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융합인재교육 방안 탐색 (Career Preparing Behaviors and Exploration of Measures for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

  • 이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87-49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의 대학평가에 의한 입학정원 감축과 체육계열학과의 취업교육에 관련된 연구사례의 부족 등의 이유로 전문적인 체육역량을 갖춘 융합인재 양성 및 체육전공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체육계열학과의 취업준비 현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진로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체육계열 전공자들의 인식 수준에 따른 하위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학년별 적성과 소질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을 사전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취업장벽의 문제를 조속히 완화시켜주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전공과 관련된 취업직종의 확대와 기회의 제공에 다 같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예·체능계열을 중심으로 (The Mediation Effe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Regarding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Focused o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 윤성혜;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1-600
    • /
    • 2020
  •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평가, 교육역량강화사업의 도입으로 재학생 충원과 취업률이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이에 대학들은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여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을 함에 있어서 전공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조사를 위해 경기도 소재 K대학의 예체능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7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앞으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그렇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위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비교과과목 운영, 주문식 교육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의 수준을 높여야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산. 학. 연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ollege Students)

  • 조형래;박용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2-22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계획, 진로준비로 한정되어 취업 이후의 경력관리 문제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어 진로지도의 한계성이라는 문제제기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는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7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 중 계획성과 독립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진로성숙 태도 중 일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획성,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경력과 관련된 행동 및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경력관리 이론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서울 지역 주부들의 건강과 관련된 식생활 의식구조 (Health-related Dietary Attitudes and Behaviours among Mealmanagers in Seoul Area)

  • 오혜숙;윤교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5-200
    • /
    • 1995
  • In this survey, we investigated the way of thinking about meal management of housewives including the sincerity to meal preparation, the eating practices and cronic degenerative diseases 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tudied the effects of above factors on the real food intakes. We also investigated the trends of health-foods and nutrient supplements usage. The results obtained from 506 housewives in Seoul wer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our subjects prepared their meals habitually without special concern, they did not prefer the use of convenient foods. The food prefrence of housewivess who had more child and refered higher life status was similar with other family members. The dietary attitudes were good in large family, the higher income and the more child group. The highly educated group skipped breakfast more frequently. The mealmanagers with better education career and good living status considered for the restriction of salty foods, sweet foods, animal fats and pungent foods, and for the nutritionally balanced diet. The high income group showed great concerns about weight gain at meal times. The nutritional qualities expressed by the frequency of food group intakes were high in the better educated and living status groups, and their eating frequencies of animal protein foods and calcium sources were significantly high. Mealmanagers who had no job intaked vegetable oils through frying foods frequently. The use of health-foods and nutrient supplements was influenced by age, educational and economic level and self-estimated living status, but the trends in prevalence of both were not consistent. Health-foods were prefered by the groups of high educational career, affluent income and advanced living status, and low educational career, low income and low living status groups favored the nutrient supplements. The restrictive intake of animal fat and the use of health-foo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ch seemed that the subjects used health-foods as supplements in compensation for nutritional unbalance caused by the avoidance of animal protein foods.

  • PDF

예술대학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Trends and Future Tasks of Domestic Research on Career Guidance in Art Colleges)

  • 구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08-5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분야 대학생들의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연구된 학술지 게재 논문과 석 박사학위 논문 총 74편의 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성별, 학년별, 예술분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는 6가지 분석기준에서 적응 행동 경험과 관련된 주제가 총 24편(32.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연구에서는 남녀 전체 대상의 연구가 전체의 9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년별 연구에서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9편으로 전체의 66%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서의 동향을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모든 주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술분야별 연구동향에서는 무용(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포함)분야 연구가 54건으로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제별로도 고르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지도 연구는 아직까지 세분화된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구의 수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앞으로는 다양한 관점과 사회적 이슈, 학생들의 전공분야, 학년, 성별, 다양한 연구방법을 반영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창업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연구 (The Study of Metrics development for Entrepreneurial Program Effectiveness)

  • 변영조;김명숙;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77-85
    • /
    • 2014
  •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창업교육의 목적은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창업구성요소의 개별적인 훈련보다는 창업이라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교육의 효과는 창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며 창업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검증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측정도구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에 대한 정의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경험적 접근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창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화될 수 있는 학습효과를 기업가지향성, 창의성, 창업준비행동 등의 3개영역과 11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하고 효과측정을 위한 49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비즈쿨 선정학교인 5개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287명을 표본으로 실중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3개영역, 8개의 하위영역(혁신성, 위험감수성,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결정, 효율적 행동능력, 정보수집, 진로탐색, 창업탐색 및 준비), 38개의 측정문항을 확정하였고, 마지막으로 척도의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최종의 청소년 창업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항목을 완성하였다. 추가적으로 비즈쿨 대상의 학생중에서 적극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창업동아리 참여자와 비참여자와의 효과성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한 것과 9개의 측정지표에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PDF

취업준비생 토픽 분석을 통한 취업난 원인의 재탐색 (Revisiting the cause of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s labor market: The job seeker's interests-based topic analysis)

  • 김정수;이석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85-116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환경 부합 관점에서 취업시장변화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관심사를 토대로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난의 원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개년(2013~2015) 간 취업 관련 커뮤니티 내 이용자 게시글(소셜미디어)을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분석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 유형 및 심리적 반응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가 '희망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취업사전준비활동,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취업 스트레스'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직업가치나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보다 희망직업과 관련하여 금전적 보상이나 직장근무형태(근무 및 생활환경)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어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면서 특정 언어적 사용(예: 비속어, 은어)을 토대로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차원에서 주로 스펙준비에 치중하고 있어 취업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취업난은 총체적으로 개인과 사회 조직의 가치추구 부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개인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는 직업위세란 장애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난이란 특정 상황과 현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다수의 취업준비생 관심사를 도출하기 위한 토픽분석과 이들의 다양한 반응의 의미를 언어 심리적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