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temperature

검색결과 4,491건 처리시간 0.041초

집속 회전형 X-선원과 이차원 검출기를 이용한 광물의 실시간 상전이 연구 (In-situ Phase Transition Study of Minerals using Micro-focusing Rotating-anode X-ray and 2-Dimensional Area Detector)

  • 성동훈;이용문;이용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2호
    • /
    • pp.79-88
    • /
    • 2012
  • 최근 개발된 상용 X-선원들은 기존 선원들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증가된 휘도와 집속율을 보임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연구실 규모의 분말회절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개선된 소프트웨어 및 시료환경 장치와 더불어 2차원 검출기의 성능향상은 다양한 온도, 압력하에서의 상전이 현상 및 이온교환 반응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실시간 및 시간분해 회절실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 나트로라이트의 이온교환 특성에 관한 실시간 측정, (2) 이온교환된 나트로라이트의 탈수 및 열팽창 특성에 관한 실시간 측정, (3) 이온교환된 나트로라이트의 정수압(靜水壓) 하에서의 상전이 현상의 관찰 등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측정된 회절자료의 양과 품질은 각 반응의 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된 자료의 리트벨트 분석을 통해 구조해석까지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개별 연구실 기반 실시간 회절분석 연구는 추후 연관되어 수행될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보다 특화된 실험에 대한 사전 예측성을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bakkenolide B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Bakkenolide B from the Leaves of Petasites japonicus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정헌;김용민;정헌식;최영환;이경필;임동순;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7-172
    • /
    • 2014
  • 머위(Petasites japonicus) 잎에서 알레르기성 천식 억제 효능이 있는 bakkenolide B의 최적 추출공정을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Box-Behnken design에 따라 설정한 추출온도(80, 100, $120^{\circ}C$), 추출시간(30, 45, 60 min) 및 추출용매의 pH (5, 7, 9)를 독립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bakkenolide B의 함량과 항알러지의 측정지표인 비만세포의 탈과립반응 억제효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akkenolide B의 추출함량은 추출온도, 시간, pH의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추출온도 $127.1^{\circ}C$, 시간 46.6분, 추출용매의 pH 7.7에서 최대치 121.6 ${\mu}g/g$이 예측되었다. 비만세포의 탈과립반응 억제효과의 회귀분석 결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저수온기 양식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간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liver in cultured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in low temperature season)

  • 최혜승;허민도;이무근;최희정;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조피볼락의 간의 육안적 색조에 따른 병리조직학적 소견 및 혈액학적 소견에 근거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조피볼락 총 47개체 모두 외부 소견에서는 특기할 이상 소견이 없었으나, 간은 육안적으로 정상간 (42.55%), 황간 (25.53%), 갈변 위축간 (25.53%), 녹간 (4.26%) 및 지방간 (2.13%) 순으로 나타났다. 간의 육안적 소견에 따른 조피볼락의 간의 조직 소견 관찰시, 정상 간 개체는 HE 염색 시 간세포가 밝게 염색되며, 소엽구조가 불명확하게 관찰되었으나, 황간 개체는 황갈색의 과립이 간세포 및 MMC 내에 관찰되었으며, 간세포는 정상 간 개체에 비해 크기가 위축되어 세포질이 짙은 호산성으로 관찰되며, 세포질 내에 핵과 유사한 크기의 황갈색 초자적이 한 개 이상 관찰되었다. 한편, 녹간 개체는 정상 간 개체에 비해 간세포 크기가 위축으로 관찰되며, HE 염색 시 황갈색과 녹색의 초자적이 간세포 및 MMC 내에 관찰되었으며, 담즙색소 동정을 위한 Stein 염색에서 간세포질 내에서 담즙색소로 추정되는 녹색의 초자적이 관찰되었다. 갈변 위축 간 개체는 간세포의 용적이 줄어들어, 중심정맥 및 동양 모세혈관의 이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갈변 위축 간이 육안적으로 갈색으로 관찰되나 광학현미경적 관찰결과 간세포질 내에 색소과립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세포의 경계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간 개체는 지방 소적의 축적으로 간세포에 다양한 크기의 둥근 지방 공포가 광범위하게 관찰되었으며, 지방소적으로 인해서 팽창된 간세포가 관찰되거나, 간세포핵의 변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의 육안적 관찰 및 조직학적 관찰 결과가 어체의 임상 질병으로 실질적인 발현을 진행하기 전에 중요한 건강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장방법이 고등어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Filleted Mackerel Products)

