℃에서 pH, 시간에 따른 변화, 온도별 안정성 등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1개월간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류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