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onsidera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에서의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University Libraries)

  • 김수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9-19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 consideration leadership and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university libraries.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rrelations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job satisfaction are positive. Consideration leadership is higher correlation than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2. Leadership styles have affected on Job satis-faction (promotion, task, salary, superior, fellow) differently. Consideration leadership is higher influenced than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except satisfaction of task. 3. It is no difference that leadership styles have affected on job satisfaction by a characteristic(sex, school career, librarian's license) of person. As consideration leadership is higher correlation and influence than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leader should have done consideration leadership and then library's staffs can get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job satisfaction, leader had better show consideration leadership regardless of sex. school career and librarian's license. leadership styles have influenced Job satisfaction differently. It shows indirectly that library's staffs are not discriminated by sex, school career and librarian's license.

  • PDF

진로멘토의 사회적 지지와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 Leadership from Career Mento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GRIT)

  • 최현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25-45
    • /
    • 2018
  • 본 연구는 진로멘토의 사회적 지지와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사회적 지지원으로 진로멘토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고등학생들의 진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진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진로 프로그램(S리더십센터 관심전공 멘토 교류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계 고등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 검사와 그릿 검사를 시행하였고, 프로그램에서 학생과 과정을 함께 진행한 진로멘토의 사회적 지지와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였다.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의 변화량을 확인한 결과, 평균적 상승이 확인되었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변화량은 진로멘토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개별적 배려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그릿 변화량은 진로멘토의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개별적 배려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멘토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개별적 배려가 진로준비행동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 개별적 배려가 그릿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와 교사로 제한되었던 사회적 지지원의 범주가 확대되어, 진로멘토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생의 그릿 향상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에서 진로멘토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진로지도와 상담이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 서솔;여종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69-18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as the association among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Methods: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seven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on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Resul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work overload, and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Moreover, the association of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burnout was mediated by career call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directors' leadership and seamless administrative support n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reduce burnout and mitigate work-related stress among child care teacher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career calling in reducing burnout among child care teachers and suggest the consideration of career calling as a target in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진로개발 프로그램 운영 사례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영준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48-54
    • /
    • 2024
  • The career choices of medical students are significant for both individual students and society, which relies on a robust public healthcare system. Medical schools should provide a conducive environment and diverse information to enable students to make mature career decision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nducts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Career Choice Expo, Career Path Survey, Special Lecture on Career Development, and a Visible Radio Show focused on career counseling. Additionally, the intracurricular activities offered by the college include career advising to students through faculty advisors in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students' reflective writing about career-related activities. Medical student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career decisions, compare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with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rough longitudinal discussions with faculty advisors in learning communities, medical students not only gain recognition for the validity of their exploratory activities but also develop a sense of self-efficacy in making career decision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ligns with recent perspectives emphasizing the integration of career counseling for medical students into the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조직·경력 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Job·Organizational·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최현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7-30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self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286 nurses working in five small or medium-sized hospitals in P city. Data were gathered during October, 2014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Work-family conflic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job,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or medium-sized hospitals. Career commitment was the biggest factor i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commitment are important factors i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refore, to understand job and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role of conflict in the nurses' workplace and homes.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focusing on career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n innovative system for the environment of small hospitals are needed.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인식과 진로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치면세마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Class Awareness and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of Some Dental Hygiene and Students: Focusing on the professional tooth cleaning class)

  • 손은교;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55-363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지역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12월에 대면 수업 후 1차 설문을 진행하였고, 2020년 7월에 비대면 수업 후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에 차이를 보였고, 학교생활 만족도와 치면세마 수업 만족도에 따라 진로 관심과 진로 호기심, 진로 자신감 차이를 보였다. 비대면 수업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진로 결정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진로 자신감도 상승하였다. 이 결과들은 실기과목 수업 운영에 있어 융복합적 측면을 고려한 플립러닝 수업과 같은 방법의 활용과 실기시험을 위한 표준화된 실기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지배형 양육태도와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Modeling of a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 문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11-21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it is hypothesiz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would indirectly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283 college students, after the consideration of their grade and gend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participants. Methods describing the primary analytical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ere are mediation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the perceive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imply that the positive development of adult children requires more egalitarian parenting styles than those used on early adolescents. Next, for female students, specialized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cusing on reducing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stress are needed. Lastly, it is implied that parenting styles used on adult children in Korea may differ from Western styles.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with a traditional theoretical framework.

인문계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진로 고려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nd Career Considerat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정경이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89-695
    • /
    • 2015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치위생직 고려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전체평균 3.36점이었고, 영역별 평균은 개인적 이미지가 3.64점, 직업적 이미지가 3.47점, 업무적 이미지가 3.42점, 사회적 이미지가 2.83점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일반적인 특성과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가족 중 치과종사자가 있고, 치과 치료경험이 1년 미만일 경우, 치위생직에 대한 소개나 설명을 들은 경우, 진료 장소가 종합(대학)병원일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p<0.05). 진로선택 시 치위생직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9.0%로 대부분이 고려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치위생직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경우 업무적, 사회적 이미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직업적 이미지와 업무적 이미지(r=0.551, p<0.001), 개인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r=0.526, p<0.001), 사회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r=0.222, p<0.01), 업무적 이미지와 개인적 이미지(r=0.655, p<0.001), 업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r=0.140,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다소 긍정적이었으나, 사회적 이미지가 낮은 편이었으며, 대부분의 학생이 치위생직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치과위생사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소개로 치과위생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경력단절여성 자격증 취득과 취업률과의 연관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Employment Rate)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7-489
    • /
    • 2021
  • 우리나라 여성의 대부분은 결혼부터 재취업에 이르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으로의 재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생애과정에서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 인구를 오가며 지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자격증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인 탐색적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훈련과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 PDF