  • 조길석;김현구;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2
    • /
    • 1988
  • 포장방법이 고등어 fillet계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를 무염 및 염장처리한 후 $CO_2$ gas치환포장, 진공포장 및 대조구로 하여 $0^{\circ}C$$5^{\circ}C$에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염장 고등어 fillet의 제조의 경우, 시료 육에 침투한 적정 염농도를 4%내외로 하였을 때 적정 식염수의 농도는 15%였고 염장기간은 24시간 내외였다. 무염 및 염장 고등어 fillet의 VBN, TMA, 생균수, Histamine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 하였으나 TBA값은 저장 $4{\sim}9$일 경에 최고값에 달한 후 곧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고등어 fillet의 품질 유효 지표성분은 VBN이였고 그 함량의 상한선은 25mg%였다. 온도별, 포장별 간이 품질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0^{\circ}C$에 저장한 무염처리 고등어 fillet의 $CO_2$ gas 치환포장, 진공포장 및 대조구의 경우, 저장 가능기간은 25, 22및 16일 이었으며, $5^{\circ}C$의 경우는 19, 14및 12일 이었다. 또한 염장한 고등어 fillet을 $5^{\circ}C$에 저장할 경우는 각각 29, 27 및 18일 이었다.

  • PD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Shock Patients from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 Jung, Pil Young;Yu, Byungchul;Park, Chan-Yong;Chang, Sung Wook;Kim, O Hyun;Kim, Maru;Kwon, Junsik;Lee, Gil Jae;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KST) Clinical Research Group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3권1호
    • /
    • pp.1-12
    • /
    • 2020
  • Purpose: Despite recent developments in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in South Korea, a standardized system and guideline for trauma treatment are absent. Methods: Five guidelines were assessed using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instrument. Results: Restrictive volume replacement must be used for patients experiencing shock from trauma until hemostasis is achieved (1B). The target systolic pressure for fluid resuscitation should be 80-90 mmHg in hypovolemic shock patients (1C). For patients with head trauma, the target pressure for fluid resuscitation should be 100-110 mmHg (2C). Isotonic crystalloid fluid is recommended for initially treating traumatic hypovolemic shock patients (1A). Hypothermia should be prevented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 and if hypothermia occurs, the body temperature should be increased without delay (1B). Acidemia must be corrected with an appropriate means of treatment for hypovolemic trauma patients (1B). When a large amount of transfusion is required for trauma patients in hypovolemic shock, a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MTP) should be used (1B). The decision to implement MTP should be made based on hemodynamic status and initial responses to fluid resuscitation, not only the patient's initial condition (1B). The ratio of plasma to red blood cell concentration should be at least 1:2 for trauma patients requiring massive transfusion (1B). When a trauma patient is in life-threatening hypovolemic shock, vasopressors can be administered in addition to fluids and blood products (1B). Early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is recommended in trauma patients who are actively bleeding or at high risk of hemorrhage (1B). For hypovolemic patients with coagulopathy non-responsive to primary therapy, the use of fibrinogen concentrate, cryoprecipitate, or recombinant factor VIIa can be considered (2C). Conclusions: This research presents Korea's firs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atients with traumatic shock. This guideline will be revised with updated research every 5 years.

케피어그레인으로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Enterococcus faecalis OA18 균주의 분리 및 특성규명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nithine-Producing Enterococcus faecalis OA18 from Kefir Grain)

  • 유진주;김수곤;서경원;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8-224
    • /
    • 2011
  • 케피어그레인을 이용하여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젖산균 OA18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구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균주는 MRS 배지에서 $30-37^{\circ}C$ 온도 범위와 pH 7.0-9.0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7^{\circ}C$와 pH 7.0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은 리보오스, D-글루코오스, cellobiose, D-trehalose 등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L-xylose, D-melibiose, inositol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OA18 균주는 유전자은행(NCBI)에 등재되어 있는 Enterococcus faecalis (AB012212)의 염기서열과 99.8%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Enterococcus faecalis OA18로 명명하였다. E. faecalis OA18균주는 오르니틴 생성능력과 Streptomyces coelicolor subsp. Flavus, S. coeruleorubidus, S. coeruleoaurantiacus, S. coelicolor, S. coeruleoprunus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0-7% NaCl을 함유하는 MRS 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새우젓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HLJ59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 전춘표;김윤회;이중복;조민섭;신기선;최충식;권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4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김치류 및 젓갈류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한 선택배지로서 bromocresol purple (BCP)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젖산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된 젖산균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14869^T$와 99.7%의 유사도를 나타냄에 따라 L. brevis HLJ59로 명명하였다. L. brevis HLJ59는 내산성의 경우 pH가 2.0, 3.0으로 보정된 DeMan Rogosa Sharpe 액체배지에서 접종 후 각각 90분, 30분이 경과하였을 때 배양초기와 비교 시 약 99%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담즙산(Bile extract)의 경우 1% 첨가 시에도 생육에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L. brevis HLJ59 균주는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의 경우 20종의 항생제를 paper disc법으로 조사한 결과 본 균주는 cephalosporin계의 cefoxatin (30 ${\mu}g$), ceftnaxone (30 ${\mu}g$), penicillin계의 penicillin (10 units), quinolones계 cprofloxacin (5 ${\mu}g$), nalidixic acid (30 ${\mu}g$), lincosamid계의 lincomycin (2 ${\mu}g$) 및 기타 chloramphenicol (30 ${\mu}g$)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후면 형상에 따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후면전계 형성 및 특성 (Back Surface Field Properties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for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 김현호;김성탁;박성은;송주용;김영도;탁성주;권순우;윤세왕;손창식;김동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43-249
    • /
    • 2011
  •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silicon wafers have become thinner. In relation to this, the properties of the aluminium-back surface field (Al-BSF) ar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solar cell performance. Generally, screen-printing and a rapid thermal process (RTP) are utilized together to form the Al-BSF. This study evaluates Al-BSF formation on a (111) textured back surface compared with a (100) flat back surface with variation of ramp up rates from 18 to $89^{\circ}C$/s for the RTP annealing conditions. To make different back surface morphologies, one side texturing using a silicon nitride film and double side texturing were carried out. After aluminium screen-printing, Al-BSF formed according to the RTP annealing conditions. A metal etching process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quality of Al-BSF. Saturation currents were calculated by using quasi-steady-state photoconductance. The surface morphologie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 non-contacting optical profiler. Also, sheet resistances and bulk carrier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a 4-point probe and hall measurement system. From the results, a faster ramp up during Al-BSF formation yielded better quality than a slower ramp up process due to temperature uniformity of silicon and the aluminium surface. Also, in the Al-BSF formation process, the (111) textured back surfac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amp up rates compared with the (100) flat back surface.

RF 마그네트론 코스퍼터링을 이용한 Si3N4 매트릭스 내부의 실리콘 양자점 제조연구 (Fabrication of Silicon Quantum Dots in Si3N4 Matrix Using RF Magnetron Co-Sputtering)

  • 하린;김신호;이현주;박영빈;이정철;배종성;김양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606-610
    • /
    • 2010
  • Films consisting of a silicon quantum dot superlattice were fabricated by alternating deposition of silicon rich silicon nitride and $Si_3N_4$ layers using an rf magnetron co-sputtering system. In order to use the silicon quantum dot super lattice structure for third generation multi junction solar cell applications,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dot size. Moreover, silicon quantum dots have to be in a regularly spaced array in the dielectric matrix material for in order to allow for effective carrier transport. In this study, therefore, we fabricated silicon quantum dot superlattice film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investigated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silicon quantum dot super lattice structur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a showed an increased intensity of the $840\;cm^{-1}$ peak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 bonds. A more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this process is the increased intensity of the $1100\;cm^{-1}$ peak. This peak was attributed to annealing induced reordering in the films that led to increased Si-$N_4$ bond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alysis showed that peak position was shifted to higher bonding energy as silicon 2p bonding energy changed. This transition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ilicon quantum do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analysis also confirmed the formation of silicon quantum dots. This study revealed that post annealing at $1100^{\circ}C$ for at least one hour is necessary to precipitate the silicon quantum dots in the $SiN_x$ matrix.

백서 좌골신경에 시행한 박동성 고주파술 (Pulsed Radiofrequency)이 급성 통증과 신경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Analgesic Effect and Its Neuropathologic Changes of Pulsed Radiofrequency Lesions in the Sciatic Nerve of the Rat)

  • 이기헌;신근만;권경석;정배희;임소영;홍순용;최영희;박영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2호
    • /
    • pp.149-155
    • /
    • 2000
  • Background: Pulsed radiofrequency (RF) lesioning is a painless procedure and causes no neurodestruction and neuritis-like reaction are common following conventional RF lesioning. There is little data about the effect of pulsed RF especially with regard to its suitability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 The possibility of a placebo effect cannot be ruled out because a double-blind study was not performed in previous studies. There is also no neuropathologic study about pulsed RF. Methods: The rats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40 mg/kg, i.p.; supplemented as necessary). The common sciatic nerve was exposed by blunt dissection through biceps femoris. Pulsed RF was administered to the common sciatic nerve using a 30 ms/s pulse with for 120 seconds. The temperature reached was no more than $42^{\circ}C$. Analgesia was determined using hot-plate assay shortly and, 3 days and 1 week before, and 2 weeks after operation. Lesions were examined with LM (light microscope) and EM (electron microscope) 2 weeks later.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ponse latenci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many vacuoles with hyaline bodies in the Schwann cell cytoplasm rather than axon in LM and larger electron dense bodies. No changes were found in the axon or unmyelinated fibers. Only small changes were found in the sheaths of myelinated fibers and Schwann cells. Conclusions: We therefore do think that any analgesic effect of pulsed RF is not a result of block of neural conduction. But rather than it can be attributed to others factors. It was also ineffective as a treatment for acute pain such as that caused by the hot-plate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